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 태괘와 비괘로 보는 소통의 지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66번째 줄: | 66번째 줄: | ||
[[파일:태괘 단전2.png|400px]] | [[파일:태괘 단전2.png|400px]] | ||
+ | |||
+ | |||
+ | == '''태괘(泰卦) 「상전」''' == | ||
+ | |||
+ | <span style="color:#3c68ba">'''象曰(상왈) 天地交泰(천지교태)니 后以(후이)하여 財成天地之道(재성천지지도)하며 輔相天地之宜(보상천지지의)하여 以左右民(이좌우민)하나니라.'''</span> | ||
+ | <span style="color:#3c68ba">'''「상전(象傳)」에 말했다. “천지가 교류함이 태(泰)이니, 군주가 이를 본받아서 천지의 도를 마름질하여 이루어주며 천지의 마땅함을 도와주어 백성을 돕는다.”'''</span> | ||
+ | |||
+ | |||
+ | * '''재성천지지도(財成天地之道: 천지의 도를 마름질하여 이루어줌)''' | ||
+ | ○ 재(財)는 '재물'의 뜻이지만 여러 문헌에서는 마름질한다는 ‘재(裁)’의 뜻으로 보았음. [https://jsg.aks.ac.kr/dir/view?dataId=JSG_K1-4 『경전석문』]에서는 순상(荀爽)본을 인용하여 ‘재(裁)’로 보았고, 『주역집해』에서는 정현의 설을 인용하여 ‘절(節)’로 보았으며, 『주역본의』에서는 ‘재(裁)’로 보았음. 이는 천지의 도를 마름질하여 이루어준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음. 마름질한다는 것은 사람들의 체격에 맞게 옷을 재단하여 만들어주는 것처럼 군주가 백성들에 요구와 현실에 맞게 적용해 준다는 것을 의미함</br> | ||
+ | |||
+ | |||
+ | * '''보상천지지의(輔相天地之宜) 이좌우민(以左右民: 천지의 마땅함을 도와주어 백성을 도움)''' | ||
+ | ○ 여기에서 ‘상(相)’에 대해 공영달은 ‘돕는다(助)’ 는 의미로 풀이했음. ‘좌우(左右)’ 역시 도와준다는 의미를 갖고 있음</br> | ||
+ | ○ 천지의 마땅함을 도와주어 백성을 돕는다는 의미에 대해 정이는 천지가 통하여 만물이 무성하게 완수되는 원리를 군주가 체득해서 법제를 만들며 백성들로 하여금 천시(天時)를 활용하고 지리적 이점에 근거해서 화육하는 공을 도와 풍성하고 아름다운 이로움을 이룰 수 있게 함</br> | ||
+ | ○ 예컨대 봄기운이 만물을 자라나게 하면 씨앗을 뿌리고 심는 법을 만들고 가을 기운이 만물을 성숙하게 하고 열매 맺게 하면 수확하는 법을 만드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음. 이것이 천지의 마땅함을 도와서 백성들을 돕는다는 의미로 볼 수 있는 것임(정이) | ||
+ | |||
+ | |||
+ | * '''소통의 전제: 다양성, 변화에 대한 인정''' | ||
+ | ○ 주역은 변화의 책임. 주역은 영어로 The Book of Changes라고 번역되는데 이를 직역하자면 ‘변화의 책’임</br> | ||
+ | ○ 불통의 원인, 불균형의 인간관계의 문제는 변화하지 않는 상대를 원하는 데에서 발생하기도 함</br> | ||
+ | ○ 우리가 처한 자리, 상황, 입장은 변함. 하지만 우리는 관계에서 상대의 변화를 인정하지 않으려고 함. 늘 한결같은 상대를 원하고 예전 그 사람을 원함. 여기에서 소통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음. 관계도 변함. 이 변화를 받아들이지 않는 관계는 건강하지 않음</br> | ||
+ | |||
+ | |||
+ | == '''태괘(泰卦) 효사와 「상전」''' == | ||
+ | |||
+ | <span style="color:#3c68ba">'''初九(초구)는 拔茅茹(발모여)라 以其彙征(이기휘정)이니 吉(길)하니라.'''</span> | ||
+ | <span style="color:#3c68ba">'''초구(初九)는 띠풀의 엉켜있는 뿌리를 뽑는 것이니 동류들과 함께 감이니, 길(吉)하다.'''</span> | ||
+ | |||
+ | <span style="color:#3c68ba">'''象曰(상왈) 拔茅征吉(모여정길)은 志在外也(지재외야)라.'''</span> | ||
+ | <span style="color:#3c68ba">'''「상전(象傳)」에 말했다. “‘띠풀의 엉켜있는 뿌리를 뽑는 것이니 동류들과 함께 감’은 뜻이 밖에 있는 것이다.”'''</span> | ||
+ | |||
+ | |||
+ | * '''발모여(拔茅茹: 띠풀의 엉켜있는 뿌리를 뽑음)''' | ||
+ | ○ ‘모(茅)’는 띠풀을 말함. 왕필은 띠풀이라는 식물의 특징에 대해 그 뿌리를 뽑으면 서로 매여서 끌려오는 것이라고 보았음. 또한 ‘여(茹)’는 서로 매여서 끌려오는 모양을 말하는 것이라고 보았음</br> | ||
+ | ○ 여기에서 ‘발모여(拔茅茹)’는 띠풀을 뽑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띠풀을 뽑을 때 뿌리가 서로 엉겨서 함께 올라오는 모양을 가지는 것을 의미함</br> | ||
+ | ○ 초구가 위로 가려고 하는데 구이, 구삼효가 모두 함께 위로 가려고 해서 자신이 감에 따라오는 것이 띠풀을 뽑아서 그 뿌리를 들어올림에 서로 이끌려 오는 모양임(공영달)</br> | ||
+ | |||
+ | |||
+ | * '''이기휘정길(以其彙征吉: 동류들과 함께 감)''' | ||
+ | ○ ‘휘(彙)’는 『경전석문』에 “류(類)”라고 했다. 즉 같은 성질을 지닌 부류, 동료의 무리를 의미함 | ||
+ | 띠풀을 뽑으면 뿌리가 함께 엉켜서 딸려 올라오듯이 초구, 구이, 구삼효가 함께 따라 올라감을 의미</br> | ||
+ | ○ 길하다고 본 이유에 대해 왕필은 상괘가 유순해서 응하며 거스르거나 막지 않아서 나아감에 모두 뜻을 얻기 때문이라고 보았음</br> | ||
+ | ○ 인간사에 대입시키면 양이 상징하는 현명한 사람이 자신의 동료들을 데리고 나아가서 뜻을 함께 하며 도를 행하는 상황임(정이)</br> | ||
