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 제11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 성인은 자신의 마음을 비움으로써 스스로를 다스린다고 여겨지는 데 사회의 중심에 있는 성인 군주는 함이 없고 그럼으로써 국가가 잘 기능하도록 함</br> | => 성인은 자신의 마음을 비움으로써 스스로를 다스린다고 여겨지는 데 사회의 중심에 있는 성인 군주는 함이 없고 그럼으로써 국가가 잘 기능하도록 함</br> | ||
+ | |||
+ | = '''<<노자>> 제2장''' = | ||
+ | |||
+ | '''天下皆知美之爲美(천하개지미지위미)나 斯惡已(사악이)요''' | ||
+ | '''皆知善之爲善(개지선지위미)이나 斯不善已(사불선이)라''' | ||
+ | '''故(고)로 有無相生(유무상생)하며 難易相成(난이상성)하며''' | ||
+ | '''長短相較(장단상교)하며 高下相傾(고하상경)하며 音聲相和(음성상화)하며 前後相隨(전후상수)니라''' | ||
+ | '''是以(시이)로 聖人(성인)은 處無爲之事(허무위지사)하고''' | ||
+ | '''行不言之敎(행불언지교)하여''' | ||
+ | '''萬物(만물)이 作焉而不(辭)(작언이불사)하며 生而不有(생이불유)하며 爲而不恃(위이불시)하며 功成而(弗)居(공성이불거)하나니''' | ||
+ | '''夫唯(弗)居(부유불거)니 是以不去(시이불거)니라'''</br> | ||
+ | '''세상 사람들이 모두 아름다운 것을 아름답다고 여길 줄만 아는데 이것은 추한 것이다.''' | ||
+ | '''세상 사람들이 모두 선한 것을 선하다고 여길 줄만 아는데 이것은 선하지 않은 것이다.''' | ||
+ | '''그래서 유[有(있음)]와 무[無(없음)]는 서로를 낳고, 어려움과 쉬움은 서로를 이루어주고,''' | ||
+ | '''긺과 짧음은 서로 비교되고, 높음과 낮음은 서로 기울며, 음악소리와 (사람의) 노랫소리는 서로 어울리고, 앞과 뒤는 서로 따른다.''' | ||
+ | '''이런 까닭에 성인은 무위(無爲)의 일에 머무르면서''' | ||
+ | '''말 없는 가르침을 행한다.''' | ||
+ | '''만물이 일어나도 말하지 않으며, 살게 두되 소유하려 하지 않고, 베풀면서도 자신이 베풀었다 하지 않고, 공이 이루어져도 (그 공을 자기 덕분이라고) 자처하지 않는다.''' | ||
+ | '''공을 자처하지 않으니 (그 공이) 사라지지 않는다.''' | ||
+ | |||
[[분류: 신선사상과 콘텐츠]] | [[분류: 신선사상과 콘텐츠]] |
2022년 9월 29일 (목) 22:49 판
없음(無)에 관해 사유하다
☞ 나에게 없는 것은 무엇인가요? 아래에 들어가서 나에게 없는 것들을 모두 적어보세요!
1. [www.menti.com www.menti.com] 에 들어가셔서 코드번호 7887 2146 을 눌러주세요.
2. 나에게 없는 것을 생각할 때 떠오르는 것을 단어로 다 적어주세요.(10개까지 적을 수 있음)
3. 나에게 없는 것을 생각하면 드는 감정을 단어로 다 적어주세요.(10개까지 적을 수 있음)
<<노자>> 제11장
三十輻(삼십복)이 共一轂(공일곡)하나니 當其無(당기무)일새 有車之用(유거지용)하고 埏埴以爲器(연식이위기)하나니 當其無(당기무)일새 有器之用(유기지용)하고 鑿戶牖以爲室[착호유이위실]하나니 當其無[당기무]일새 有室之用[유실지용]이라 故有之以爲利(고유지이위리)는 無之以爲用(무지이위용)이니라
서른 개 바퀴살이 하나의 바퀴통에 모이는데 그 바퀴통이 비어 있기에 수레의 쓰임이 있다. 진흙을 이겨서 그릇을 만드니 그 (그릇 속이) 없기에[비어있기에] 그릇의 쓰임이 있고, 문과 창을 뚫어 방을 만드니 그 (방 속이) 없기에[비어있기에] 방의 쓰임이 있다. 그러므로 유(有)가 이로운 것은 무(無)가 쓰임이 되기 때문이다.
☞ 해설 참고: 동양고전종합DB
=> 바퀴, 그릇, 방, 창문은 물론 문 등의 형상을 통해 도(道)의 일정한 기능을 표현하고 있음. 빈 중심과 가득찬 주변으로 이루어진 구조는 물질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는 물론이고 영적으로나 정신적으로도 기능함
=> 성인은 자신의 마음을 비움으로써 스스로를 다스린다고 여겨지는 데 사회의 중심에 있는 성인 군주는 함이 없고 그럼으로써 국가가 잘 기능하도록 함
<<노자>> 제2장
天下皆知美之爲美(천하개지미지위미)나 斯惡已(사악이)요 皆知善之爲善(개지선지위미)이나 斯不善已(사불선이)라 故(고)로 有無相生(유무상생)하며 難易相成(난이상성)하며 長短相較(장단상교)하며 高下相傾(고하상경)하며 音聲相和(음성상화)하며 前後相隨(전후상수)니라 是以(시이)로 聖人(성인)은 處無爲之事(허무위지사)하고 行不言之敎(행불언지교)하여 萬物(만물)이 作焉而不(辭)(작언이불사)하며 生而不有(생이불유)하며 爲而不恃(위이불시)하며 功成而(弗)居(공성이불거)하나니 夫唯(弗)居(부유불거)니 是以不去(시이불거)니라
세상 사람들이 모두 아름다운 것을 아름답다고 여길 줄만 아는데 이것은 추한 것이다. 세상 사람들이 모두 선한 것을 선하다고 여길 줄만 아는데 이것은 선하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유[有(있음)]와 무[無(없음)]는 서로를 낳고, 어려움과 쉬움은 서로를 이루어주고, 긺과 짧음은 서로 비교되고, 높음과 낮음은 서로 기울며, 음악소리와 (사람의) 노랫소리는 서로 어울리고, 앞과 뒤는 서로 따른다. 이런 까닭에 성인은 무위(無爲)의 일에 머무르면서 말 없는 가르침을 행한다. 만물이 일어나도 말하지 않으며, 살게 두되 소유하려 하지 않고, 베풀면서도 자신이 베풀었다 하지 않고, 공이 이루어져도 (그 공을 자기 덕분이라고) 자처하지 않는다. 공을 자처하지 않으니 (그 공이) 사라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