"노자 제50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n_SW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4번째 줄: 54번째 줄:
 
   '''夫[代]司殺者[殺](부대사살자살)이면 是[代]大匠斲(시대대장착)이니 夫代大匠斲者(부대대장착자)는 希有不傷其手矣(희유불상기수의)니라'''</br>
 
   '''夫[代]司殺者[殺](부대사살자살)이면 是[代]大匠斲(시대대장착)이니 夫代大匠斲者(부대대장착자)는 希有不傷其手矣(희유불상기수의)니라'''</br>
 
   '''백성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데 어떻게 죽음으로 두렵게 하겠는가!'''
 
   '''백성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데 어떻게 죽음으로 두렵게 하겠는가!'''
   '''만약 백성으로 하여금 항상 죽음을 두려워하게 하고 기이한 행동을 하는 자가 있다면 내가 잡아서 죽일 것이니, 누가 감히 그렇게 하겠는가?'''
+
   '''만약 백성으로 하여금 항상 죽음을 두려워하게 하고 기이한 행동을 하는 자가 있어서 내가 그를 잡아서 죽인다면 누가 감히 그렇게 하겠는가?'''
 
   '''늘 죽이는 일을 담당하는 이는 따로 두어 죽인다.'''
 
   '''늘 죽이는 일을 담당하는 이는 따로 두어 죽인다.'''
 
   '''죽이는 일을 담당한 자를 대신해서 죽인다면 이것은 뛰어난 목수를 대신해서 나무를 다듬는 격이니, 무릇 뛰어난 목수를 대신해 나무를 다듬는 자는 손을 다치지 않는 경우가 드물다.'''
 
   '''죽이는 일을 담당한 자를 대신해서 죽인다면 이것은 뛰어난 목수를 대신해서 나무를 다듬는 격이니, 무릇 뛰어난 목수를 대신해 나무를 다듬는 자는 손을 다치지 않는 경우가 드물다.'''
62번째 줄: 62번째 줄:
 
○ 속임수와 신기한 것으로 사람들을 어지럽히는 것을 기이하다고 함</br>
 
○ 속임수와 신기한 것으로 사람들을 어지럽히는 것을 기이하다고 함</br>
 
○ 반역은 순종하는 이들이 미워하고 분노하는 것이고, 불인한 것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임. 그래서 늘 죽이는 일을 담당하는 이를 두었다고 한 것임</br>
 
○ 반역은 순종하는 이들이 미워하고 분노하는 것이고, 불인한 것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임. 그래서 늘 죽이는 일을 담당하는 이를 두었다고 한 것임</br>
 
  
 
= '''<<노자>> 제76장''' =
 
= '''<<노자>> 제76장''' =
99번째 줄: 98번째 줄:
 
◈ '''왕필 주''':</br>
 
◈ '''왕필 주''':</br>
 
○ 비록 몸은 죽었으나 그 사람을 살아있다고 여기니 도가 사라지지 않아 그 수명을 온전하게 누렸다고 할 수 있음. 몸은 죽었어도 도가 보존될 수 있는데 몸이 살아 있고 도가 죽지 않은 경우에는 어떠하겠는가?</br>
 
