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칠정논쟁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n_SW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60번째 줄: 60번째 줄:
  
  
* '''사단칠정논쟁을 살펴보기 전에 참고해야 할, 조선성리학의 기반인 주자학적 시각''' =
+
* '''사단칠정논쟁을 살펴보기 전에 참고해야 할, 조선성리학의 기반인 주자학적 시각'''  
  
 
☞ 이상호, <<사단칠정 자세히 읽기>>, 글항아리, 2011, 67~71쪽</br>
 
☞ 이상호, <<사단칠정 자세히 읽기>>, 글항아리, 2011, 67~71쪽</br>
69번째 줄: 69번째 줄:
 
   천지간에는 이(理)도 있고, 기(氣)도 있다. 이는 형이상학적인 도며 사물을 생성하는 근본이다. 기는 형이하학적인 물질[기(器)]이며, 사물을 생성하는 도구다. 그러므로 사람과 사물이 생성될 때는 반드시 리를 품수한 후에 성(性)이 생기고, 기를 품수한 뒤에 형(形)이 생긴다.
 
   천지간에는 이(理)도 있고, 기(氣)도 있다. 이는 형이상학적인 도며 사물을 생성하는 근본이다. 기는 형이하학적인 물질[기(器)]이며, 사물을 생성하는 도구다. 그러므로 사람과 사물이 생성될 때는 반드시 리를 품수한 후에 성(性)이 생기고, 기를 품수한 뒤에 형(形)이 생긴다.
 
   天地之間, 有理有氣. 理也者, 形而上之道也, 生物之本也. 氣也者, 形而下之器也, 生物之具也. 是以人物之生, 必稟此理然後有性, 必稟此氣然後有形. (<<주문공문집>> 권58)</br>
 
   天地之間, 有理有氣. 理也者, 形而上之道也, 生物之本也. 氣也者, 形而下之器也, 生物之具也. 是以人物之生, 必稟此理然後有性, 必稟此氣然後有形. (<<주문공문집>> 권58)</br>
○  
+
 
 +
주자학에서는 사람을 곧 마음으로 보았음. 사람이 사람다울 수 있는 근거를 마음에서 찾은 것임
  
 
[[분류: 한국철학연습]]
 
[[분류: 한국철학연습]]

2022년 10월 4일 (화) 23:11 판

조선 성리학의 주요 과제

천인심성합일지도4.jpg

☞ 윤사순, <<조선, 도덕의 성찰>>, 돌베개, 2010

○ "천인심성합일지도"라는 제목 그 자체에서 볼 수 있듯이 인간이 하늘, 만물과 하나라는 점에 주목했음
○ 권근은 '인(人)'의 의미를 설명하면서 "인(人)은 인(仁)이다"라고 해석했음
=> 인(仁)은 공자에게 "사람을 사랑하는 것[애인(愛人)]"으로 설명된 뒤에 성리학을 일으킨 정호(程顥, 1032~1085)는 우주의 입장에서 "생(生: 낳음)의 뜻"이라고 했음. 또 후에 주희(1130~1200)에 오면 인(仁)은 "만물을 낳는 이치[생물지리(生物之理)]" 또는 "만물을 낳는 본성[생물지성(生物之性)]"이라고 해석됨
=> 권근은 이러한 중국 성리학자들의 "사람에 대한 사랑"을 넘어선 "만물 생성의 특성(혹은 이치/본성)"을 가리키는 인(仁)의 의미를 인간을 이해하는 데 적용함. 즉 만물을 낳는 이치로서 인(仁)이 의미를 지니고 있는 만큼 인간의 인간다움을 의미하는 인(仁)은 사람을 살리고 만물을 살리고자 하는 선한 마음이라고 할 수 있음

그런데 이 선한 마음은 어디에서 온 걸까?


선의 근원, 본성 파악을 위한 천명 연구

  • <중용(中庸)>에서 말한 인간 본성의 근원으로서의 천명
 하늘이 명한 것을 성[性, 본성]이라고 한다.[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

=> <중용>에서는 하늘이 명한[천명(天命)] 본성이 인간에게 구비되어 있다고 보았음


  • 후대 중국 성리학들이 정의한 인간 본성

○ 후에 중국 성리학자들은 인간의 본성을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으로 구분했음. 기질지성은 기질로 인한 본성의 의미이고 본연지성은 사단과 관련된 인의예지의 본성임


