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6번째 줄: | 6번째 줄: | ||
* 참고로 유학은 영어로 Confucianism이다. 공자가 Confucius로 불렸던 걸 생각해보면 아, 유교가 유학에서 온 거구나 하는 걸 알 수 있다. | * 참고로 유학은 영어로 Confucianism이다. 공자가 Confucius로 불렸던 걸 생각해보면 아, 유교가 유학에서 온 거구나 하는 걸 알 수 있다. | ||
* 그만큼 공자는 유학의 출발점에 해당되는 중요한 인물이다. 그런 공자의 어록이 담긴 논어는 그만큼 중국철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 그만큼 공자는 유학의 출발점에 해당되는 중요한 인물이다. 그런 공자의 어록이 담긴 논어는 그만큼 중국철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
− | * [https://ko.wikipedia.org/wiki/%EB%85%BC%EC%96%B4 위키백과 <논어>] | + | * [https://ko.wikipedia.org/wiki/%EB%85%BC%EC%96%B4 위키백과 <논어> 설명] |
+ | |||
+ | ===논어 구성=== |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50%;" | ||
+ | ! 1. 학이(學而) || 2. 위정(爲政) | ||
+ | |- | ||
+ | | 3. 팔일(八佾) || 4. 이인(里仁) | ||
+ | |- | ||
+ | | 5. 공야장(公冶長) || 6. 옹야(雍也) | ||
+ | |- | ||
+ | | 6. 술이(術而) || 8. 태백(泰佰) | ||
+ | |- | ||
+ | | 9. 자한(子罕) || 10. 향당(鄕黨) | ||
+ | |- | ||
+ | | 11. 선진(先進) || 12. 안연(顔淵) | ||
+ | |- | ||
+ | | 13. 자로(子路) || 14. 헌문(憲問) | ||
+ | |- | ||
+ | | 15. 위령공(衛靈公) || 16. 계씨(季氏) | ||
+ | |- | ||
+ | | 17. 양화(陽貨) || 18. 미자(微子) | ||
+ | |- | ||
+ | | 19. 자장(子張) || 20. 요왈(堯曰) | ||
+ | |} | ||
===논어의 구성=== | ===논어의 구성=== | ||
==논어 시대배경== | ==논어 시대배경== |
2022년 2월 12일 (토) 22:20 판
논어 소개
공자의 어록, 논어
- 논어는 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대화를 기록해 놓은 책으로 공자가 직접 지은 것이라기 보다는 후에 제자들이 편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논어의 영어번역을 보면 이게 더 쉽게 이해된다. 논어를 영어로 번역하면 "The Analects of Confucius"인데 여기에서 Confucius는 공자, analects는 어록이다. 이 영어번역을 우리말로 다시 번역해 본다면 공자의 어록이다.
- 참고로 유학은 영어로 Confucianism이다. 공자가 Confucius로 불렸던 걸 생각해보면 아, 유교가 유학에서 온 거구나 하는 걸 알 수 있다.
- 그만큼 공자는 유학의 출발점에 해당되는 중요한 인물이다. 그런 공자의 어록이 담긴 논어는 그만큼 중국철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위키백과 <논어> 설명
논어 구성
1. 학이(學而) | 2. 위정(爲政) |
---|---|
3. 팔일(八佾) | 4. 이인(里仁) |
5. 공야장(公冶長) | 6. 옹야(雍也) |
6. 술이(術而) | 8. 태백(泰佰) |
9. 자한(子罕) | 10. 향당(鄕黨) |
11. 선진(先進) | 12. 안연(顔淵) |
13. 자로(子路) | 14. 헌문(憲問) |
15. 위령공(衛靈公) | 16. 계씨(季氏) |
17. 양화(陽貨) | 18. 미자(微子) |
19. 자장(子張) | 20. 요왈(堯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