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한국문화 철학: 작성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n_SW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61번째 줄: 61번째 줄:
  
  
○ 『작성도론(作聖圖論)』에는 지금은 없어진 <작성도>를 상상해 볼 수 있는 내용들이 적혀져 있음</br>
+
'''『작성도론(作聖圖論)』에는 지금은 없어진 <작성도>를 상상해 볼 수 있는 내용들이 적혀져 있음'''</br>
 +
 
 +
  <span style="color:#3c68ba"> '''포인트1. 우주/자연-인간을 상상할 수 있는 큰 그림으로 되어 있음'''</span></br>
 +
  1. '''이 그림(<작성도>)은 위는 원형[하늘을 상징], 아래는 사각형[땅을 상징] 모양으로 되어 있고 위에는 사계절을 썼고 아래에는 오행으로 나뉘어졌음'''</br>
 +
  2. '''바깥에 음양의 운행으로 감싸고 있음'''</br>
 +
  3.''' 가운데에는 심(心: 마음)과 기질의 권역이 있음. 이는 인간을 상징함. 인간은 하늘과 땅의 중(中)을 받아 태어났기에 가운데에 인간을 상징하는 심(心)과 기질의 권역이 가운데 존재함'''
 +
    ※ 참고: 사람의 몸으로 보면 머리는 둥글어서 하늘을 닮았고 발은 네모져서 땅을 닮았음</br>
 +
  4. '''기질이 바깥을 감싸고 있고 심이 가운데에 있음'''

2022년 11월 1일 (화) 22:42 판

권채(權採, 1399~1438)의 『작성도론(作聖圖論)』 저작 배경

☞ 안승우, 「권채(權採, 1399~1438)의 『작성도론(作聖圖論)』의 게임적 특성과 인성교육적 함의」, 『유교사상문화연구』 제75집, 한국유교학회, 2019, 187~215쪽


  • 조선 초 유학자이자 양촌(陽村) 권근(權近, 1352~1409)의 조카인 권채가 지은 『작성도론(作聖圖論)』은 초학자들이 <작성도(作聖圖)> 보드게임을 통해 유교의 성인(聖人)이 되기 위해 필요한 단계와 유학의 개념들을 자발적이고 즐겁게 익히게 하기 위해 지어진 것임
  • 권채의 동생인 권기(權技)(1405~1467)가 쓴 『작성도론(作聖圖論)』의 서문 중:
 기해(己亥)년(1419년)이었다. 아버지께서 돌아가셨다. 나는 아직 어렸다. 둘째형 권채를 따라 양주의 농양현(農壤縣)에서 여막(廬幕)생활을 했다.
 (그 때) 승려 범기(梵琦)가 와서 말했다. “<성불도(成佛圖)>는 심심풀이로 가지고 놀 수도 있는 것이다.” 내가 그래서 형에게 말했다. “유가(儒家)에도 이러한 도(圖)가 있나요?” 형이 말했다. “없단다. 내가 한번 만들어 봐야겠다.” 이에 『중용장구(中庸章句)』와 『대학장구(大學章句)』의 말을 모아서 격물·치지(格物·致知)에서 시작하여 기질(氣質)에서 마치기까지 무릇 50여 개의 조목이 성인(聖人)과 학자(學者)의 등급으로 나뉘어졌다. 또 주사위 2개를 만들어서 각각에 성·경·위·사(誠·敬·僞·肆)의 네 글자를 적어, 이것으로 올라가고 내려가는 절목(節目)으로 활용했다.
  • 권채 스스로가 밝힌 저작의 의의
 작은 아버지이신 양촌(陽村) 권근(權近) 선생이 <<입학도설>>을 지었다. 주자(周子: 주돈이)의 <태극도>와 주자(朱子)의 『중용장구』의 설에 의거하여 <천인심성합일지도>를 지었다. 광대(廣大)함이 다 포괄하고 있고 정밀하고 깊음이 미묘하여 전성(前聖)의 다 밝히지 못한 부분들을 확충해 후학들을 무궁한 데로 활짝 열어주었다. ... 이제 어리석고 망령된 것을 헤아리지 않고 또한 도설[『입학도설』]과 주자(朱子)의 『중용장구』, 『대학장구』, 『혹문(或問)』의 설에 의거해서 천도(天道)가 유행하고 조화를 이루며 발육(發育)하는 상(象)과 학자가 기질을 변화시켜 성인(聖人)이 되는 길을 저술했다. 
  • 맨 앞에 성인(聖人)이 되는 길과 단계를 그려놓은 도설이자, 보드게임판 기능을 했던 <작성도>가 붙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지금은 유실됐음. 권근의 『입학도설(入學圖說)』의 영향을 받았으면서 도설을 보드게임으로 활용했다는 데 그 특징이 있음. 그리고 이 <작성도>에 대한 철학적 설명을 담은 이론서 부분으로 『작성도론(作聖圖論)』이 구성되어 있음


