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과 디지털인문융합: 주요 개념어 분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참고해 볼 만한 주요 키워드들''' | '''참고해 볼 만한 주요 키워드들''' | ||
利, 義, 知, 能, 孝, 弟, 仁, 道, 和, 直, 職, 民, 淸, 位, 官, 祿, 貴, 善, 賢, 敬, 善, 惡, 忍, 樂, 氣, 情, 名, 性, 德 등등 | 利, 義, 知, 能, 孝, 弟, 仁, 道, 和, 直, 職, 民, 淸, 位, 官, 祿, 貴, 善, 賢, 敬, 善, 惡, 忍, 樂, 氣, 情, 名, 性, 德 등등 | ||
+ | |||
+ | |||
+ | = '''개념어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 | ||
+ | |||
+ | *CTEXT(Chinese Text Project): https://ctext.org/ | ||
+ |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 | ||
+ | |||
+ | ☞ <span style="color:#ff0000;">'''그런데 이런 컴퓨터, 디지털 툴들이 없었을 때 어떻게 연구한 것들을 정리했을까요?'''</span> | ||
+ | |||
+ | [[파일:연구카드.png|500px]] | ||
+ | |||
+ | |||
+ | ☞ <span style="color:#ff0000;">'''컴퓨터, 디지털기술, 디지털 툴 덕분에 손쉽게 연구자료를 정리할 수 있게 되었지만 여전히 그 많고 난잡한 연구데이터를 어떠한 카테고리 안에 어떻게 분류하느냐는 연구자에게 달려있다. 특히 철학 연구자들은 하나의 개념어를 어떻게 분석하고 분류하고 해석해 내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결국 방법은 디지털 시대 이전보다 더 손쉬워졌지만 결국 연구자가 일일이 들여다보고 분석하고 분류하는 지난한 절차와 노력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것은 변함이 없다!'''</span> | ||
+ | |||
+ | |||
+ | == '''CTEXT 디지털 툴''' == | ||
+ | |||
+ | * '''CTEXT 창립자 도널드 스터전(Donald Sturgeon) 교수가 직접 설명한 CTEXT 디지털 툴 사용법 풀 버전(영어)''' | ||
+ | |||
+ | <html>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Srxsw4RMToA" title="Text Mining the Chinese Classics | Donald Sturgeon"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http://dh.aks.ac.kr/~red/wiki/index.php/Chinese_Text_Project CTEXT 소개 글(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 인문학연구소)]</br> | ||
+ | |||
+ | |||
+ | * '''CTEXT 디지털 툴 사용법(중국어)''': YouTube에서 "ctext" 치면 나옴''' | ||
+ | |||
+ | <html> | ||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mfoxPiYrnSE" title="CText: texttools 之 1"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 | * '''CTEXT 툴 사용법 안내''': http://ctext.org/plugins/texttools/#help |
2023년 10월 10일 (화) 23:21 기준 최신판
우리가 분석해 본 맹자의 윤리 유형[편집 | 원본 편집]
- 2023.10.4 분석 내용
=> Miro로 작업본
=> 마인드맵, 카테고리별 분류에 유용한 디지털 툴 Miro: https://miro.com/ko/
☞ 맹자윤리유형 검토: 미생고의 정직의 특징과 그의 정직이 왜 문제인가가 해석이 되나요?
공자가 말했다. “누가 微生高를 정직하다고 하는가? 어떤 사람이 식초를 求乞하자, 〈자기 집에 없는데도 없다고 말하지 않고〉 이웃집에서 구걸해다 주었다.” 子曰 "孰謂微生高直? 或乞醯焉, 乞諸其隣而與. -『논어』 「공야장(公冶長)」
☞ 번역문 참조: 동양고전종합DB
☞ 그렇다면 주요 개념어 분석을 통해 접근해 볼까요? 지난번 작업은 텍스트의 일정 부분을 처음부터 훑어보면서 정리하는 절차였다면 이번에는 주요 개념어 키워드를 중심으로 이 키워드의 층위, 내용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한번 분석해 봅시다! 이왕이면 Miro를 한번 활용해 보는 것도 좋겠네요!
참고해 볼 만한 주요 키워드들 利, 義, 知, 能, 孝, 弟, 仁, 道, 和, 直, 職, 民, 淸, 位, 官, 祿, 貴, 善, 賢, 敬, 善, 惡, 忍, 樂, 氣, 情, 名, 性, 德 등등
개념어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편집 | 원본 편집]
- CTEXT(Chinese Text Project): https://ctext.org/
-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
☞ 그런데 이런 컴퓨터, 디지털 툴들이 없었을 때 어떻게 연구한 것들을 정리했을까요?
☞ 컴퓨터, 디지털기술, 디지털 툴 덕분에 손쉽게 연구자료를 정리할 수 있게 되었지만 여전히 그 많고 난잡한 연구데이터를 어떠한 카테고리 안에 어떻게 분류하느냐는 연구자에게 달려있다. 특히 철학 연구자들은 하나의 개념어를 어떻게 분석하고 분류하고 해석해 내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결국 방법은 디지털 시대 이전보다 더 손쉬워졌지만 결국 연구자가 일일이 들여다보고 분석하고 분류하는 지난한 절차와 노력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것은 변함이 없다!
CTEXT 디지털 툴[편집 | 원본 편집]
- CTEXT 창립자 도널드 스터전(Donald Sturgeon) 교수가 직접 설명한 CTEXT 디지털 툴 사용법 풀 버전(영어)
☞ CTEXT 소개 글(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 인문학연구소)
- CTEXT 디지털 툴 사용법(중국어): YouTube에서 "ctext" 치면 나옴
- CTEXT 툴 사용법 안내: http://ctext.org/plugins/texttools/#he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