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의 인간본성론: 맹자(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n_SW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 <span style="color:#ff0000;">'''공자를 이어 맹자는 인(仁)에 대해 어떤 이야기를 했을까요?'''</span></br> = 맹자의 인(仁)에 대한 언급들 = 1....)
 
5번째 줄: 5번째 줄:
  
 
   1. 孟子曰(맹자왈) 人皆有不忍人之心(인개유불인인지심)하니라. 先王(선왕)이 有不忍人之心(유불인인지심)하사 斯有不忍人之政矣(사유불인인지정의)시니 以不忍人之心(이불인인지심)으로 行不忍人之政(행불인인지정)이면 治天下(치천하)는 可運之掌上(가운지장상)이니라. 所以謂人皆有不忍人之心者(소인위인개유불인인지심자)는 今人(금인)이 乍見孺子將入於井(사견유자장입어정)하고 皆有惻隱之心(개유측은지심)하나니 非所以內交於孺子之父母也(비소이납교어유자지부모야)며 非所以要譽於鄕黨朋友也(비소이요예어향당붕우야)며 非惡其聲而然也(비오기성이연야)니라. 由是觀之(유시관지)컨댄 無惻隱之心(무측은지심)이면 非人也(비인야)며 無羞惡之心(무수오지심)이면 非人也(비인야)며 無辭讓之心(무사양지심)이면 非人也(비인야)며 無是非之心(무시비지심)이면 非人也(비인야)니라. 惻隱之心(측은지심)은 仁之端也(인지단야)요 羞惡之心(수오지심)은 義之端也(의지단야)요 辭讓之心(사양지심)은 禮之端也(예지단야)요 是非之心(시비지심)은 知之端也(지지단야)니라.  
 
   1. 孟子曰(맹자왈) 人皆有不忍人之心(인개유불인인지심)하니라. 先王(선왕)이 有不忍人之心(유불인인지심)하사 斯有不忍人之政矣(사유불인인지정의)시니 以不忍人之心(이불인인지심)으로 行不忍人之政(행불인인지정)이면 治天下(치천하)는 可運之掌上(가운지장상)이니라. 所以謂人皆有不忍人之心者(소인위인개유불인인지심자)는 今人(금인)이 乍見孺子將入於井(사견유자장입어정)하고 皆有惻隱之心(개유측은지심)하나니 非所以內交於孺子之父母也(비소이납교어유자지부모야)며 非所以要譽於鄕黨朋友也(비소이요예어향당붕우야)며 非惡其聲而然也(비오기성이연야)니라. 由是觀之(유시관지)컨댄 無惻隱之心(무측은지심)이면 非人也(비인야)며 無羞惡之心(무수오지심)이면 非人也(비인야)며 無辭讓之心(무사양지심)이면 非人也(비인야)며 無是非之心(무시비지심)이면 非人也(비인야)니라. 惻隱之心(측은지심)은 仁之端也(인지단야)요 羞惡之心(수오지심)은 義之端也(의지단야)요 辭讓之心(사양지심)은 禮之端也(예지단야)요 是非之心(시비지심)은 知之端也(지지단야)니라.  
   '''맹자가 말했다. “사람들은 모두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 선왕(先王)이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서 사람을 차마 해치지 못하는 정사[인정(仁政)]를 시행하셨으니, 사람을 차마 해치지 못하는 마음으로 사람을 차마 해치지 못하는 정사를 행한다면, 천하를 다스림은 손바닥 위에 놓고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사람들이 모두 사람을 차마 해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는 까닭은, 지금에 사람들이 갑자기 어린아이가 장차 우물로 들어가려는 것을 보고는 모두 깜짝 놀라고 측은(惻隱)해하는 마음을 가지니, 이것은 어린아이의 부모(父母)와 교분을 맺으려고 해서도 아니며, 향당(鄕黨)과 붕우(朋友)들에게 명예를 구해서도 아니며, <잔인하다는> 명성(名聲)을 싫어해서 그러한 것도 아니다. 이것을 근거로 본다면 측은지심(惻隱之心)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수오지심(羞惡之心)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사양지심(辭讓之心)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시비지심(是非之心)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다. 측은지심(惻隱之心)은 인(仁)의 단서이고 수오지심(羞惡之心)은 의(義)의 단서이고 사양지심(辭讓之心)은 예(禮)의 단서이고 시비지심(是非之心)은 지(智)의 단서이다.”'''  
+
   '''맹자가 말했다. “사람들은 모두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 선왕(先王)이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서 사람을 차마 해치지 못하는 정사[인정(仁政)]를 시행하셨으니, 사람을 차마 해치지 못하는 마음으로 사람을 차마 해치지 못하는 정사를 행한다면, 천하를 다스림은 손바닥 위에 놓고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사람들이 모두 사람을 차마 해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는 까닭은, 지금에 사람들이 갑자기 어린아이가 장차 우물로 들어가려는 것을 보고는 모두 깜짝 놀라고 측은(惻隱)해하는 마음을 가지니, 이것은 어린아이의 부모(父母)와 교분을 맺으려고 해서도 아니며, 향당(鄕黨)과 붕우(朋友)들에게 명예를 구해서도 아니며, <잔인하다는> 명성을 싫어해서 그러한 것도 아니다. 이것을 근거로 본다면 측은지심(惻隱之心)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수오지심(羞惡之心)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사양지심(辭讓之心)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시비지심(是非之心)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다. 측은지심(惻隱之心)은 인(仁)의 단서이고 수오지심(羞惡之心)은 의(義)의 단서이고 사양지심(辭讓之心)은 예(禮)의 단서이고 시비지심(是非之心)은 지(智)의 단서이다.”'''  
 