○ 비록 몸은 죽었으나 그 사람을 살아있다고 여기니 도가 사라지지 않아 그 수명을 온전하게 누렸다고 할 수 있음. 몸은 죽었어도 도가 보존될 수 있는데 몸이 살아 있고 도가 죽지 않은 경우에는 어떠하겠는가?</br>
 +
 +
 +
= '''<<노자>> 제42장''' =
 +
 +
  '''道生一(도생일)하고 一生二(일생이)하고 二生三(이생삼)하고 三生萬物(삼생만물)하나니'''
 +
  '''萬物負陰而抱陽(만물부음이포양)하여 沖氣以爲和(충기이위화)니라'''
 +
  '''人之所惡(인지소오)는 唯孤寡不穀(유고과불곡)이언마는 而王公以爲稱(이왕공이위칭)이라'''
 +
  '''故(고)로 物或損之而益(물혹손지이익)하고 或益之而損(혹익지이손)이니라'''
 +
  '''人之所敎(인지소교)를 我亦敎之(아역교지)하나니'''
 +
  '''强梁者不得其死(강양자부득기사)하나니 吾將以爲敎父(오장이위교부)하리라'''</br>
 +
  '''도(道)가 하나를 낳고 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을 낳고 셋은 만물을 낳는다.'''
 +
  '''만물은 음(陰)을 등에 지고 양(陽)을 끌어안아 충기(沖氣)로 조화롭게 된다.'''
 +
  '''사람이 싫어하는 것은 홀로 되고, 버려지고, 가진 게 없는 것이지만 왕공(王公: 권력자)은 이것들로 스스로를 지칭한다.'''
 +
  '''그러므로 어떤 것이든 덜어내면 보태어지고 보태어면 덜어진다.'''
 +
  '''다른 사람이 가르치는 것을 나 또한 〈다른 사람에게〉 가르치니,'''
 +
  '''강하고 굳세기만 한 사람은 제명에 죽지 못하니, 나는 장차 이것을 가르침의 아버지로 삼는다.'''
 +
 +
 +
◈ '''왕필 주''':</br>
 +
○ 내가 다른 사람을 가르칠 때에는 다른 사람에게 억지로 가르침을 따르게 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할 뿐임. 이를 어기면 흉함을 자초하게 됨. 나 또한 다른 사람을 가르칠 때 순리대로 자연적으로 해야지 그것을 어기면 안됨</br>
 +
※ 참고: 충기(沖氣)는 음양의 기운이 뒤섞인 상태로 보는 견해, 원기(元氣) 혹은 일기(一氣) 등 근원성을 강조한 것으로 보기도 함
 +
 +
 +
= '''<<노자>> 제80장''' =
 +
 +
  '''小國寡民(소국과민)호되'''
 +
  '''使[民]有什佰之器而不用(사민유십백지기이불용)하고'''
 +
  '''使民重死而不遠徙(사민중사이불원사)하라'''
 +
  '''雖有舟輿(수유주여)나 無所乘之(무소승지)요 雖有甲兵(수유갑병)이나 無所陳之(무소진지)하라'''
 +
  '''使(人)[民]復結繩而用之(사인민부결승이용지)하라'''
 +
  '''甘其食(감기식)하고 美其服(미기복)하며 安其居(안기거)하고 樂其俗(락기속)하라'''
 +
  '''隣國相望(린국상망)하고 鷄犬之聲相聞(계견지성상문)호대 民至老死不相往來(민지로사불상왕래)리라'''</br>
 +
  '''나라의 규모를 작게 하고 백성의 수를 적게 하되,'''
 +
  '''백성들에게 열 가지 백 가지 (이로운) 기물이 있다 해도 쓰지 않게 하고,'''
 +
  '''백성들로 하여금 죽음을 중요하게 여겨 멀리 이사 다니지 않도록 하라.'''
 +
  '''비록 배와 수레가 있어도 그것을 탈 일이 없고, 갑옷과 병기가 있어도 그것을 쓸 일이 없게 하라.'''
 +
  '''백성들로 하여금 다시 새끼를 꼬아서 (문자생활에) 쓰게 하라.'''
 +
  '''그 음식을 맛있게 여기도록 해주고, 그 옷을 아름답게 여기도록 해주며, 그 거처를 편안하게 여기도록 해주고, 그 풍속을 즐겁게 여기도록 해주어라.'''
 +
  '''(그러면) 이웃 나라가 서로 바라다 보이고 닭 울고 개 짖는 소리가 서로 들려도 백성들이 늙어서 죽을 때까지 서로 왕래하는 일이 없게 될 것이다.'''
