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학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수업소개== ==수업주제== * 한국철학의 근원: 단군신화 * 하늘과 사람이 하나이다: 목은 이색(1328~1396)의 목은집 * 조선 유학자의 공부: 퇴...) |
(→수업주제)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수업주제== | ==수업주제== | ||
− | + | * 한국철학이란? | |
* 한국철학의 근원: 단군신화 | * 한국철학의 근원: 단군신화 | ||
* 하늘과 사람이 하나이다: 목은 이색(1328~1396)의 목은집 | * 하늘과 사람이 하나이다: 목은 이색(1328~1396)의 목은집 |
2022년 3월 1일 (화) 23:27 판
수업소개
수업주제
- 한국철학이란?
- 한국철학의 근원: 단군신화
- 하늘과 사람이 하나이다: 목은 이색(1328~1396)의 목은집
- 조선 유학자의 공부: 퇴계 이황(1501~1570)의 자성록
- 죽음에 대한 치열한 성찰의 결과: 율곡 이이(1537~1584)의 사생귀신책(死生鬼神策)
- 감정으로 풀어낸 한국적 주역: 성이심(1682~1739)의 인역(人易)
- 조선의 법과 정의: 다산 정약용(1762~1836)의 흠흠신서
- 근대 한국 학자의 동서철학 종합: 전병훈(1857~1927)의 정신철학통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