   (『맹자』 「공손추 상(公孫丑 上)」)
 
   (『맹자』 「공손추 상(公孫丑 上)」)
 +
 +
 +
  2.  蓋上世(개상세)에 嘗有不葬其親者(상유부장기친자)러니 其親死(기친사)어늘 則擧而委之於壑(즉거이위지어학)하고 他日過之(타일과지)할새 狐狸食之(호리식지)하며 蠅蚋姑嘬之(승예고최지)어늘 其顙有泚(기상유자)하여 睨而不視(예이불시)하니 夫泚也(부자야)는 非爲人泚(비위인자)라 中心(중심)이 達於面目(달어면목)이니 蓋歸(개귀)하여 反虆梩而掩之(반류리이엄지)하니 掩之誠是也(엄지성시야)면 則孝子仁人之掩其親(즉효자인인지엄기친)이 亦必有道矣(역필유도의)리라.
 +
  '''상고(上古)시대에 일찍이 돌아가신 부모님을 장례하지 않은 자가 있었는데, 그 부모님이 죽자, 들어다가 구렁에 버렸었다. 후일에 그 곳을 지날 적에 여우와 삵쾡이가 파먹으며 파리와 등에가 모여서 빨아먹음에 그 사람의 이마에 땀이 흥건히 젖어서 흘겨보고 차마 똑바로 보지 못하였으니, 땀이 흥건히 젖은 것은 남들이 보기 때문에 땀에 젖은 것이 아니라, 중심(中心: 마음)이 얼굴과 눈에 도달한 것이다. 집으로 돌아와서 삼태기와 들것에 흙을 담아 뒤집어 쏟아서 시신을 가렸으니, 시신을 가리는 것이 진실로 옳다면, 효자(孝子)와 인자한 사람[인인(仁人)]이 자신의 부모님을 가리는 데는 또한 반드시 도리이기 때문이어서 일 것이다.”'''
 +
  (『맹자』 「등문공 상(滕文公 上)」)
 +
 +
 +
  3. 孟子曰(맹자왈) 仁(인)은 人心也(인심야)요 義(의)는 人路也(인로야)니라.
 +
    '''맹자가 말했다. “인(仁)은 사람의 마음이고, 의(義)는 사람의 길이다.”'''
 +
  (『맹자』 「고자 상(告子 上)」)
 +
 +
 +
  4. 孔子曰(공자왈) 里仁(이인)이 爲美(위미)하니 擇不處仁(택불처인)이면 焉得智(언득지)리오하시니 夫仁(부인)은 天之尊爵也(천지존작야)며 人之安宅也(인지안택야)어늘 莫之禦而不仁(막지어이불인)하니 是(시)는 不智也(부지야)니라.
 +
    '''공자가 ‘마을이 어진 것이 아름다우니, 가려서 어진 데 거처하지 않으면 어디에서 지혜로움을 얻겠는가?’라고 했으니, 인(仁)은 하늘의 높은 벼슬이며, 사람의 편안한 집이다. 그러나 이것을 막는 이가 없는 데도 인하지 못하니, 이것은 지혜롭지 못한 것이다.'''
 +
  (『맹자』 「공손추 상(公孫丑 上)」)
 +
 +
 +
  5. 孟子曰(맹자왈) 君子所以異於人者(군자소이이어인자)는 以其存心也(이기존심야)니 君子(군자)는 以仁存心(이인존심)하며 以禮存心(이례존심)이니라 仁者(인자)는 愛人(애인)하고 有禮者(유례자)는 敬人(경인)하나니 愛人者(애인자)는 人恒愛之(인항애지)하고 敬人者(경인자)는 人恒敬之(인항경지)니라.
 +
    '''맹자가 말했다. “군자가 일반인과 다른 것은 그 마음을 두고 있는 것 때문이니, 군자는 인(仁)을 마음에 두며, 예(禮)를 마음에 둔다. 인한 사람은 남을 사랑하고, 예가 있는 사람은 남을 공경한다. 남을 사랑하는 사람은 남이 항상 사랑해 주고, 남을 공경하는 사람은 남이 항상 공경해 준다.'''
 +
  (『맹자』 「이루 하(離婁 下)」) 
 +
 +
 +
  6. 仁人之於弟也(인인지어제야)에 不藏怒焉(부장노언)하며 不宿怨焉(불숙원언)이요 親愛之而已矣(친애지이이의)니 親之(친지)인댄 欲其貴也(욕기귀야)요 愛之(애지)인댄 欲其富也(욕기부야)라.
 +
    '''인한 사람은 동생에 대해서 노여움을 감추지 아니하며, 원망을 묵혀 두지 아니하고, 그를 친애(親愛)할 뿐이다. 그를 친히 한다면 그가 귀하게 되기를 바랄 것이요, 그를 사랑한다면 그가 부해지기를 바랄 것이다.'''
 +
  (『맹자』 「만장 상(萬章 上)」) 
 +
 +
☞ [http://db.cyberseodang.or.kr/front/search/contentsLink.do?mId=A&srchIdx=2&srchCondition=2&srchKeyword=%E4%BB%81%E4%BA%BA%E4%B9%8B%E6%96%BC%E5%BC%9F%E4%B9%9F&srchCbId=&srchBnCode=&srchCodeType=&facetBnName=&facetCbName=&bnCode=jti_1h0601&titleId=C126 이 구절이 무슨 이야기인지 구체적인 내용을 보려면 클릭!(동양고전종합DB)]