추만 정지운의 <천명도>

○ 16세기 조선 성리학계를 대표하는 추만 정지운(1509~1561), 하서 김인후(1510~1560), 퇴계 이황(1501~1570), 고봉 기대승(1527~1572) 등은 모두 천명에 대한 연구에 열중했음. 이들은 다 <천명도>를 그렸는데 정지운은 그것에 대한 해설서인 <<천명도해(天命圖解)>>를 지었고, 이황도 같은 종류의 <<천명도설(天命圖說)>>을 지었음
○ 천명에 대한 성리학적 연구, 그림과 해설을 통한 연구 방식은 다른 나라의 성리학계에서 볼 수 없는 특수한 현상임. 천명에 대한 그림을 통한 연구는 조선 성리학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음

  • 정지운의 <천명도>(고려대 소장 만송문고 <천명도해>)

정지운 천명도2.jpg


정지운 천명도 번역.png


  • 이황의 <천명신도(天命新圖)>

이황의 천명도.jpg

퇴계 천명신도 번역.png

☞ 퇴계는 자신의 <천명도>에 대해 "배우는 이들로 하여금 이 <천명도>를 통해 진실로 천명이 자신에게 구비되어 있음을 알고 덕성을 존중하여 그것을 보존, 확충[존덕성(尊德性)]하고 믿고 따름을 극진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했음. 그는 주렴계의 태극도설을 모델로 하면서도 천명을 하나의 권역으로 보고 순선한 성(性)과 그로부터 발현되는 사단칠정에 이르는 선의 일맥을 표현하고 있음 (이정환, <퇴계 <천명도설>과 <천명도>에 대한 철학적, 도상적 재검토>, <<퇴계학보>> 제135집, 2014, 9쪽)


사단칠정 논쟁의 시작

  • 배경

<<퇴계집>>에 따르면, 추만 정지운이 그와 이웃에 살았는데 퇴계의 조카가 정지운의 <천명도>를 얻어 가지고 와서 보여주었는데 그 도설과 해설에 고칠 곳을 발견하게 됨. 처음에는 누가 지은 것인지 모르다가 수소문 해서 그것이 정지운에서 나온 것임을 알게 됨
○ 특히 이 <천명도>에서 정지운이 "사단은 ‘이(理)’에서 발하며, 칠정은 ‘기’에서 발한다.[四端發於理, 七情發於氣]"라고 작성했던 부분을 이황이 "사단은 ‘이(理)’가 발한 것이고, 칠정은 ‘기’가 발한 것이다.[四端理之發, 七情氣之發]"로 고치게 함
○ 이에 정지운도 이황의 견해를 따라 새로 <천명신도>를 작성하게 됨
○ 정지운이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 1527~1572)에게 보여주었고 고봉은 이에 대해 비판함
○ 정지운이 고봉에게 <천명도>를 보여주었고, 고봉은 이에 대해 비판함. 이 비판이 여러 경로를 통해 퇴계의 귀에 들어가고, 퇴계(1501~1570)는 비판의 일부를 인정하면서 자신이 수정한 내용을 고봉에게 편지로 전달했음. 이후 10년간 약 10통의 편지를 주고받으며 논쟁을 벌임


  • 사단칠정논쟁을 살펴보기 전에 참고해야 할, 조선성리학의 기반인 주자학적 시각

☞ 이상호, <<사단칠정 자세히 읽기>>, 글항아리, 2011, 67~71쪽

○ 세상의 모든 존재가 이와 기의 결합으로 이루어졌다는 원칙은 사람에게도 그대로 적용됨. 사람에게도 사람의 이치가 주어져 있으며 그러한 이치가 사람을 형성하는 다양한 속성들의 기와 만나 '나'라는 특수한 사람을 만듬 => 모든 사물, 사건은 이와 기로 구성됨. 기는 모든 사물을 구성하는 재료이고 이(理)는 사물의 본질과 규칙임

 천지간에는 이(理)도 있고, 기(氣)도 있다. 이는 형이상학적인 도며 사물을 생성하는 근본이다. 기는 형이하학적인 물질[기(器)]이며, 사물을 생성하는 도구다. 그러므로 사람과 사물이 생성될 때는 반드시 리를 품수한 후에 성(性)이 생기고, 기를 품수한 뒤에 형(形)이 생긴다.
 天地之間, 有理有氣. 理也者, 形而上之道也, 生物之本也. 氣也者, 形而下之器也, 生物之具也. 是以人物之生, 必稟此理然後有性, 必稟此氣然後有形. (<<주문공문집>> 권58)

○ 주자학에서는 사람을 곧 마음으로 보았음. 사람이 사람다울 수 있는 근거를 마음에서 찾은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