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과 디지털인문융합: 한국고전데이터 활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4번째 줄: | 4번째 줄: | ||
☞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koreadh/featured</br> | ☞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koreadh/featured</br> | ||
+ | |||
+ | |||
+ | * 많이 진척시키지는 못했지만 다시 처음의 문제의식으로 돌아가보면... | ||
+ | |||
+ | [[파일:Mind Map Curved Right - Frame 1.jpg|500px]] | ||
+ | |||
+ | => 연구의 중요한 점은 연구범위를 좁혀나가는 것. 얼마 남지 않은 앞으로 2주간 같이 생각해 보면 좋을 것들</br> | ||
+ | |||
+ | 1. 문제의식은 현대 문제에 관한 것에서 시작할 수 있지만 꼭 그것이 연구의 메인 주제가 될 필요는 없다. 연구는 마라톤과 같은 것. 길게 보되 완주를 마칠 때까지 매 단계에 맞게 페이스를 조절하고 기본을 차근 차근 다져나가는 것 | ||
+ | => 현대적인 문제의식을 가지고 연구주제를 볼 때의 장점: 그 주제에 관해 다각도로 생각해 보고 다양한 질문을 던져볼 수 있음 | ||
+ | => 현대적인 문제의식을 가지고 연구주제를 볼 때의 함정: 연구(특히 철학 연구)는 범위를 한정하여 좁고 깊게 들어가야 하는데 자칫하면 과거부터 현대까지 다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음. 또 현대 언어와 과거 개념 사이의 간격을 무시해 버릴 수 있음 | ||
+ | => 현대적인 문제의식을 갖되 전략적으로 연구주제에 접근하는 방법: 서론이나 결론(특히 결론)에 왜 이런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는지를 언급하여 독자로 하여금 내 문제의식에 공감하게 하되, 결국 우리가 전격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내용은 원전 텍스트의 개념어임. 하지만 이 개념어를 지금 나에게 닥친 문제, 지금 우리 사회에 닥친 문제였다면 어떠했을까를 다각도로 생각해 보면서 다루게 되면 연구하는 재미도 느낄 수 있고 해당 개념어를 생생하게 풀어나갈 수 있음</br> | ||
+ | 2. 그렇다면 1과 같은 문제의식을 우리가 초반에 고민한 맹자(유가)의 윤리 유형별 판단 요소에 대입시켜 본다면? | ||
+ | => 윤리/도덕적 판단 상황 시 요청되는 다양한 고민 요소들 중, 유학적 사유에서는 궁극적으로 무엇이 문제가 될까? 무엇이 중요할까? 어떤 게 핵심 키워드가 될까?(물론 시중(時中)에 따른 적절한 판단의 요소가 열려있지만. 하지만 시중이 고려되는 상황에서도 유가적 관점에서는 여전히 원칙이 중시됨) | ||
+ | => 그렇다면 유학적인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보다 연구범위를 좁혀서 "뭣이 중한디?"의 우선순위를 고민해 볼 수 있지 않을까?(물론 공리주의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주의가 요구되지만) |
2023년 11월 22일 (수) 09:29 판
☞ 디지털 인문학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koreadh/featured
- 많이 진척시키지는 못했지만 다시 처음의 문제의식으로 돌아가보면...
=> 연구의 중요한 점은 연구범위를 좁혀나가는 것. 얼마 남지 않은 앞으로 2주간 같이 생각해 보면 좋을 것들
1. 문제의식은 현대 문제에 관한 것에서 시작할 수 있지만 꼭 그것이 연구의 메인 주제가 될 필요는 없다. 연구는 마라톤과 같은 것. 길게 보되 완주를 마칠 때까지 매 단계에 맞게 페이스를 조절하고 기본을 차근 차근 다져나가는 것 => 현대적인 문제의식을 가지고 연구주제를 볼 때의 장점: 그 주제에 관해 다각도로 생각해 보고 다양한 질문을 던져볼 수 있음 => 현대적인 문제의식을 가지고 연구주제를 볼 때의 함정: 연구(특히 철학 연구)는 범위를 한정하여 좁고 깊게 들어가야 하는데 자칫하면 과거부터 현대까지 다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음. 또 현대 언어와 과거 개념 사이의 간격을 무시해 버릴 수 있음 => 현대적인 문제의식을 갖되 전략적으로 연구주제에 접근하는 방법: 서론이나 결론(특히 결론)에 왜 이런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는지를 언급하여 독자로 하여금 내 문제의식에 공감하게 하되, 결국 우리가 전격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내용은 원전 텍스트의 개념어임. 하지만 이 개념어를 지금 나에게 닥친 문제, 지금 우리 사회에 닥친 문제였다면 어떠했을까를 다각도로 생각해 보면서 다루게 되면 연구하는 재미도 느낄 수 있고 해당 개념어를 생생하게 풀어나갈 수 있음
2. 그렇다면 1과 같은 문제의식을 우리가 초반에 고민한 맹자(유가)의 윤리 유형별 판단 요소에 대입시켜 본다면? => 윤리/도덕적 판단 상황 시 요청되는 다양한 고민 요소들 중, 유학적 사유에서는 궁극적으로 무엇이 문제가 될까? 무엇이 중요할까? 어떤 게 핵심 키워드가 될까?(물론 시중(時中)에 따른 적절한 판단의 요소가 열려있지만. 하지만 시중이 고려되는 상황에서도 유가적 관점에서는 여전히 원칙이 중시됨) => 그렇다면 유학적인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보다 연구범위를 좁혀서 "뭣이 중한디?"의 우선순위를 고민해 볼 수 있지 않을까?(물론 공리주의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주의가 요구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