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 금강산 노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n_SW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6번째 줄: 16번째 줄:
 
○ 김태완은 이 대화를 통해 불교의 핵심 교의가 유학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니 굳이 유학을 버리고 불교를 추구할 까닭이 없다고 비판한 것이라고 보았음</br>  
 
○ 김태완은 이 대화를 통해 불교의 핵심 교의가 유학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니 굳이 유학을 버리고 불교를 추구할 까닭이 없다고 비판한 것이라고 보았음</br>  
 
○ 이희재는 이 대화를 통해 율곡이 단순한 성리학자가 아니라 불교와 유교가 둘이 아니라는 입장을 더 선명하게 보여준다고 보았음</br>  
 
○ 이희재는 이 대화를 통해 율곡이 단순한 성리학자가 아니라 불교와 유교가 둘이 아니라는 입장을 더 선명하게 보여준다고 보았음</br>  
 +
 +
 +
  "유가에도 '마음이 곧 부처'라는 말이 있습니까?"
 +
  "맹자가 본성이 선함을 말했는데 말을 하면 반드시 요순을 일컬었습니다. '마음이 곧 부처'라는 말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다만 우리 유가는 실리(實理)를 보았습니다."
 +
 
○ 유교의 본질인 성선(性善)은 불교의 '마음이 곧 부처다'라는 말과 같음</br>  
 
○ 유교의 본질인 성선(性善)은 불교의 '마음이 곧 부처다'라는 말과 같음</br>  
 
- 다만 불교와 구별되는 유교의 특징을 율곡은 실리(實理)로 규정함</br>  
 
- 다만 불교와 구별되는 유교의 특징을 율곡은 실리(實理)로 규정함</br>  
 
- 실리는 진실한 이치로, 천지의 이치이며 천지의 조화가 쉼 없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함. 그리고 이러한 천지의 조화와 서로 감통하는 인간의 마음은 실심(實心)임</br>  
 
- 실리는 진실한 이치로, 천지의 이치이며 천지의 조화가 쉼 없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함. 그리고 이러한 천지의 조화와 서로 감통하는 인간의 마음은 실심(實心)임</br>  
 
- 이는 마음의 진실성을 강조한 율곡 철학의 특징이기도 함. 학문이 지향하는 것, 그리고 그 결과가 실리(實理)의 추구로 나타나야 하며 한각 세상의 눈과 귀를 속이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세상을 변혁시키고 유익한 것을 창출해 내야 한다고 보았음. 그리고 이를 이루기 위해서는 마음을 속임 없는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고 보았음 (곽신환, <율곡의 주자학적 진리의 담지(擔持)와 실심(實心)의 철학>, <<율곡학연구>> 17권, (사)율곡연구원, 2008, 5~25쪽)
 
- 이는 마음의 진실성을 강조한 율곡 철학의 특징이기도 함. 학문이 지향하는 것, 그리고 그 결과가 실리(實理)의 추구로 나타나야 하며 한각 세상의 눈과 귀를 속이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세상을 변혁시키고 유익한 것을 창출해 내야 한다고 보았음. 그리고 이를 이루기 위해서는 마음을 속임 없는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고 보았음 (곽신환, <율곡의 주자학적 진리의 담지(擔持)와 실심(實心)의 철학>, <<율곡학연구>> 17권, (사)율곡연구원, 2008, 5~25쪽)
 +
 +
 +
  "색(色)도 아니고 공(空)도 아니라는 말은 어떤 말입니까?"
 +
  "이 또한 앞에 펼쳐진 경계[인식 대상의 세계]입니다."
 +
  승려가 빙긋 웃었다. 이에 내가 말했다.
 +
  "'솔개는 하늘로 날아오르고 물고기는 연못에서 뛴다.'라고 했는데 이는 색입니까, 공입니까?"
 +
  "색도 아니고 공도 아닌 것이 바로 진여의 본체입니다. 어찌 이런 시로 견줄 수 있겠습니까?"
 +
  내가 웃으면서 말했다.
 +
  "이미 말로 표현하면 곧 경계인데 어찌 본체라 합니까? 만약 그렇다면 유가의 진리는 말로 전할 수 없고 불교의 진리는 문자를 벗어나지 못하는군요."
 +
 +
○ 색(色): 형체를 가진 만물, 현상, 물질, 인연을 따라 생성 소멸하는 모든 것을 가리킴
 +
○ 공(空): 모든 존재는 인연의 우연적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 것일 뿐 궁극적 실체가 없다는 뜻임
 +
○ "솔개는 하늘로 날아오르고 물고기는 연못에서 뛴다.": <<시경>>의 한 구절. 천지 사이에 조화와 생육이 충만하게 일어나는 모습을 표현한 것. <<중용>>에서는 도가 널리 작용하는 모습을 묘사한 것
 +
○ 무엇이 색이고 무엇이 공이냐에 대한 논란에서 노승이 색도 공도 아닌 것이 진리의 모습이라고 한 데 대해 율곡은 그것도 진리의 모습이 아닌데 그 이유는 이미 언설로 표현했기 때문이라고 하면서 불교의 진리가 불립문자이듯 유교의 진리도 언설만으로는 ㅍ현할 수 없다고 했음. 진리의 입장에서는 같은 것이지만 언설로 표현될 때는 대립이 나올 수 있음을 말한 것임
 +
 +
 +
[[분류: 한국철학사]]