+ | ○ 강건한 자질을 가지고 위로 올라가려는 성향을 가지고 있는 초구효가 동료들과 함께 올라감에 상괘의 음들이 이들을 배척하지 않는 상황으로 길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상황임</br> | ||
+ | |||
+ | |||
+ | * '''지재외(志在外: 뜻이 밖에 있음)''' | ||
+ | ○ 양강이 위로 올라가는 성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상전」에서는 뜻이 밖에 있다고 풀이했음. 상괘는 외괘라고도 지칭함</br> | ||
+ | |||
+ | |||
+ | <span style="color:#3c68ba">'''九二(구이)는 包荒(포황)하며 用馮河(용빙하)하며 不遐遺(불하유)하며 朋亡(붕망)하면 得尙于中行(득상우중행)하리라. '''</span> | ||
+ | <span style="color:#3c68ba">'''구이(九二)는 거친 것을 포용해 주고, 맨몸으로 황하(黃河) 건너는 것을 이용하며, 멀리 있는 것을 버리지 않고, 붕당(朋黨)을 없애면 중도를 행하는 사람에 짝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span> | ||
+ | |||
+ | <span style="color:#3c68ba">'''象曰(상왈) 包荒得尙于中行(포황득상우중행)은 以光大也(이광대야)라.'''</span> | ||
+ | <span style="color:#3c68ba">'''「상전(象傳)」에 말했다. “‘거친 것을 포용해주고 중도를 행하는 사람에 짝을 이룰 수 있음은’은 빛나고 크기 때문이다.”'''</span> | ||
+ | |||
+ | |||
+ | * '''포황(包荒: 거친 것을 포용해 줌)''' | ||
+ | ○ 구이는 중(中)의 자리에 있으면서 오효의 육오효와 응하는 상황임. 본성적으로는 강건하지만 중의 자리에 있고 태(泰)의 때의 태(泰)의 도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거칠고 더러운 것까지 포용해 줄 수 있는 것임</br> | ||
+ | ○ 소통을 위해서는 때론 거칠고 더러운 것까지 포용해 줄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포용해 줄 수 있는 넓은 도량을 지녀야 함</br> | ||
+ | |||
+ | |||
+ | * '''용빙하(用馮河: 맨몸으로 황하(黃河) 건너는 것을 이용함) | ||
+ | ○ ‘빙(馮)’은 맨 몸으로 강을 건너는 것을 의미함</br> | ||
+ | ○ 『논어(論語)』 「술이(述而)」에도 이러한 표현이 등장함</br> | ||
+ | “맨 손으로 호랑이를 치고 맨 몸으로 황하를 건너면서 죽어도 후회가 없는 사람하고 나는 함께하지 않을 것이다(暴虎馮河,死而無悔者,吾不與也)” | ||
+ | ○ 맨 몸으로 황하를 건넌다는 말은 고대에 관용적으로 쓰였던 관용구로 두려움이 없는 용기 있는 행동 또는 용기가 넘쳐 무모한 행동으로 언급되는 것으로 보임. 여기에서는 구이효가 지닌 거친 것까지 포용하는 덕이 맨몸으로 황하를 건널 수 있는 정도에 이른다는 의미로 쓰이고 있음</br> | ||
+ | |||
+ | |||
+ | * '''불하유(不遐遺)''' | ||
+ | ○ ‘하(遐)’는 멀다는 의미이고 ‘유(遺)’는 버린다는 의미임. 여기에서는 멀리 있는 것을 버리지 않는다는 의미로 해석됨</br> | ||
+ | ○ 왕필은 그 의미에 대해 마음 씀을 넓고 크게 해서 멀리 있는 것을 버림이 없어야 한다고 보았음. 정이는 이를 구체적인 인간사에 적용하여 일의 은미한 것, 현명한 인재가 후미지고 누추한 곳에 있는 것 등이 모두 먼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때가 편안하면 이들을 놓치고 버릴 수 있다는 점을 경계했음</br> | ||
+ | |||
+ | |||
+ | * '''붕망득상우중행(朋亡得尙于中行: 붕당을 없애면 중도를 행하는 사람에 짝을 이룰 수 있을 것임)''' | ||
+ | ○ 사심도 없고 치우침도 없는 상태임</br> | ||
+ | ○ ‘상(尙)’은 ‘짝한다(配)’는 의미로 육오의 중(中)에 짝할 수 있음을 말함</br> | ||
+ | ○ 이를 인간사에 적용시키면 시기가 편안해지면 사람들이 편안함에 익숙해져서 정이 제멋대로 풀어놓아져서 절제를 잃게 될 수 있음. 이러한 지경에 이르지 않으려면 무리를 지으며 함께 하는 사람들 간의 사사로운 정을 끊어 버려야 함</br> | ||
+ | ○ 『주역』에서 말하는 소통은 '''사사로운 감정에 얽힌 소통이 아님'''</br> | ||
+ | |||
+ | |||
+ | * '''이광대야(以光大也: 빛나고 크기 때문임)''' | ||
+ | ○ 거친 것을 포용해 주고 중도를 얻을 수 있는 사람은 그 사람이 광명정대해서 밝게 판단하고 사사로움이 없는 사람임</br> | ||
+ | |||
+ | |||
+ | <span style="color:#3c68ba">'''九三(구삼)은 无平不陂(무평불피)며 无往不復(무왕불복)이니 艱貞(간정)이면 无咎(무구)하여 勿恤其孚(물휼기부)라 于食(우식)에 有福(유복)하리라.'''</span> | ||
+ | <span style="color:#3c68ba">'''구삼(九三)은 평평한 것 치고 기울지 않는 것은 없으며 간 것 치고 돌아오지 않는 것은 없으니, 어려워도 바름을 지키면 허물이 없어 신뢰를 얻을까 걱정하지 않아도 녹을 먹는 일에 복이 있을 것이다.'''</span> | ||
+ | |||
+ | <span style="color:#3c68ba">'''象曰(상왈) 无往不復(무왕불복)은 天地際也(천지제야)라.'''</span> | ||
+ | <span style="color:#3c68ba">'''「상전(象傳)」에 말했다. “간 것 치고 돌아오지 않음이 없음은 천지가 교제하는 것이다.”'''</span> | ||
+ | |||
+ | |||
+ | * '''무평불피(无平不陂) 무왕불복(无往不復: 평평한 것 치고 기울지 않는 것은 없으며 간 것 치고 돌아오지 않는 것은 없음)''' | ||
+ | ○ ‘평(平)’과 ‘피(陂)’는 서로 반대되는 말로 평평한 것, 기운 것을 의미. ‘왕(往)’과 ‘복(復)’도 서로 반대되는 말임</br> | ||