 보통 사람들의 본성은 학문하기는 싫어하고 놀기를 좋아한다. … 선생(권채)이 이 <작성도>를 만든 것은 … 그 즐거워하는 마음으로 인하여 [성인(聖人)의 길을 위한] 문을 열고 주고자 한 것이다. … 성(誠), 경(敬), 사(肆), 위(僞)는 배우는 이들이 마음을 쓰는 바탕이다. 주사위를 통해 초학자들에게 도(道)를 열어주고 가리켜 주는 것이 친근하고 절실하다. <작성도>를 가지고 [성인(聖人)이 되는 길을] 찾아간다면 아무리 어리석고 어린 아이들일지라도 나아갈 방향을 알 수 있으며, 덕을 진작해가는 순서가 조리 있고 문란하지 않을 것이다.


전통문화에서 게이미피케이션의 시도들

  •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

○ 게임으로 만든다는 의미의 동사인 ‘gamify’의 명사형
○ 게임의 요소를 이용해 재미없는 일, 지루한 작업, 어려운 공부를 게임처럼 재미있게 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의미
○ 게임이 아닌 것, 예컨대 공부와 같은 비(非)게임적 활동에 게임의 요소를 적용하여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현재 국내외에서 교육, 헬스·운동·의료, 마케팅, SNS, 환경, 박물관·전시, 방송·애니메이션·영화, 정치·이데올로기·법, 복지·사회공헌, 노동생산성, 과학·R&D, 뉴스·저널리즘, 관광·여행, 자동차, 쇼핑·금융서비스와 같이 다양한 방면에 적용되고 있음
○ 게이미피케이션의 적용방식의 특징은 자율적인 참여를 유도하면서 특정 임무를 게임의 방식으로 수행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 재미를 느끼게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게임을 하는 동안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이 과정이 끝난 후에 일정한 피드백을 받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음


  • <성불도>의 다채로운 변신들

고전적인 <성불도>

성불도.jpg

☞ 성불도: 깨달음을 이루어가는 과정으로 구성된 불교의 놀이. / 사진출처: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성불도>의 현대적인 변신

현대 성불도2.jpg

『불광미디어』 2018.3.30일자, "즐기면서 불교 배우는 보드게임 <성불도 게임> 출시"


<작성도> 그림에 대한 설명

<작성도>의 포인트에 주목하면서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그리면 좋겠습니다.   

○ 권근의 <천인심성합일지도>를 참고로 하되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갔음

☞ 참고: <천인심성합일지도> 한글 번역본

★천인심성합일지도(최종)2.PNG


『작성도론(作聖圖論)』에는 지금은 없어진 <작성도>를 상상해 볼 수 있는 내용들이 적혀져 있음

  포인트1. 우주/자연-인간을 상상할 수 있는 큰 그림으로 되어 있음
1. 이 그림(<작성도>)은 위는 원형[하늘을 상징], 아래는 사각형[땅을 상징] 모양으로 되어 있고 위에는 사계절을 썼고 아래에는 오행으로 나뉘어졌음
2. 바깥에 음양의 운행으로 감싸고 있음
3. 가운데에는 심(心: 마음)과 기질의 권역이 있음. 이는 인간을 상징함. 인간은 하늘과 땅의 중(中)을 받아 태어났기에 가운데에 인간을 상징하는 심(心)과 기질의 권역이 가운데 존재함 ※ 참고: 사람의 몸으로 보면 머리는 둥글어서 하늘을 닮았고 발은 네모져서 땅을 닮았음
4. 기질이 바깥을 감싸고 있고 심이 가운데에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