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경특수연구: 주역 기초지식(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n_SW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54번째 줄: 54번째 줄:
 
* '''간괘 괘상'''
 
* '''간괘 괘상'''
  
[[파일:52 간괘.jpg|400px]]
+
[[파일:52 간괘.jpg|200px]]
  
 
○ 『주역』의 52번째 괘</br>
 
○ 『주역』의 52번째 괘</br>
 
○ 간괘는 상하가 모두 8괘의 간(艮)으로, 간(艮)은 산을 상징하고 “그친다(止)”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음</br>
 
○ 간괘는 상하가 모두 8괘의 간(艮)으로, 간(艮)은 산을 상징하고 “그친다(止)”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음</br>

2024년 3월 12일 (화) 10:57 판

『주역』 간괘(艮卦)로 보는 『주역』의 주요 개념들

『주역』의 주요 구성체계

  • 『주역』의 구성체계

주역 구성체계.png


  • 『역경』의 구성체계

역경 구성체계.png


  • 세상의 양면성이 담겨 있는 음과 양

Yinyang2.png


  • 『주역』의 8괘

8괘.png

☞ 상(象)

 『한비자』에 보이는 상(象)에 관한 이야기
사람들이 산 코끼리를 보기 힘들게 되자 죽은 코끼리의 뼈를 구해, 그림을 그려 산 모습을 떠올려보곤 했다. 그래서 여러 사람이 뜻으로 생각하는 것을 모두 '상(象)'이라 말한다. -『韓非子』, 「解老」: 人希見生象也, 而得死象之骨, 案其圖以想其生也, 故諸人之所以意想者皆謂之象也.


역(易)의 시초에 관한 전통적인 견해: 삼역(三易)

  • 주역(周易)의 의미: 주나라의 역(易)을 뜻함. 이는 주나라 이전 하(夏), 상(商) 시대에도 역이 존재했음을 의미함
  • 삼역(三易)

1. 하나라 연산역(連山易): 간괘(艮卦)가 가장 처음
2. 상나라 귀장역(歸藏易): 곤괘(坤卦)가 가장 처음
3. 주나라 주역(周易): 건괘(乾卦)가 가장 처음
- 『주례(周禮)』 「춘관종백(春官宗伯)」 <대복(大卜)>

이런 부분에 대해서도 그냥 넘어가지 않고 원전 자료를 찾아보는 습관을 가지면 좋겠습니다. 우리 공부는 결국 원전 공부가 큰 힘이 됩니다.
    • 하나라 역(易)인 연산(連山)의 의미를 정현(鄭玄)은 “산에서 운기(雲氣)가 들락날락하는 것과 같다”라고 해석했고 이는 구름이 산에서 들락날락하는 모습을 표현한 것임(『周禮注疏』, 「春官宗伯」, 鄭玄 注)
여기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 역(易)의 의미는?


간괘(艮卦)

  • 현행본『주역』의 체계

한국주역대전DB로 한 눈에 보는 『주역』체계


  • 간괘 괘상

52 간괘.jpg

○ 『주역』의 52번째 괘
○ 간괘는 상하가 모두 8괘의 간(艮)으로, 간(艮)은 산을 상징하고 “그친다(止)”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