+ | ○ 건은 위에 근본을 두고 곤은 아래에 근본을 두는데 삼효가 천지의 사이에 처해 있으면서 장차 자신이 머물러야 할 곳으로 돌아갈 것임을 말함(왕필)</br> | ||
+ | ○ 태괘에서는 건괘의 양효가 아래에서부터 시작되었지만 위로 돌아가려는 성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위치적 변화, 상황적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 자연적인 변화의 원리임을 평평한 것은 기울어지기 마련이고 간 것은 돌아오기 마련이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음</br> | ||
+ | ○ 주희는 이를 태괘의 시대가 장차 극에 이르러서 비괘의 시대가 오려고 함을 중(中)의 자리를 지난 태괘의 구삼효가 보여주고 있다고 보았음</br> | ||
+ | |||
+ | |||
+ | * '''간정무구(艱貞无咎: 어려워도 바름을 지키면 허물이 없음)''' | ||
+ | ○ 하괘에서 상괘, 건괘에서 곤괘, 태괘에서 비괘로 전환되는 변혁의 시기에 놓여 있어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바름을 지켜갈 수 있다면 허물이 없을 것임</br> | ||
+ | ○ 삼효의 자리는 하괘에서 상괘, 내괘에서 외괘로의 전환의 단계에서 있어서 다소 위태로운 시기에 해당되면서도, 태괘에서 비색한 시대인 비괘로의 전환의 조짐이 시작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어려운 상황으로 표현되고 있음</br> | ||
+ | |||
+ | |||
+ | * '''물휼기부(勿恤其孚) 우식유복(于食有福: 신뢰를 얻을까 걱정하지 않아도 녹을 먹는 일에 복이 있을 것임)''' | ||
+ | ○ 왕필은 ‘부(孚)’를 ‘신의(信義)’로 보았음</br> | ||
+ | ○ 어려워도 바름을 지킬 수 있으면 그 신의를 잃지 않을 것이고, 신의가 진실로 드러나기 때문에 그 신의를 걱정하지 않아도 저절로 밝게 드러날 것임(왕필)</br> | ||
+ | ○ 어려운 시기더라도 자신을 바르게 지켜갈 수 있다면 자신이 지닌 신의가 저절로 드러나 다른 사람에게서도 신뢰를 얻기 때문에 관직에 나아가는 일 등에 있어서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음을 의미함</br> | ||
+ | |||
+ | |||
+ | * '''무왕불복(无往不復) 천지제야(天地際也: 간 것 치고 돌아오지 않음이 없음은 천지가 교제하는 것임)''' | ||
+ | ○ 삼효가 천지가 교제하는 곳에 위치해 있어서 양이 위로 올라가고 음이 아래로 내려오는 것이 간 것이 다리 돌아오는 원리와 통함을 말해주고 있음</br> | ||
+ | |||
+ | |||
+ | <span style="color:#3c68ba">'''六四(육사)는 翩翩(편편)히 不富以其隣(불부이기린)하여 不戒以孚(불계이부)로다.'''</span> | ||
+ | <span style="color:#3c68ba">'''육사(六四)는 날아 내려가듯이 부유하지 않으면서도 그 이웃들과 함께 하여 경계하지 않아도 믿는다.'''</span> | ||
+ | |||
+ | <span style="color:#3c68ba">'''象曰(상왈) 无往不復(무왕불복)은 天地際也(천지제야)라.'''</span> | ||
+ | <span style="color:#3c68ba">'''「상전(象傳)」에 말했다. “간 것 치고 돌아오지 않음이 없음은 천지가 교제하는 것이다.”'''</span> | ||
+ | |||
+ | |||
+ | * '''불부이기린(不富以其隣) 불계이부(不戒以孚: 부유하지 않으면서도 그 이웃들과 함께 하여 경계하지 않아도 믿)''' | ||
+ | ○ “불부(不富: 부유하지 않음)”는 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사효는 음효로 음효는 양효에 비해 가운데가 비어있어 ‘허(虛)’라고 하기도 하고 ‘불부(不富)’라고 하기도 함. 현재 사효와 그 이웃은 오효, 상효는 모두 아래로 내려가려는 뜻을 갖고 있기 때문에 경계해서 설득시키거나 하는 절차 없이 저절로 믿고서 사효를 따를 수 있는 것임</br> | ||
+ | |||
+ | |||
+ | * '''편편불부(翩翩不富)는 개실실야(皆失實也)'''' | ||
+ | ○ “실을 잃었다(失實)”는 것은 땅을 상징하는 곤괘의 음들은 본래 그들의 실질적인 거처가 아래에 있지만, 지금 위에 있어 그 실질적이 거처를 잃어버렸다는 의미로 볼 수 있음</br> | ||
+ | |||
+ | |||
+ | * '''중심원야(中心願也: 속마음이 원하기 때문임)''' | ||
+ | ○ 육사를 비롯하여 육오, 상육 모두 아래로 돌아오는 것을 진심으로 원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속마음이 원해서 경계하지 않아도 믿는다고 표현한 것임</br> | ||
+ | |||
+ | |||
+ | <span style="color:#3c68ba">'''六五(육오)는 帝乙歸妹(제을귀매)니 以祉(이지)며 元吉(원길)이리라.'''</span> | ||
+ | <span style="color:#3c68ba">'''육오(六五)는 제을(帝乙)이 여동생을 시집보내어 복을 받으며 크게 길할 것이다.'''</span> | ||
+ | |||
+ | <span style="color:#3c68ba">'''象曰(상왈) 以祉元吉(이지원길)은 中以行願也(중이행원야)라.'''</span> | ||
+ | <span style="color:#3c68ba">'''「상전(象傳)」에 말했다. “‘복을 받으며 크게 길함은’은 중(中)으로 원하는 것을 행하기 때문이다.” '''</span> | ||
+ | |||
+ | |||
+ | * '''제을귀매(帝乙歸妹: 제을(帝乙)이 여동생을 시집보냄)''' | ||
+ | ○ 여성이 결혼하는 것을 ‘귀(歸)’라고 하며 이는 시집보낸다는 뜻임</br> | ||
+ | ○ 육오는 여성을 상징하며 오효의 존귀한 자리에 위치해 있음. 오효와 응의 관계에 있는 구이효는 아래에 있기 때문에 오효가 몸을 낮추어 시집을 가는 상황임</br> | ||
