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전서 사생귀신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n_SW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0번째 줄: 10번째 줄:
 
   ☞ <span style="color:#ff0000;">'''죽음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span>
 
   ☞ <span style="color:#ff0000;">'''죽음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span>
  
 +
 +
☞ 최일범, <율곡 이이의 사생관에 관한 연구>, <<동양철학연구>> 제64집, 동양철학연구회, 2010, 43~61쪽</br>
 +
☞ 이영경, <율곡 사상에서 삶과 죽음의 문제>, <<한국민족문화>> 38,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253~279쪽</br>
  
 
* '''율곡 이이(1536~1584)의 죽음에 대한 관심'''
 
* '''율곡 이이(1536~1584)의 죽음에 대한 관심'''
22번째 줄: 25번째 줄:
  
 
=> 대체로 이 질문들에 대해 율곡은 성리학의 이론을 중심으로 불교의 윤회설과 도교의 신선과 [https://ko.wikipedia.org/wiki/%EB%B0%A9%EC%88%A0 방술]에 대해 비판적 관점을 드러냈음
 
=> 대체로 이 질문들에 대해 율곡은 성리학의 이론을 중심으로 불교의 윤회설과 도교의 신선과 [https://ko.wikipedia.org/wiki/%EB%B0%A9%EC%88%A0 방술]에 대해 비판적 관점을 드러냈음
 +
 +
 +
* '''<사생귀신책>에서의 물음'''
 +
 +
○ '''기존의 죽음에 대한 관점'''</br>
 +
 +
  ☞ <span style="color:#ff0000;">'''혼비백산(魂飛魄散)이란 말 들어봤죠? 혼은 날아가고 백은 흩어진다는 말'''</span>
 +
 +
- 사람이 죽으면 혼은 날아가고 백은 흩어진다고 보았음</br>
 +
- 훈호처창[焄蒿悽愴, 향기 (훈), 증발하는 모양 (호), 슬퍼할 (처), 슬플 (창)]: <<예기>> <제의(祭義)>에 나오는 말로, 사람이 살아 있을 때에는 신체와 기(혼백)가 합하여 생명체를 이루지만 사람이 죽으면 기가 신체에서 분리되어 증발해 하늘로 올라가서 신이 되는데 사람이 이 기운의 냄새를 맡으면 슬퍼지는 것이라고 보았음. 후에 주희는 '훈호'는 기가 사람에게 감촉으로 느껴지는 것이고 '처창'은 신이 이를 때 싸늘한 바람이 이는 것이라고 보았음</br>
 +
=> 그렇다면 죽은 이후에도 지각이 있다는 것인가? 있다면 불교에서 말하는 윤회설이 허황되지 아닌 거 아닌가? 만일 지각이 없다면 제사를 지낼 필요가 있나?</br>
 +
 +
 +
* '''<사생귀신책>에서 율곡의 대답'''

2022년 4월 21일 (목) 01:29 판

<<율곡전서>> <사생귀신책> 소개

★ 번역문출처: 한국고전종합DB, <<율곡전서>> <사생귀신책>


죽음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 최일범, <율곡 이이의 사생관에 관한 연구>, <<동양철학연구>> 제64집, 동양철학연구회, 2010, 43~61쪽
☞ 이영경, <율곡 사상에서 삶과 죽음의 문제>, <<한국민족문화>> 38,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253~279쪽

  • 율곡 이이(1536~1584)의 죽음에 대한 관심

○ 율곡은 죽음의 문제가 정면으로 논의되어야 만 삶의 문제, 인간의 문제, 인간됨의 문제가 온전히 해명될 수 있다고 이해했음
○ <사생귀신책>은 과거시험의 한 단계에서 제출하는 책문의 하나임
○ 율곡이 제시한 책문에 의하면 당시 유학자들이 사생(死生: 죽음과 삶)과 관련해서 가장 관심 있던 것은 다음의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음

1. 사생의 정의로서 살아 있다는 것은 무엇이고, 죽음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2. 수명에 관한 문제로서 인간은 영원히 살 수 있는가? 혹은 수명은 어떤 방법을 통해서 연장될 수 있는가? 그 방법은 무엇인가?
3. 기도를 통해서 수명을 연장하거나 귀신과 소통할 수 있는가?
4. 인간이 건강하게 살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 대체로 이 질문들에 대해 율곡은 성리학의 이론을 중심으로 불교의 윤회설과 도교의 신선과 방술에 대해 비판적 관점을 드러냈음


  • <사생귀신책>에서의 물음

기존의 죽음에 대한 관점

혼비백산(魂飛魄散)이란 말 들어봤죠? 혼은 날아가고 백은 흩어진다는 말

- 사람이 죽으면 혼은 날아가고 백은 흩어진다고 보았음
- 훈호처창[焄蒿悽愴, 향기 (훈), 증발하는 모양 (호), 슬퍼할 (처), 슬플 (창)]: <<예기>> <제의(祭義)>에 나오는 말로, 사람이 살아 있을 때에는 신체와 기(혼백)가 합하여 생명체를 이루지만 사람이 죽으면 기가 신체에서 분리되어 증발해 하늘로 올라가서 신이 되는데 사람이 이 기운의 냄새를 맡으면 슬퍼지는 것이라고 보았음. 후에 주희는 '훈호'는 기가 사람에게 감촉으로 느껴지는 것이고 '처창'은 신이 이를 때 싸늘한 바람이 이는 것이라고 보았음
=> 그렇다면 죽은 이후에도 지각이 있다는 것인가? 있다면 불교에서 말하는 윤회설이 허황되지 아닌 거 아닌가? 만일 지각이 없다면 제사를 지낼 필요가 있나?


  • <사생귀신책>에서 율곡의 대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