 +
 +
 +
== '''오늘의 토론 주제 (2022.09.27)''' ==
 +
 +
  ☞ <span style="color:#ff0000;">'''1. 평소 죽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왔나요?'''</span>
 +
  ☞ <span style="color:#ff0000;">'''2. <<노자>>가 말하는 죽음이란?'''</span>
 +
  ☞ <span style="color:#ff0000;">'''3. <<노자>>를 통해 보는 오늘날 우리시대에 필요한 '좋은 죽음'이란?'''</span>
 +
 +
 +
== '''오늘의 토론 내용 (2022.09.27)''' ==
 +
 +
  ☞ <span style="color:#ff0000;">'''1. 평소 죽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왔나요?'''</span>
 +
 +
○ 긍정적 인식: 죽음으로 '''자유'''로워질 수 있음. 죽음을 통해 만나고 싶은 사람을 만날 수 있음. 죽음은 '''새로운 시작'''임. 사람들에게 기억될 수 있다면 그것은 끝이 아닐지도 모름</br>
 +
○ 부정적 인식: 죽음 그 자체가 '''두렵게''' 느껴짐. => 그 이유: 알 수 없기 때문</br>
 +
○ 순리적 인식: '''자연적인 것'''. 거부할 수 없음. '''무(無)로 돌아가는 것'''</br>
 +
○ 종교적 인식: 종교를 믿는 사람에게는 죽으면 천국과 지옥으로 감. 현생에서 선행을 통해 죽음 이후의 모습을 기대할 수 있음</br>
 +
○ 죽음을 통해 발견하는 삶의 의미: 우주에서 보았을 때 우리 삶은 짧은 순간임. 그 짧은 인간의 '''삶에서 의미있게''' 살아야 함.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당당하게 받아들여야 하며 삶에 대한 의미를 더 발견할 수 있음</br>
 +
 +
 +
  ☞ <span style="color:#ff0000;">'''2. <<노자>>가 말하는 죽음이란?'''</span>
 +
 +
○ 죽음에 대한 '''인위적인 의식을 하지 않아야 함'''. 죽음에 대해 생각하지 않으면 더 편안함</br>
 +
○ 태어남은 죽음으로 들어감. 죽음은 '''순리적인 것'''</br>
 +
○ 몸은 죽어도 '''정신은 사라지지 않는 것'''. 죽음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필요성</br>
 +
○ 삶에 대한 집착을 버려야 함. 삶에 집착할수록 죽음과 가까워짐</br>
 +
○ '''무위 실천'''의 기회. '''마지막 성장'''의 기회</br>
 +
 +
 +
  ☞ <span style="color:#ff0000;">'''3. <<노자>>를 통해 보는 오늘날 우리시대에 필요한 '좋은 죽음'이란?'''</span>
 +
 +
○ <<노자>>가 말하는 장수의 의미는 죽어서도 이름이 남는 것임. 죽음 이후에도 기억되는 것이 좋은 죽음임. 이를 위해 평소에 사람들에게 잘 해야 함</br>
 +
○ 욕심 없이 살다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것이 좋은 죽음임. 삶에 대한 집착과 욕심을 줄여야 함. 과유불급을 실천하는 삶의 중요성</br>
 +
=> 그런데 이렇게 살다보면 목적지향적인 삶을 잃지 않을까?</br>
 +
=> 목적 자체를 버리는 것이 아니라 소소하게 지켜야 할 것들을 지키면서 사는 삶의 태도가 중요하다는 걸 말하는 것이 아닐까!</br>
 +
○ 작위함이 없이 순리대로 살다 맞이하는 자연스러운 죽음이 좋은 죽음</br>
 +
○ 죽음을 회피하지 않고 이를 생각하지만 그렇다고 여기에 매어있지 않고 두려워하지 않는 죽음이 좋은 죽음임</br>
  