+ | ○ 여기에서 제을은 을(乙)이라는 이름을 가진 은나라 시기의 왕으로 추정되며 정병석은 주(紂)의 아버지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았음</br> | ||
+ | ○ 왕이 자신의 여동생을 구이의 아래 자리에 있는 신하에게 시집보내는 상황으로 지위는 낮지만 현명한 사람으로 충심으로 따르기 때문에 길한 상황으로 해석되고 있음</br> | ||
+ | |||
+ | |||
+ | * '''이지원길(以祉元吉: 복을 받으며 크게 길할 것임)''' | ||
+ | ○ ‘지(祉)’는 복임. 지금 구이효와 육오효가 서로 정응관계에 있는 상황으로, 오효가 유순하고 중의 자리에 위치해 있으면서도 마음이 원하는 대로 행할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복을 얻을 수 있으며, 음양이 교하는 도를 다하고 있기 때문에 크게 길한 것임</br> | ||
+ | |||
+ | |||
+ | * '''중이행원(中以行願也: 중(中)으로 원하는 것을 행하기 때문)''' | ||
+ | ○ 중도로 원하는 것을 행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예에 맞는 상황임. 신하에게 낮추어서 시집 보내는 상황이지만 그 대상자가 현명하고 어진 사람이기 때문에 예에 맞음</br> | ||
+ | => 진정한 소통은 지위 등 외적 요인을 떠난 진실한 만남임. 지위, 나이 등을 떠나 그 사람이 지닌 사람됨과 자질을 진심으로 존중할 수 있는 만남임</br> | ||
+ | |||
+ | |||
+ | <span style="color:#3c68ba">'''上六(상육)은 城復于隍(성복우황)이라 勿用師(물용사)요 自邑告命(자읍고명)이니 貞(정)이라도 吝(린)하니라. '''</span> | ||
+ | <span style="color:#3c68ba">'''상육(上六)은 성(城)이 무너져 해자로 돌아감이니 군대를 쓰지 말아야 하며 자기의 읍에서 명령을 고해야 하는데 바름을 지키더라도 부끄러운 일을 당하게 될 것이다.'''</span> | ||
+ | |||
+ | <span style="color:#3c68ba">'''象曰(상왈) 城復于隍(성복우황)은 其命(기명)이 亂也(난야)라.'''</span> | ||
+ | <span style="color:#3c68ba">'''「상전(象傳)」에 말했다. “성(城)이 무너져 해자로 돌아감은 그 명(命)이 어지러운 것이다.” '''</span> | ||
+ | |||
+ | |||
+ | * '''성복우황(城復于隍) 물용사(勿用師: 성(城)이 무너져 해자로 돌아감이니 군대를 쓰지 말아야 함)''' | ||
+ | ○ ‘황(隍)’은 해자를 의미</br> | ||
+ | ○ 지금 상육은 태괘의 가장 마지막 자리에 놓여 있으므로 태괘의 도가 점차 사그라들고 비괘로 진입해나가는 상황임</br> | ||
+ | ○ 성이 무너져 성을 짓기 위해 땅을 파서 생긴 도랑인 해자로 돌아간 상황임</br> | ||
+ | ○ 왕필은 태괘의 중요한 도인 상하 소통의 도가 사그라든 상황으로 보아 위아래가 서로 교제하지 않고 낮은 데 있는 사람이 위를 받들지 않고 존귀한 자리에 있는 사람이 아래로 시혜를 베풀지 않는 상황으로 보았음. 그렇기 때문에 아랫사람들을 움직이는 군대를 써서는 안 되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음</br> | ||
+ | ○ 군중을 움직이는 데 있어서 상하간의 소통이 필수적인 전제조건임을 다시금 생각해 보게 함</br> | ||
+ | |||
+ | |||
+ | * '''자읍고명(自邑告命) 정린(貞吝: 자기의 읍에서 명령을 고해야 하는데 바름을 지키더라도 부끄러운 일을 당하게 될 것임)''' | ||
+ | ○ 태괘 상육의 자리는 태괘의 도가 다하고 이제 비색한 시대로 들어가는 길목에 놓여 있음</br> | ||
+ | ○ 공영달은 이 구절에 대해 비색한 도가 이미 이루어지고 있기에 타인들이 순종하지 않을 것이며 자기의 읍에서 명령을 고했다고 하더라도 아래에서 따르지 않아서 바르게 하더라도 부끄러움을 면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다고 보았음</br> | ||
+ | ○ 여기에서 읍이란 자기의 명령이 통할 수 있는 자신과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읍인데, 비색한 때로 접어드는 시점에서 이 읍 정도에서만 명령해야 하며, 혹은 명령을 하더라도 뜻대로 되지 않는 가능성이 큰 것임</br> | ||
+ | |||
+ | |||
+ | * '''기명난야(其命亂也: 그 명(命)이 어지러운 것임)''' | ||
+ | ○ 이 구절은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음</br> | ||
+ | ○ 첫째는 명령이 어지럽다는 뜻임. 공영달은 군주의 명령이 어지럽지 않으면 신하가 마땅히 군주를 도울 것이라고 보았음. 마치 땅이 그 위에 세워진 성을 떠받치는 것처럼. 하지만 그 명령이 헷갈리고 어지럽기 때문에 아랫사람은 윗사람을 받들지 않는다고 보았음</br> | ||
+ | ○ 두 번째는 명운이 어지럽다는 뜻임. 태괘의 시대가 극에 달해 비색한 시대로 전환됨은 천지자연의 명운이어서 피하거나 모면할 수가 없다고 했음. 이는 명운이 이미 비색한 시대로 접어들었기 때문에 어찌할 수 없는 상황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임(상병화, 『상씨학(尙氏學)』)</br> | ||
+ | => 물극필반의 원리에 대한 수용. 내려놓음</br> | ||
+ | |||
+ | = '''오늘 나눌 이야기(2023.11.6)''' = | ||
+ | |||
+ | ☞ <span style="color:#ff0000;">'''주역의 태괘를 통해 자신이 앞으로 마음에 새기고 갈 소통의 제1원칙을 생각해보세요. 제1원칙을 아이캠퍼스 토론방에 각자 올리시고 조별로 이야기 나누어 보시기 바랍니다!'''</span> | ||
+ | |||
+ | |||
+ | [[분류: 주역]] |
2023년 11월 8일 (수) 10:18 기준 최신판
☞ 소통이 왜 필요할까요? 소통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소통의 본질이 뭘까요?
