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한국문화 철학: 작성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 '''<성불도>의 현대적인 변신''' | ○ '''<성불도>의 현대적인 변신''' | ||
− | [[파일:현대 성불도2.jpg]] | + | [[파일:현대 성불도2.jpg|300px]] |
[https://www.bulkwa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259 『불광미디어』 2018.3.30일자, "즐기면서 불교 배우는 보드게임 <성불도 게임> 출시"] | [https://www.bulkwa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259 『불광미디어』 2018.3.30일자, "즐기면서 불교 배우는 보드게임 <성불도 게임> 출시"] |
2022년 11월 1일 (화) 22:12 판
권채(權採, 1399~1438)의 <<작성도론(作聖圖論)>> 저작 배경
☞ 안승우, 「권채(權採, 1399~1438)의 『작성도론(作聖圖論)』의 게임적 특성과 인성교육적 함의」, 『유교사상문화연구』 제75집, 한국유교학회, 2019, 187~215쪽
○ 조선 초 유학자이자 양촌(陽村) 권근(權近, 1352~1409)의 조카인 권채가 지은 『작성도론(作聖圖論)』은 초학자들이 <작성도(作聖圖)> 보드게임을 통해 유교의 성인(聖人)이 되기 위해 필요한 단계와 유학의 개념들을 자발적이고 즐겁게 익히게 하기 위해 지어진 것임
○ 권채의 동생인 권기(權技)(1405~1467)가 쓴 『작성도론(作聖圖論)』의 서문 중:
기해(己亥)년(1419년)이었다. 아버지께서 돌아가셨다. 나는 아직 어렸다. 둘째형 권채를 따라 양주의 농양현(農壤縣)에서 여막(廬幕)생활을 했다. (그 때) 승려 범기(梵琦)가 와서 말했다. “<성불도(成佛圖)>는 심심풀이로 가지고 놀 수도 있는 것이다.” 내가 그래서 형에게 말했다. “유가(儒家)에도 이러한 도(圖)가 있나요?” 형이 말했다. “없단다. 내가 한번 만들어 봐야겠다.” 이에 『중용장구(中庸章句)』와 『대학장구(大學章句)』의 말을 모아서 격물·치지(格物·致知)에서 시작하여 기질(氣質)에서 마치기까지 무릇 50여 개의 조목이 성인(聖人)과 학자(學者)의 등급으로 나뉘어졌다. 또 주사위 2개를 만들어서 각각에 성·경·위·사(誠·敬·僞·肆)의 네 글자를 적어, 이것으로 올라가고 내려가는 절목(節目)으로 활용했다.
- <성불도>의 다채로운 변신들
○ 고전적인 <성불도>
☞ 성불도: 깨달음을 이루어가는 과정으로 구성된 불교의 놀이. / 사진출처: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성불도>의 현대적인 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