  
 
[[분류: 신선사상과 콘텐츠]]
 
[[분류: 신선사상과 콘텐츠]]

2022년 9월 29일 (목) 22:02 기준 최신판

☞ 번역문 출처: 동양고전종합DB

<<노자>> 제50장[편집 | 원본 편집]

 出生入死(출생입사)하나니 生之徒十有三(생지도십유삼)이요 死之徒十有三(사지도십유삼)이로되 
 (人之生動之死地)[而民之生生(이민지생생)하여 而動皆之死地(이동개지사지)]가 十有三(십유삼)이니
 夫何故(부하고)오 以其生生之厚(이기생생지후)일새라
 蓋聞(개문)에 善攝生者(선섭생자)는 陸行(육행)에 不遇兕虎(불우시호)하고 入軍(입군)에 不被甲兵(불피갑병)이니
 兕無所投其角(시무소투기각)하고 虎無所措其爪(호무소척기조)하고 兵無所容其刃(병무소용기인)이니라
 夫何故(부하고)오 以其無死地(이기무사지)일새라
삶에서 나와 죽음으로 들어가니 삶으로 가는 무리가 열에 셋이요 죽음으로 가는 무리가 열에 셋인데, 백성 가운데 살고 또 살려고만 하여 움직이다가 모두 사지(死地)로 가는 것이 또한 열에 셋이다. (이는) 무슨 까닭인가? (백성들이) 살고 또 살려고 하는 마음이 강하기 때문이다. 듣건대 섭생(攝生)을 잘하는 자는 육지로 다녀도 외뿔들소나 호랑이를 만나지 않고 군대에 들어가도 갑옷과 무기를 착용하지 않으니 외뿔들소의 뾰족한 뿔에 치받힐 일이 없고 호랑이의 날카로운 발톱에 할퀼 일이 없고 병장기의 날카로운 칼날에 베일 일이 없다. 무슨 까닭인가? (섭생을 잘하는 자에게는) 사지(死地)가 없기 때문이다.


왕필 주:
○ '열에 셋'이란 전체의 10분에서 3을 차지한다고 말한 것임
○ 생명의 길을 취해 가능한 한 오래 살고자 하는 사람이 10분의 3이며, 죽음의 길을 취해 가능한 한 빨리 죽고자 하는 사람이 또한 10분의 3임
○ 그런데 사람들이 살고 또 살려고 하는 마음이 강하면 도리어 생명이 없는 땅으로 가게 됨. 섭생을 잘 하는 사람은 살기 위해 살려고 함이 없음. 그래서 사지(죽을 곳)가 없는 것임
○ 사람이 만든 도구 가운데 전쟁에 쓰이는 칼이나 창보다 더 해로운 것이 없고, 짐승 가운데 뾰족한 뿔을 가진 외뿔들소나 날카로운 발톱을 가진 호랑이보다 더 해로운 것이 없음. 그런데 창칼로 찌를 곳이 없고 호랑이나 외뿔들소가 뿔이나 발톱으로 치받거나 할퀼 곳이 없게 함. 이는 욕심으로 자신에게 피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사람임. 이런 사람에게는 사지가 없음
○ 자신의 욕심으로 타고난 본성을 더럽히지 않으면 군대에 들어가도 창칼에 해코지당하지 않고 육지를 다니더라도 맹수에게 당하지 않을 수 있음


<<노자>> 제52장[편집 | 원본 편집]

 天下有始(천하유시)면 [可]以爲天下母(가이위천하모)니
 旣(知)[得]其母(기지득기모)하여 (復)[以]知其子(득이지기자)하고 旣知其子(즉지기자)하여 復守其母(득수기모)면 沒(其)[身]不殆(몰기신불태)니라
 塞其兌(색기태)하고 閉其門(폐기문)이면 終身不勤(종신불근)이어니와
 開其兌(개기태)하고 濟其事(제기사)면 終身不救(종신불구)니라
 見小曰明(견소왈명)이요 守柔曰强(수유왈강)이니
 用其光(용기광)하여 復歸其明(부귀기명)이면 無遺身殃(무유신앙)이니 是爲習常(시위습상)이니라
천하에 시작이 있으면 이를 천하의 어미로 삼을 수 있으니, 이미 그 어미를 얻어 이를 통해 그 자식을 알고, 이미 자식을 알아 (이를 통해) 다시 그 어미를 지키면 죽을 때까지 위태롭지 않다. (일 벌이려는 욕심이 나오는) 구멍을 막고 (욕심이 나오는) 문을 닫으면, 죽을 때까지 수고롭지 않겠지만 (욕심이 나오는) 구멍을 열고 그 일을 다스리면 죽을 때까지 구제받지 못한다. 작은 것을 보는 것을 ‘밝다’ 하고, 부드러움을 지키는 것을 ‘강하다’ 하니, 그 밝은 빛을 써서 다시 그 밝음으로 되돌아오면, 제 몸에 재앙거리를 남기지 않으니 이것이 ‘늘 그러함을 익힌다.’는 것이다.