태괘(泰卦)와 비괘(否卦), 소통과 불통[편집 | 원본 편집]
태괘[편집 | 원본 편집]
- 태괘(泰卦)의 괘상
○ 지천태(地天泰), 건하곤상(乾下坤上)
○ 태괘는 하괘의 건괘와 상괘의 곤괘로 구성되어 있음
- 괘의 순서: 『주역』의 11번째 괘
- 태(泰)의 의미
○ 태(泰)는 기본적으로 편안한, 태평함을 의미함
○ 태괘는 기본적으로 다스려지는 시대, 태평한 시대를 의미
○ 서로 교류하고 소통해서 태평해질 수 있는 상황
☞ 그런데 왜 하늘과 땅이 뒤집힌 태괘가 태평함, 소통을 의미하는 괘일까?
비괘[편집 | 원본 편집]
- 비괘(否卦)의 괘상
=> 태괘와 비괘는 위아래가 서로 뒤집혀 있어서 위아래가 뒤집혀 있다는 뜻에서 도전괘(倒顚卦)라고도 함
○ 천지비(天地否), 곤하건상(坤下乾上)
○ 비괘는 하괘의 곤괘와 상괘의 건괘로 구성되어 있음
- 괘의 순서: 『주역』의 12번째 괘
- 비(否)의 의미
○ '否'는 '아니다'라는 뜻일 때는 '부'라고 읽고 '막히다'는 뜻일 때는 '비'라고 읽음
○ 태괘가 천지가 서로 소통하고 교류하는 상태라면 비괘는 이러한 교류와 소통이 막힌 상태임
○ 비괘의 전체적인 뜻은 막힘, 불통이지만 비괘의 효사로 들어가서 살펴보면 실제로는 흉이나 허물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지 않음. 비괘의 시대에는 자신의 뜻을 알아주기 어려운 시대인 만큼 군자가 자신의 뜻을 펼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결국 순리대로, 옳은 신념을 따라 이 시기를 겪어낼 수 있다면 마지막에는 막힌 것이 그치고 전복되는 새로운 전환기가 도래하게 됨
태괘(泰卦) 괘사[편집 | 원본 편집]
泰(태)는 小往(소왕)하고 大來(대래)하니 吉(길)하여 亨(형)하니라. 태는 작은 것이 가고 큰 것이 오니 길하여 형통하다.
- 작은 것(小)은 음을 의미하고 큰 것(大)은 양을 의미함
- 하늘과 양은 위로 올라가려는 속성이 있기 때문에 아래에 있는 하늘과 양은 위로 올라가려고 하고 땅과 음은 아래로 내려가려는 속성이 있게 때문에 위에 있는 하늘과 음은 아래로 내려오려고 해서 서로 교류하기 때문에 태평해질 수 있음
태괘(泰卦) 「단전」[편집 | 원본 편집]
彖曰(단왈) 泰小往大來吉亨(태소왕대래길형)은 則是天地交而萬物通也(즉시천지교이만물통야)며 上下交而其志同也(상하교이기지동야)라. 內陽而外陰(내양이외음)하며 內健而外順(내건이외순)하며 內君子而外小人(내군자이외소인)하니 君子道長(군자도장)하고 小人道消也(소인도소야)라. 「단전(彖傳)」에 말했다. “‘태는 작은 것이 가고 큰 것이 오니 길하여 형통하다(泰小往大來吉亨)’라고 한 것은 천지가 교류해서 만물이 통하고, 위아래가 교류해서 그 뜻이 같아지는 것이다. 양이 안에 있고 음이 밖에 있으며 강건함이 안에 있고 유순함이 밖에 있으며 군자가 안에 있고 소인이 밖에 있으니, 군자의 도가 자라나고 소인의 도가 사그라드는 것이다.”
- 하늘은 하괘의 건괘를 의미하고 땅은 상괘의 곤괘를 의미함. 건괘의 양은 위로 올라가려는 성질을 지니고 있고 곤괘의 음은 아래로 내려오려는 성질을 지니고 있음. 건괘가 하괘에 있어서 위로 올라가려고 하고 곤괘가 상괘에 있어 아래로 내려오려고 하기 때문에 서로 교류하게 된다고 보았음
- 내괘인 건괘는 양, 강건함, 군자를 상징하고 외괘인 곤괘는 음, 유순함, 소인을 상징함. 이는 지금 안에서는 아래에서부터 양으로 상징되는 군자가 자라나고 있고 밖에 있는 음으로 상징되는 소인은 점차 제거되고 있는 상황임을 말하고 있는 것임
태괘(泰卦) 「상전」[편집 | 원본 편집]
象曰(상왈) 天地交泰(천지교태)니 后以(후이)하여 財成天地之道(재성천지지도)하며 輔相天地之宜(보상천지지의)하여 以左右民(이좌우민)하나니라. 「상전(象傳)」에 말했다. “천지가 교류함이 태(泰)이니, 군주가 이를 본받아서 천지의 도를 마름질하여 이루어주며 천지의 마땅함을 도와주어 백성을 돕는다.”