2023년 3월 22일 (수) 22:05 판

공자를 이어 맹자는 인(仁)에 대해 어떤 이야기를 했을까요?


맹자의 인(仁)에 대한 언급들

 1. 孟子曰(맹자왈) 人皆有不忍人之心(인개유불인인지심)하니라. 先王(선왕)이 有不忍人之心(유불인인지심)하사 斯有不忍人之政矣(사유불인인지정의)시니 以不忍人之心(이불인인지심)으로 行不忍人之政(행불인인지정)이면 治天下(치천하)는 可運之掌上(가운지장상)이니라. 所以謂人皆有不忍人之心者(소인위인개유불인인지심자)는 今人(금인)이 乍見孺子將入於井(사견유자장입어정)하고 皆有惻隱之心(개유측은지심)하나니 非所以內交於孺子之父母也(비소이납교어유자지부모야)며 非所以要譽於鄕黨朋友也(비소이요예어향당붕우야)며 非惡其聲而然也(비오기성이연야)니라. 由是觀之(유시관지)컨댄 無惻隱之心(무측은지심)이면 非人也(비인야)며 無羞惡之心(무수오지심)이면 非人也(비인야)며 無辭讓之心(무사양지심)이면 非人也(비인야)며 無是非之心(무시비지심)이면 非人也(비인야)니라. 惻隱之心(측은지심)은 仁之端也(인지단야)요 羞惡之心(수오지심)은 義之端也(의지단야)요 辭讓之心(사양지심)은 禮之端也(예지단야)요 是非之心(시비지심)은 知之端也(지지단야)니라. 
  맹자가 말했다. “사람들은 모두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 선왕(先王)이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서 사람을 차마 해치지 못하는 정사[인정(仁政)]를 시행하셨으니, 사람을 차마 해치지 못하는 마음으로 사람을 차마 해치지 못하는 정사를 행한다면, 천하를 다스림은 손바닥 위에 놓고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사람들이 모두 사람을 차마 해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는 까닭은, 지금에 사람들이 갑자기 어린아이가 장차 우물로 들어가려는 것을 보고는 모두 깜짝 놀라고 측은(惻隱)해하는 마음을 가지니, 이것은 어린아이의 부모(父母)와 교분을 맺으려고 해서도 아니며, 향당(鄕黨)과 붕우(朋友)들에게 명예를 구해서도 아니며, <잔인하다는> 명성을 싫어해서 그러한 것도 아니다. 이것을 근거로 본다면 측은지심(惻隱之心)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수오지심(羞惡之心)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사양지심(辭讓之心)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시비지심(是非之心)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다. 측은지심(惻隱之心)은 인(仁)의 단서이고 수오지심(羞惡之心)은 의(義)의 단서이고 사양지심(辭讓之心)은 예(禮)의 단서이고 시비지심(是非之心)은 지(智)의 단서이다.” 
  (『맹자』 「공손추 상(公孫丑 上)」)