왕필 주:
○ 잘 시작하면 잘 먹이고 기르게 됨. 그래서 천하에 시작이 있으면 천하의 어미로 삼을 수 있는 것임
○ 일 없이 길이길이 편안하므로 죽을 때까지 수고롭지 않은 것임
○ 욕심의 근원을 막지 않고 그 일을 다스리면 죽을 때까지 구제받지 못하게 됨


<<노자>> 제74장[편집 | 원본 편집]

 民不畏死(민불외사)어늘 奈何以死懼之(내하이사구지)리오
 若使民常畏死(약사민상외사)라도 而爲奇者(이위기자)면 吾得執而殺之(오득집이살지)니 孰敢(숙감)이리오
 常有司殺者殺(상유사살자살)하니
 夫[代]司殺者[殺](부대사살자살)이면 是[代]大匠斲(시대대장착)이니 夫代大匠斲者(부대대장착자)는 希有不傷其手矣(희유불상기수의)니라
백성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데 어떻게 죽음으로 두렵게 하겠는가! 만약 백성으로 하여금 항상 죽음을 두려워하게 하고 기이한 행동을 하는 자가 있어서 내가 그를 잡아서 죽인다면 누가 감히 그렇게 하겠는가? 늘 죽이는 일을 담당하는 이는 따로 두어 죽인다. 죽이는 일을 담당한 자를 대신해서 죽인다면 이것은 뛰어난 목수를 대신해서 나무를 다듬는 격이니, 무릇 뛰어난 목수를 대신해 나무를 다듬는 자는 손을 다치지 않는 경우가 드물다.


왕필 주:
○ 속임수와 신기한 것으로 사람들을 어지럽히는 것을 기이하다고 함
○ 반역은 순종하는 이들이 미워하고 분노하는 것이고, 불인한 것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임. 그래서 늘 죽이는 일을 담당하는 이를 두었다고 한 것임

<<노자>> 제76장[편집 | 원본 편집]

 人之生也(인지생야)엔 柔弱(유약)하고 其死也(기사야)엔 堅强(견강)하며
 萬物草木之生也(만물초목지생야)엔 柔脆(유취)하고 其死也(기사야)엔 枯槁(고고)라
 故堅强者(고견강자)는 死之徒(사지도)요 柔弱者(유약자)는 生之徒(생지도)니 是以兵强則不勝(시이병강즉불승)하고
 是以兵强則不勝(시이병강즉불승)하고
 木强則(共)[折](목강즉공절)하니
 强大(강대)는 處下(처하)하고 柔弱(유약)은 處上(처상)하니라
사람이 살아 있을 때에는 부드럽고 연약하지만 죽게 되면 딱딱하고 굳어진다. 만물과 초목도 살아 있을 때에는 부드럽고 여리지만 죽게 되면 마르고 딱딱해진다. 그러므로 딱딱하고 굳은 것은 죽음의 무리이고, 부드럽고 약한 것은 삶의 무리이다. 이 때문에 군대가 강하면 이기지 못하고, 나무가 강하면 베어지고 강하고 큰 것은 아래에 처하고, 부드럽고 약한 것은 위에 처한다.