- 재성천지지도(財成天地之道: 천지의 도를 마름질하여 이루어줌)
○ 재(財)는 '재물'의 뜻이지만 여러 문헌에서는 마름질한다는 ‘재(裁)’의 뜻으로 보았음. 『경전석문』에서는 순상(荀爽)본을 인용하여 ‘재(裁)’로 보았고, 『주역집해』에서는 정현의 설을 인용하여 ‘절(節)’로 보았으며, 『주역본의』에서는 ‘재(裁)’로 보았음. 이는 천지의 도를 마름질하여 이루어준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음. 마름질한다는 것은 사람들의 체격에 맞게 옷을 재단하여 만들어주는 것처럼 군주가 백성들에 요구와 현실에 맞게 적용해 준다는 것을 의미함
- 보상천지지의(輔相天地之宜) 이좌우민(以左右民: 천지의 마땅함을 도와주어 백성을 도움)
○ 여기에서 ‘상(相)’에 대해 공영달은 ‘돕는다(助)’ 는 의미로 풀이했음. ‘좌우(左右)’ 역시 도와준다는 의미를 갖고 있음
○ 천지의 마땅함을 도와주어 백성을 돕는다는 의미에 대해 정이는 천지가 통하여 만물이 무성하게 완수되는 원리를 군주가 체득해서 법제를 만들며 백성들로 하여금 천시(天時)를 활용하고 지리적 이점에 근거해서 화육하는 공을 도와 풍성하고 아름다운 이로움을 이룰 수 있게 함
○ 예컨대 봄기운이 만물을 자라나게 하면 씨앗을 뿌리고 심는 법을 만들고 가을 기운이 만물을 성숙하게 하고 열매 맺게 하면 수확하는 법을 만드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음. 이것이 천지의 마땅함을 도와서 백성들을 돕는다는 의미로 볼 수 있는 것임(정이)
- 소통의 전제: 다양성, 변화에 대한 인정
○ 주역은 변화의 책임. 주역은 영어로 The Book of Changes라고 번역되는데 이를 직역하자면 ‘변화의 책’임
○ 불통의 원인, 불균형의 인간관계의 문제는 변화하지 않는 상대를 원하는 데에서 발생하기도 함
○ 우리가 처한 자리, 상황, 입장은 변함. 하지만 우리는 관계에서 상대의 변화를 인정하지 않으려고 함. 늘 한결같은 상대를 원하고 예전 그 사람을 원함. 여기에서 소통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음. 관계도 변함. 이 변화를 받아들이지 않는 관계는 건강하지 않음
태괘(泰卦) 효사와 「상전」[편집 | 원본 편집]
初九(초구)는 拔茅茹(발모여)라 以其彙征(이기휘정)이니 吉(길)하니라. 초구(初九)는 띠풀의 엉켜있는 뿌리를 뽑는 것이니 동류들과 함께 감이니, 길(吉)하다.
象曰(상왈) 拔茅征吉(모여정길)은 志在外也(지재외야)라. 「상전(象傳)」에 말했다. “‘띠풀의 엉켜있는 뿌리를 뽑는 것이니 동류들과 함께 감’은 뜻이 밖에 있는 것이다.”
- 발모여(拔茅茹: 띠풀의 엉켜있는 뿌리를 뽑음)
○ ‘모(茅)’는 띠풀을 말함. 왕필은 띠풀이라는 식물의 특징에 대해 그 뿌리를 뽑으면 서로 매여서 끌려오는 것이라고 보았음. 또한 ‘여(茹)’는 서로 매여서 끌려오는 모양을 말하는 것이라고 보았음
○ 여기에서 ‘발모여(拔茅茹)’는 띠풀을 뽑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띠풀을 뽑을 때 뿌리가 서로 엉겨서 함께 올라오는 모양을 가지는 것을 의미함
○ 초구가 위로 가려고 하는데 구이, 구삼효가 모두 함께 위로 가려고 해서 자신이 감에 따라오는 것이 띠풀을 뽑아서 그 뿌리를 들어올림에 서로 이끌려 오는 모양임(공영달)
- 이기휘정길(以其彙征吉: 동류들과 함께 감)
○ ‘휘(彙)’는 『경전석문』에 “류(類)”라고 했다. 즉 같은 성질을 지닌 부류, 동료의 무리를 의미함
띠풀을 뽑으면 뿌리가 함께 엉켜서 딸려 올라오듯이 초구, 구이, 구삼효가 함께 따라 올라감을 의미
○ 길하다고 본 이유에 대해 왕필은 상괘가 유순해서 응하며 거스르거나 막지 않아서 나아감에 모두 뜻을 얻기 때문이라고 보았음
○ 인간사에 대입시키면 양이 상징하는 현명한 사람이 자신의 동료들을 데리고 나아가서 뜻을 함께 하며 도를 행하는 상황임(정이)
○ 강건한 자질을 가지고 위로 올라가려는 성향을 가지고 있는 초구효가 동료들과 함께 올라감에 상괘의 음들이 이들을 배척하지 않는 상황으로 길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상황임
- 지재외(志在外: 뜻이 밖에 있음)
○ 양강이 위로 올라가는 성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상전」에서는 뜻이 밖에 있다고 풀이했음. 상괘는 외괘라고도 지칭함
九二(구이)는 包荒(포황)하며 用馮河(용빙하)하며 不遐遺(불하유)하며 朋亡(붕망)하면 得尙于中行(득상우중행)하리라. 구이(九二)는 거친 것을 포용해 주고, 맨몸으로 황하(黃河) 건너는 것을 이용하며, 멀리 있는 것을 버리지 않고, 붕당(朋黨)을 없애면 중도를 행하는 사람에 짝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象曰(상왈) 包荒得尙于中行(포황득상우중행)은 以光大也(이광대야)라. 「상전(象傳)」에 말했다. “‘거친 것을 포용해주고 중도를 행하는 사람에 짝을 이룰 수 있음은’은 빛나고 크기 때문이다.”