2022년 4월 19일 (화) 00:12 판

<<율곡집>> 금강산에서 노승과의 대화

  • 율곡이 출가하여 산에 들어간 까닭

☞ 최승순, <율곡의 불교관에 대한 연구>, <<율곡학보>> 1권, (사)율곡연구원, 1995, 29~56쪽

○ 어머니의 죽음으로 인해 상심한 마음을 달래기 위해 불경을 읽은 것이 원인이 되어 금강산에 입산하게 됨
○ 단순히 상심으로 인한 입산이라기보다는 금강산에서 마음을 닦기 위한 목적도 있었던 것으로 보임


  • 금강산에서 율곡과 노승과의 대화를 통해 본 율곡의 불교관

☞ 이이 지음, 김태완 옮김, <<율곡집: 성리학의 이상향을 꿈꾸다>>, 한국고전번역원, 2013 ☞ 이희재, <율곡의 불교관>, <<율곡학연구>> 11권, (사)율곡연구원, 2005, 155~176쪽

○ 김태완은 이 대화를 통해 불교의 핵심 교의가 유학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니 굳이 유학을 버리고 불교를 추구할 까닭이 없다고 비판한 것이라고 보았음
○ 이희재는 이 대화를 통해 율곡이 단순한 성리학자가 아니라 불교와 유교가 둘이 아니라는 입장을 더 선명하게 보여준다고 보았음


 "유가에도 '마음이 곧 부처'라는 말이 있습니까?"
 "맹자가 본성이 선함을 말했는데 말을 하면 반드시 요순을 일컬었습니다. '마음이 곧 부처'라는 말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다만 우리 유가는 실리(實理)를 보았습니다."

○ 유교의 본질인 성선(性善)은 불교의 '마음이 곧 부처다'라는 말과 같음
- 다만 불교와 구별되는 유교의 특징을 율곡은 실리(實理)로 규정함
- 실리는 진실한 이치로, 천지의 이치이며 천지의 조화가 쉼 없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함. 그리고 이러한 천지의 조화와 서로 감통하는 인간의 마음은 실심(實心)임
- 이는 마음의 진실성을 강조한 율곡 철학의 특징이기도 함. 학문이 지향하는 것, 그리고 그 결과가 실리(實理)의 추구로 나타나야 하며 한각 세상의 눈과 귀를 속이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세상을 변혁시키고 유익한 것을 창출해 내야 한다고 보았음. 그리고 이를 이루기 위해서는 마음을 속임 없는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고 보았음 (곽신환, <율곡의 주자학적 진리의 담지(擔持)와 실심(實心)의 철학>, <<율곡학연구>> 17권, (사)율곡연구원, 2008, 5~25쪽)


 "색(色)도 아니고 공(空)도 아니라는 말은 어떤 말입니까?"
 "이 또한 앞에 펼쳐진 경계[인식 대상의 세계]입니다."
 승려가 빙긋 웃었다. 이에 내가 말했다.
 "'솔개는 하늘로 날아오르고 물고기는 연못에서 뛴다.'라고 했는데 이는 색입니까, 공입니까?"
 "색도 아니고 공도 아닌 것이 바로 진여의 본체입니다. 어찌 이런 시로 견줄 수 있겠습니까?"
 내가 웃으면서 말했다.
 "이미 말로 표현하면 곧 경계인데 어찌 본체라 합니까? 만약 그렇다면 유가의 진리는 말로 전할 수 없고 불교의 진리는 문자를 벗어나지 못하는군요."

○ 색(色): 형체를 가진 만물, 현상, 물질, 인연을 따라 생성 소멸하는 모든 것을 가리킴 ○ 공(空): 모든 존재는 인연의 우연적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 것일 뿐 궁극적 실체가 없다는 뜻임 ○ "솔개는 하늘로 날아오르고 물고기는 연못에서 뛴다.": <<시경>>의 한 구절. 천지 사이에 조화와 생육이 충만하게 일어나는 모습을 표현한 것. <<중용>>에서는 도가 널리 작용하는 모습을 묘사한 것 ○ 무엇이 색이고 무엇이 공이냐에 대한 논란에서 노승이 색도 공도 아닌 것이 진리의 모습이라고 한 데 대해 율곡은 그것도 진리의 모습이 아닌데 그 이유는 이미 언설로 표현했기 때문이라고 하면서 불교의 진리가 불립문자이듯 유교의 진리도 언설만으로는 ㅍ현할 수 없다고 했음. 진리의 입장에서는 같은 것이지만 언설로 표현될 때는 대립이 나올 수 있음을 말한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