왕필 주:
○ 강한 군대로 세상에 난폭한 짓을 하는 것을 누구나 싫어하기 때문에 승리할 수 없음
○ 나무의 뿌리는 강하고 큰데 아래에 있고 나뭇가지는 부드럽고 약해서 위에 있음


<<노자>> 제33장[편집 | 원본 편집]

 知人者(지인자)는 智(지)하고 自知者(자지자)는 明(명)하며
 勝人者(승인자)는 有力(유력)하고 自勝者(자승자)는 强(강)하며
 知足者(지족자)는 富(부)하고 强行者(강행자)는 有志(유지)하며
 不失其所者(불실기소자)는 久(구)하고 死而不亡者(사이불망자)는 壽(수)라
남을 아는 사람은 지혜롭고 스스로를 아는 사람은 밝으며, 남을 이기는 사람은 힘이 있고 스스로를 이기는 사람은 강하며,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부유하고 열심히 실행하는 사람은 뜻한대로 얻어지며 제자리를 잃지 않는 사람은 오래가고, 죽어서도 잊히지 않는 사람은 오래 산다.


왕필 주:
○ 비록 몸은 죽었으나 그 사람을 살아있다고 여기니 도가 사라지지 않아 그 수명을 온전하게 누렸다고 할 수 있음. 몸은 죽었어도 도가 보존될 수 있는데 몸이 살아 있고 도가 죽지 않은 경우에는 어떠하겠는가?


<<노자>> 제42장[편집 | 원본 편집]

 道生一(도생일)하고 一生二(일생이)하고 二生三(이생삼)하고 三生萬物(삼생만물)하나니
 萬物負陰而抱陽(만물부음이포양)하여 沖氣以爲和(충기이위화)니라
 人之所惡(인지소오)는 唯孤寡不穀(유고과불곡)이언마는 而王公以爲稱(이왕공이위칭)이라
 故(고)로 物或損之而益(물혹손지이익)하고 或益之而損(혹익지이손)이니라
 人之所敎(인지소교)를 我亦敎之(아역교지)하나니
 强梁者不得其死(강양자부득기사)하나니 吾將以爲敎父(오장이위교부)하리라
도(道)가 하나를 낳고 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을 낳고 셋은 만물을 낳는다. 만물은 음(陰)을 등에 지고 양(陽)을 끌어안아 충기(沖氣)로 조화롭게 된다. 사람이 싫어하는 것은 홀로 되고, 버려지고, 가진 게 없는 것이지만 왕공(王公: 권력자)은 이것들로 스스로를 지칭한다. 그러므로 어떤 것이든 덜어내면 보태어지고 보태어면 덜어진다. 다른 사람이 가르치는 것을 나 또한 〈다른 사람에게〉 가르치니, 강하고 굳세기만 한 사람은 제명에 죽지 못하니, 나는 장차 이것을 가르침의 아버지로 삼는다.


왕필 주:
○ 내가 다른 사람을 가르칠 때에는 다른 사람에게 억지로 가르침을 따르게 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할 뿐임. 이를 어기면 흉함을 자초하게 됨. 나 또한 다른 사람을 가르칠 때 순리대로 자연적으로 해야지 그것을 어기면 안됨
※ 참고: 충기(沖氣)는 음양의 기운이 뒤섞인 상태로 보는 견해, 원기(元氣) 혹은 일기(一氣) 등 근원성을 강조한 것으로 보기도 함


<<노자>> 제80장[편집 | 원본 편집]