 2.  蓋上世(개상세)에 嘗有不葬其親者(상유부장기친자)러니 其親死(기친사)어늘 則擧而委之於壑(즉거이위지어학)하고 他日過之(타일과지)할새 狐狸食之(호리식지)하며 蠅蚋姑嘬之(승예고최지)어늘 其顙有泚(기상유자)하여 睨而不視(예이불시)하니 夫泚也(부자야)는 非爲人泚(비위인자)라 中心(중심)이 達於面目(달어면목)이니 蓋歸(개귀)하여 反虆梩而掩之(반류리이엄지)하니 掩之誠是也(엄지성시야)면 則孝子仁人之掩其親(즉효자인인지엄기친)이 亦必有道矣(역필유도의)리라.
  상고(上古)시대에 일찍이 돌아가신 부모님을 장례하지 않은 자가 있었는데, 그 부모님이 죽자, 들어다가 구렁에 버렸었다. 후일에 그 곳을 지날 적에 여우와 삵쾡이가 파먹으며 파리와 등에가 모여서 빨아먹음에 그 사람의 이마에 땀이 흥건히 젖어서 흘겨보고 차마 똑바로 보지 못하였으니, 땀이 흥건히 젖은 것은 남들이 보기 때문에 땀에 젖은 것이 아니라, 중심(中心: 마음)이 얼굴과 눈에 도달한 것이다. 집으로 돌아와서 삼태기와 들것에 흙을 담아 뒤집어 쏟아서 시신을 가렸으니, 시신을 가리는 것이 진실로 옳다면, 효자(孝子)와 인자한 사람[인인(仁人)]이 자신의 부모님을 가리는 데는 또한 반드시 도리이기 때문이어서 일 것이다.” 
  (『맹자』 「등문공 상(滕文公 上)」)


 3. 孟子曰(맹자왈) 仁(인)은 人心也(인심야)요 義(의)는 人路也(인로야)니라.
   맹자가 말했다. “인(仁)은 사람의 마음이고, 의(義)는 사람의 길이다.” 
  (『맹자』 「고자 상(告子 上)」)


 4. 孔子曰(공자왈) 里仁(이인)이 爲美(위미)하니 擇不處仁(택불처인)이면 焉得智(언득지)리오하시니 夫仁(부인)은 天之尊爵也(천지존작야)며 人之安宅也(인지안택야)어늘 莫之禦而不仁(막지어이불인)하니 是(시)는 不智也(부지야)니라. 
   공자가 ‘마을이 어진 것이 아름다우니, 가려서 어진 데 거처하지 않으면 어디에서 지혜로움을 얻겠는가?’라고 했으니, 인(仁)은 하늘의 높은 벼슬이며, 사람의 편안한 집이다. 그러나 이것을 막는 이가 없는 데도 인하지 못하니, 이것은 지혜롭지 못한 것이다.
  (『맹자』 「공손추 상(公孫丑 上)」)


 5. 孟子曰(맹자왈) 君子所以異於人者(군자소이이어인자)는 以其存心也(이기존심야)니 君子(군자)는 以仁存心(이인존심)하며 以禮存心(이례존심)이니라 仁者(인자)는 愛人(애인)하고 有禮者(유례자)는 敬人(경인)하나니 愛人者(애인자)는 人恒愛之(인항애지)하고 敬人者(경인자)는 人恒敬之(인항경지)니라. 
   맹자가 말했다. “군자가 일반인과 다른 것은 그 마음을 두고 있는 것 때문이니, 군자는 인(仁)을 마음에 두며, 예(禮)를 마음에 둔다. 인한 사람은 남을 사랑하고, 예가 있는 사람은 남을 공경한다. 남을 사랑하는 사람은 남이 항상 사랑해 주고, 남을 공경하는 사람은 남이 항상 공경해 준다.
  (『맹자』 「이루 하(離婁 下)」)   


 6. 仁人之於弟也(인인지어제야)에 不藏怒焉(부장노언)하며 不宿怨焉(불숙원언)이요 親愛之而已矣(친애지이이의)니 親之(친지)인댄 欲其貴也(욕기귀야)요 愛之(애지)인댄 欲其富也(욕기부야)라. 
   인한 사람은 동생에 대해서 노여움을 감추지 아니하며, 원망을 묵혀 두지 아니하고, 그를 친애(親愛)할 뿐이다. 그를 친히 한다면 그가 귀하게 되기를 바랄 것이요, 그를 사랑한다면 그가 부해지기를 바랄 것이다. 
 (『맹자』 「만장 상(萬章 上)」)   

이 구절이 무슨 이야기인지 구체적인 내용을 보려면 클릭!(동양고전종합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