- 포황(包荒: 거친 것을 포용해 줌)
○ 구이는 중(中)의 자리에 있으면서 오효의 육오효와 응하는 상황임. 본성적으로는 강건하지만 중의 자리에 있고 태(泰)의 때의 태(泰)의 도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거칠고 더러운 것까지 포용해 줄 수 있는 것임
○ 소통을 위해서는 때론 거칠고 더러운 것까지 포용해 줄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포용해 줄 수 있는 넓은 도량을 지녀야 함
- 용빙하(用馮河: 맨몸으로 황하(黃河) 건너는 것을 이용함)
○ ‘빙(馮)’은 맨 몸으로 강을 건너는 것을 의미함
○ 『논어(論語)』 「술이(述而)」에도 이러한 표현이 등장함
“맨 손으로 호랑이를 치고 맨 몸으로 황하를 건너면서 죽어도 후회가 없는 사람하고 나는 함께하지 않을 것이다(暴虎馮河,死而無悔者,吾不與也)”
○ 맨 몸으로 황하를 건넌다는 말은 고대에 관용적으로 쓰였던 관용구로 두려움이 없는 용기 있는 행동 또는 용기가 넘쳐 무모한 행동으로 언급되는 것으로 보임. 여기에서는 구이효가 지닌 거친 것까지 포용하는 덕이 맨몸으로 황하를 건널 수 있는 정도에 이른다는 의미로 쓰이고 있음
- 불하유(不遐遺)
○ ‘하(遐)’는 멀다는 의미이고 ‘유(遺)’는 버린다는 의미임. 여기에서는 멀리 있는 것을 버리지 않는다는 의미로 해석됨
○ 왕필은 그 의미에 대해 마음 씀을 넓고 크게 해서 멀리 있는 것을 버림이 없어야 한다고 보았음. 정이는 이를 구체적인 인간사에 적용하여 일의 은미한 것, 현명한 인재가 후미지고 누추한 곳에 있는 것 등이 모두 먼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때가 편안하면 이들을 놓치고 버릴 수 있다는 점을 경계했음
- 붕망득상우중행(朋亡得尙于中行: 붕당을 없애면 중도를 행하는 사람에 짝을 이룰 수 있을 것임)
○ 사심도 없고 치우침도 없는 상태임
○ ‘상(尙)’은 ‘짝한다(配)’는 의미로 육오의 중(中)에 짝할 수 있음을 말함
○ 이를 인간사에 적용시키면 시기가 편안해지면 사람들이 편안함에 익숙해져서 정이 제멋대로 풀어놓아져서 절제를 잃게 될 수 있음. 이러한 지경에 이르지 않으려면 무리를 지으며 함께 하는 사람들 간의 사사로운 정을 끊어 버려야 함
○ 『주역』에서 말하는 소통은 사사로운 감정에 얽힌 소통이 아님
- 이광대야(以光大也: 빛나고 크기 때문임)
○ 거친 것을 포용해 주고 중도를 얻을 수 있는 사람은 그 사람이 광명정대해서 밝게 판단하고 사사로움이 없는 사람임
九三(구삼)은 无平不陂(무평불피)며 无往不復(무왕불복)이니 艱貞(간정)이면 无咎(무구)하여 勿恤其孚(물휼기부)라 于食(우식)에 有福(유복)하리라. 구삼(九三)은 평평한 것 치고 기울지 않는 것은 없으며 간 것 치고 돌아오지 않는 것은 없으니, 어려워도 바름을 지키면 허물이 없어 신뢰를 얻을까 걱정하지 않아도 녹을 먹는 일에 복이 있을 것이다.
象曰(상왈) 无往不復(무왕불복)은 天地際也(천지제야)라. 「상전(象傳)」에 말했다. “간 것 치고 돌아오지 않음이 없음은 천지가 교제하는 것이다.”
- 무평불피(无平不陂) 무왕불복(无往不復: 평평한 것 치고 기울지 않는 것은 없으며 간 것 치고 돌아오지 않는 것은 없음)
○ ‘평(平)’과 ‘피(陂)’는 서로 반대되는 말로 평평한 것, 기운 것을 의미. ‘왕(往)’과 ‘복(復)’도 서로 반대되는 말임
○ 건은 위에 근본을 두고 곤은 아래에 근본을 두는데 삼효가 천지의 사이에 처해 있으면서 장차 자신이 머물러야 할 곳으로 돌아갈 것임을 말함(왕필)
○ 태괘에서는 건괘의 양효가 아래에서부터 시작되었지만 위로 돌아가려는 성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위치적 변화, 상황적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 자연적인 변화의 원리임을 평평한 것은 기울어지기 마련이고 간 것은 돌아오기 마련이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음
○ 주희는 이를 태괘의 시대가 장차 극에 이르러서 비괘의 시대가 오려고 함을 중(中)의 자리를 지난 태괘의 구삼효가 보여주고 있다고 보았음
- 간정무구(艱貞无咎: 어려워도 바름을 지키면 허물이 없음)
○ 하괘에서 상괘, 건괘에서 곤괘, 태괘에서 비괘로 전환되는 변혁의 시기에 놓여 있어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바름을 지켜갈 수 있다면 허물이 없을 것임
○ 삼효의 자리는 하괘에서 상괘, 내괘에서 외괘로의 전환의 단계에서 있어서 다소 위태로운 시기에 해당되면서도, 태괘에서 비색한 시대인 비괘로의 전환의 조짐이 시작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어려운 상황으로 표현되고 있음
- 물휼기부(勿恤其孚) 우식유복(于食有福: 신뢰를 얻을까 걱정하지 않아도 녹을 먹는 일에 복이 있을 것임)
○ 왕필은 ‘부(孚)’를 ‘신의(信義)’로 보았음
○ 어려워도 바름을 지킬 수 있으면 그 신의를 잃지 않을 것이고, 신의가 진실로 드러나기 때문에 그 신의를 걱정하지 않아도 저절로 밝게 드러날 것임(왕필)
○ 어려운 시기더라도 자신을 바르게 지켜갈 수 있다면 자신이 지닌 신의가 저절로 드러나 다른 사람에게서도 신뢰를 얻기 때문에 관직에 나아가는 일 등에 있어서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음을 의미함
- 무왕불복(无往不復) 천지제야(天地際也: 간 것 치고 돌아오지 않음이 없음은 천지가 교제하는 것임)
○ 삼효가 천지가 교제하는 곳에 위치해 있어서 양이 위로 올라가고 음이 아래로 내려오는 것이 간 것이 다리 돌아오는 원리와 통함을 말해주고 있음
六四(육사)는 翩翩(편편)히 不富以其隣(불부이기린)하여 不戒以孚(불계이부)로다. 육사(六四)는 날아 내려가듯이 부유하지 않으면서도 그 이웃들과 함께 하여 경계하지 않아도 믿는다.
象曰(상왈) 无往不復(무왕불복)은 天地際也(천지제야)라. 「상전(象傳)」에 말했다. “간 것 치고 돌아오지 않음이 없음은 천지가 교제하는 것이다.”
- 불부이기린(不富以其隣) 불계이부(不戒以孚: 부유하지 않으면서도 그 이웃들과 함께 하여 경계하지 않아도 믿)
○ “불부(不富: 부유하지 않음)”는 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 사효는 음효로 음효는 양효에 비해 가운데가 비어있어 ‘허(虛)’라고 하기도 하고 ‘불부(不富)’라고 하기도 함. 현재 사효와 그 이웃은 오효, 상효는 모두 아래로 내려가려는 뜻을 갖고 있기 때문에 경계해서 설득시키거나 하는 절차 없이 저절로 믿고서 사효를 따를 수 있는 것임
- 편편불부(翩翩不富)는 개실실야(皆失實也)'
○ “실을 잃었다(失實)”는 것은 땅을 상징하는 곤괘의 음들은 본래 그들의 실질적인 거처가 아래에 있지만, 지금 위에 있어 그 실질적이 거처를 잃어버렸다는 의미로 볼 수 있음
- 중심원야(中心願也: 속마음이 원하기 때문임)
○ 육사를 비롯하여 육오, 상육 모두 아래로 돌아오는 것을 진심으로 원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속마음이 원해서 경계하지 않아도 믿는다고 표현한 것임
六五(육오)는 帝乙歸妹(제을귀매)니 以祉(이지)며 元吉(원길)이리라. 육오(六五)는 제을(帝乙)이 여동생을 시집보내어 복을 받으며 크게 길할 것이다.