 小國寡民(소국과민)호되
 使[民]有什佰之器而不用(사민유십백지기이불용)하고
 使民重死而不遠徙(사민중사이불원사)하라
 雖有舟輿(수유주여)나 無所乘之(무소승지)요 雖有甲兵(수유갑병)이나 無所陳之(무소진지)하라
 使(人)[民]復結繩而用之(사인민부결승이용지)하라
 甘其食(감기식)하고 美其服(미기복)하며 安其居(안기거)하고 樂其俗(락기속)하라
 隣國相望(린국상망)하고 鷄犬之聲相聞(계견지성상문)호대 民至老死不相往來(민지로사불상왕래)리라
나라의 규모를 작게 하고 백성의 수를 적게 하되, 백성들에게 열 가지 백 가지 (이로운) 기물이 있다 해도 쓰지 않게 하고, 백성들로 하여금 죽음을 중요하게 여겨 멀리 이사 다니지 않도록 하라. 비록 배와 수레가 있어도 그것을 탈 일이 없고, 갑옷과 병기가 있어도 그것을 쓸 일이 없게 하라. 백성들로 하여금 다시 새끼를 꼬아서 (문자생활에) 쓰게 하라. 그 음식을 맛있게 여기도록 해주고, 그 옷을 아름답게 여기도록 해주며, 그 거처를 편안하게 여기도록 해주고, 그 풍속을 즐겁게 여기도록 해주어라. (그러면) 이웃 나라가 서로 바라다 보이고 닭 울고 개 짖는 소리가 서로 들려도 백성들이 늙어서 죽을 때까지 서로 왕래하는 일이 없게 될 것이다.


오늘의 토론 주제 (2022.09.27)[편집 | 원본 편집]

1. 평소 죽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왔나요?2. <<노자>>가 말하는 죽음이란?3. <<노자>>를 통해 보는 오늘날 우리시대에 필요한 '좋은 죽음'이란?


오늘의 토론 내용 (2022.09.27)[편집 | 원본 편집]

1. 평소 죽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왔나요?

○ 긍정적 인식: 죽음으로 자유로워질 수 있음. 죽음을 통해 만나고 싶은 사람을 만날 수 있음. 죽음은 새로운 시작임. 사람들에게 기억될 수 있다면 그것은 끝이 아닐지도 모름
○ 부정적 인식: 죽음 그 자체가 두렵게 느껴짐. => 그 이유: 알 수 없기 때문
○ 순리적 인식: 자연적인 것. 거부할 수 없음. 무(無)로 돌아가는 것
○ 종교적 인식: 종교를 믿는 사람에게는 죽으면 천국과 지옥으로 감. 현생에서 선행을 통해 죽음 이후의 모습을 기대할 수 있음
○ 죽음을 통해 발견하는 삶의 의미: 우주에서 보았을 때 우리 삶은 짧은 순간임. 그 짧은 인간의 삶에서 의미있게 살아야 함.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당당하게 받아들여야 하며 삶에 대한 의미를 더 발견할 수 있음


2. <<노자>>가 말하는 죽음이란?

○ 죽음에 대한 인위적인 의식을 하지 않아야 함. 죽음에 대해 생각하지 않으면 더 편안함
○ 태어남은 죽음으로 들어감. 죽음은 순리적인 것
○ 몸은 죽어도 정신은 사라지지 않는 것. 죽음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필요성
○ 삶에 대한 집착을 버려야 함. 삶에 집착할수록 죽음과 가까워짐
무위 실천의 기회. 마지막 성장의 기회


3. <<노자>>를 통해 보는 오늘날 우리시대에 필요한 '좋은 죽음'이란?

○ <<노자>>가 말하는 장수의 의미는 죽어서도 이름이 남는 것임. 죽음 이후에도 기억되는 것이 좋은 죽음임. 이를 위해 평소에 사람들에게 잘 해야 함
○ 욕심 없이 살다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것이 좋은 죽음임. 삶에 대한 집착과 욕심을 줄여야 함. 과유불급을 실천하는 삶의 중요성
=> 그런데 이렇게 살다보면 목적지향적인 삶을 잃지 않을까?
=> 목적 자체를 버리는 것이 아니라 소소하게 지켜야 할 것들을 지키면서 사는 삶의 태도가 중요하다는 걸 말하는 것이 아닐까!
○ 작위함이 없이 순리대로 살다 맞이하는 자연스러운 죽음이 좋은 죽음
○ 죽음을 회피하지 않고 이를 생각하지만 그렇다고 여기에 매어있지 않고 두려워하지 않는 죽음이 좋은 죽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