象曰(상왈) 以祉元吉(이지원길)은 中以行願也(중이행원야)라. 「상전(象傳)」에 말했다. “‘복을 받으며 크게 길함은’은 중(中)으로 원하는 것을 행하기 때문이다.”
- 제을귀매(帝乙歸妹: 제을(帝乙)이 여동생을 시집보냄)
○ 여성이 결혼하는 것을 ‘귀(歸)’라고 하며 이는 시집보낸다는 뜻임
○ 육오는 여성을 상징하며 오효의 존귀한 자리에 위치해 있음. 오효와 응의 관계에 있는 구이효는 아래에 있기 때문에 오효가 몸을 낮추어 시집을 가는 상황임
○ 여기에서 제을은 을(乙)이라는 이름을 가진 은나라 시기의 왕으로 추정되며 정병석은 주(紂)의 아버지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았음
○ 왕이 자신의 여동생을 구이의 아래 자리에 있는 신하에게 시집보내는 상황으로 지위는 낮지만 현명한 사람으로 충심으로 따르기 때문에 길한 상황으로 해석되고 있음
- 이지원길(以祉元吉: 복을 받으며 크게 길할 것임)
○ ‘지(祉)’는 복임. 지금 구이효와 육오효가 서로 정응관계에 있는 상황으로, 오효가 유순하고 중의 자리에 위치해 있으면서도 마음이 원하는 대로 행할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복을 얻을 수 있으며, 음양이 교하는 도를 다하고 있기 때문에 크게 길한 것임
- 중이행원(中以行願也: 중(中)으로 원하는 것을 행하기 때문)
○ 중도로 원하는 것을 행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예에 맞는 상황임. 신하에게 낮추어서 시집 보내는 상황이지만 그 대상자가 현명하고 어진 사람이기 때문에 예에 맞음
=> 진정한 소통은 지위 등 외적 요인을 떠난 진실한 만남임. 지위, 나이 등을 떠나 그 사람이 지닌 사람됨과 자질을 진심으로 존중할 수 있는 만남임
上六(상육)은 城復于隍(성복우황)이라 勿用師(물용사)요 自邑告命(자읍고명)이니 貞(정)이라도 吝(린)하니라. 상육(上六)은 성(城)이 무너져 해자로 돌아감이니 군대를 쓰지 말아야 하며 자기의 읍에서 명령을 고해야 하는데 바름을 지키더라도 부끄러운 일을 당하게 될 것이다.
象曰(상왈) 城復于隍(성복우황)은 其命(기명)이 亂也(난야)라. 「상전(象傳)」에 말했다. “성(城)이 무너져 해자로 돌아감은 그 명(命)이 어지러운 것이다.”
- 성복우황(城復于隍) 물용사(勿用師: 성(城)이 무너져 해자로 돌아감이니 군대를 쓰지 말아야 함)
○ ‘황(隍)’은 해자를 의미
○ 지금 상육은 태괘의 가장 마지막 자리에 놓여 있으므로 태괘의 도가 점차 사그라들고 비괘로 진입해나가는 상황임
○ 성이 무너져 성을 짓기 위해 땅을 파서 생긴 도랑인 해자로 돌아간 상황임
○ 왕필은 태괘의 중요한 도인 상하 소통의 도가 사그라든 상황으로 보아 위아래가 서로 교제하지 않고 낮은 데 있는 사람이 위를 받들지 않고 존귀한 자리에 있는 사람이 아래로 시혜를 베풀지 않는 상황으로 보았음. 그렇기 때문에 아랫사람들을 움직이는 군대를 써서는 안 되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음
○ 군중을 움직이는 데 있어서 상하간의 소통이 필수적인 전제조건임을 다시금 생각해 보게 함
- 자읍고명(自邑告命) 정린(貞吝: 자기의 읍에서 명령을 고해야 하는데 바름을 지키더라도 부끄러운 일을 당하게 될 것임)
○ 태괘 상육의 자리는 태괘의 도가 다하고 이제 비색한 시대로 들어가는 길목에 놓여 있음
○ 공영달은 이 구절에 대해 비색한 도가 이미 이루어지고 있기에 타인들이 순종하지 않을 것이며 자기의 읍에서 명령을 고했다고 하더라도 아래에서 따르지 않아서 바르게 하더라도 부끄러움을 면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다고 보았음
○ 여기에서 읍이란 자기의 명령이 통할 수 있는 자신과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읍인데, 비색한 때로 접어드는 시점에서 이 읍 정도에서만 명령해야 하며, 혹은 명령을 하더라도 뜻대로 되지 않는 가능성이 큰 것임
- 기명난야(其命亂也: 그 명(命)이 어지러운 것임)
○ 이 구절은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음
○ 첫째는 명령이 어지럽다는 뜻임. 공영달은 군주의 명령이 어지럽지 않으면 신하가 마땅히 군주를 도울 것이라고 보았음. 마치 땅이 그 위에 세워진 성을 떠받치는 것처럼. 하지만 그 명령이 헷갈리고 어지럽기 때문에 아랫사람은 윗사람을 받들지 않는다고 보았음
○ 두 번째는 명운이 어지럽다는 뜻임. 태괘의 시대가 극에 달해 비색한 시대로 전환됨은 천지자연의 명운이어서 피하거나 모면할 수가 없다고 했음. 이는 명운이 이미 비색한 시대로 접어들었기 때문에 어찌할 수 없는 상황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임(상병화, 『상씨학(尙氏學)』)
=> 물극필반의 원리에 대한 수용. 내려놓음
오늘 나눌 이야기(2023.11.6)[편집 | 원본 편집]
☞ 주역의 태괘를 통해 자신이 앞으로 마음에 새기고 갈 소통의 제1원칙을 생각해보세요. 제1원칙을 아이캠퍼스 토론방에 각자 올리시고 조별로 이야기 나누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