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 주역형성사와 해석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번째 줄: | 2번째 줄: | ||
= '''주역 형성에 관한 전통적인 견해''' = | = '''주역 형성에 관한 전통적인 견해''' = | ||
+ | |||
+ | * 『주역』 「계사전」 | ||
+ | “복희씨가 우러러서는 하늘에서 형상을 관찰하고 굽어보아서는 땅에서 법칙을 관찰하며 온갖 새와 짐승의 무늬를 살피고 각각의 토지에 마땅한 바를 살펴서 가깝게는 몸에서 멀게는 만물에서 그 형상을 취하였다. 이에 비로소 팔괘(八卦)를 만들어 이로써 신명(神明)의 덕에 통하고 만물의 실정을 분류하였다.” | ||
+ | 古者包犧氏之王天下也,仰則觀象於天,俯則觀法於地,觀鳥獸之文,與地之宜,近取諸身,遠取諸物,於是始作八卦,以通神明之德,以類萬物之情. | ||
+ | |||
+ | ⇒ 8괘는 복희가 만들었다고 보았음</br> | ||
+ | |||
+ | |||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bhjang3&logNo=140200191397 『한서』 「예문지(藝文志)」] |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bhjang3&logNo=140200191397 『한서』 「예문지(藝文志)」] | ||
“은(殷)·주(周)의 사이에 이르러 주왕(紂王)이 왕의 자리에 있으면서 하늘을 거스르고 만물에게 포악하게 했다. 문왕이 제후를 규합해서 (하늘의) 명(命)에 순종하고 도를 행하고자 해서 하늘과 인간을 잇는 점(占)을 본받을 수 있었다. 이에 역(易)을 중첩해서 여섯 효를 만들고 상·하편을 지었다.” | “은(殷)·주(周)의 사이에 이르러 주왕(紂王)이 왕의 자리에 있으면서 하늘을 거스르고 만물에게 포악하게 했다. 문왕이 제후를 규합해서 (하늘의) 명(命)에 순종하고 도를 행하고자 해서 하늘과 인간을 잇는 점(占)을 본받을 수 있었다. 이에 역(易)을 중첩해서 여섯 효를 만들고 상·하편을 지었다.” | ||
至於殷·周之際, 紂在上位, 逆天暴物. 文王以諸侯順命而行道, 天人之占可得而效. 於是重易六爻, 作上下篇. | 至於殷·周之際, 紂在上位, 逆天暴物. 文王以諸侯順命而行道, 天人之占可得而效. 於是重易六爻, 作上下篇. | ||
− | ⇒ | + | ⇒ [https://dbr.donga.com/article/view/1306/article_no/2146/ac/magazine 주나라 문왕]이 6개의 효를 중첩시켜 64괘를 만들었고 괘사를 달았다고 전통적으로 생각해 왔음</br> |
+ | |||
+ | ☞ [https://www.google.com/maps/@35.95667,114.3538943,17z?entry=ttu 주나라 문왕이 갇혀 있었던 유리옥(羑里獄)의 현재 모습: 구글지도] | ||
+ | |||
+ | |||
+ | * 이후 주 문왕을 이어 주공이 효사를 만들었다는 견해가 전통적임(마융(馬融, 79~166)과 육적(陸績, 188~219) 등): 효사의 일부 내용들이 주나라 문왕 이후의 일을 담고 있음</br> | ||
+ | |||
+ | |||
+ | * [https://www.yes24.com/Product/Goods/3999237 『사기』 「공자세가(孔子世家)」] | ||
+ | ☞ [https://book.skku.edu/%ec%a4%91%ea%b5%ad-%ea%b3%a0%eb%8c%80%ec%82%ac%ed%9a%8c%ec%9d%98-%ed%98%95%ec%84%b1%ec%82%ac%eb%a7%88%ec%b2%9c%ec%82%ac%ea%b8%b0/ 오거서에 실린 사기 공자세가 감상평] | ||
− | |||
“공자가 만년에 『역(易)』을 좋아해서 「단(彖)」, 「계(繫)」, 「상(象)」, 「설괘(說卦)」, 「문언(文言)」을 정리했다. 『역』 읽기를 죽간을 엮은 가죽 끈이 세 번 끊어질 정도로 했다.[위편삼절(韋編三絕)] | “공자가 만년에 『역(易)』을 좋아해서 「단(彖)」, 「계(繫)」, 「상(象)」, 「설괘(說卦)」, 「문언(文言)」을 정리했다. 『역』 읽기를 죽간을 엮은 가죽 끈이 세 번 끊어질 정도로 했다.[위편삼절(韋編三絕)] | ||
孔子晚而喜易, 序彖·繫·象·說卦·文言. 讀易, 韋編三絕.” | 孔子晚而喜易, 序彖·繫·象·說卦·文言. 讀易, 韋編三絕.” | ||
⇒ 십익, 『역전』 부분은 공자가 지었다고 보았음</br> | ⇒ 십익, 『역전』 부분은 공자가 지었다고 보았음</br> |
2023년 9월 13일 (수) 11:37 판
☞ 이 주역은 누가 만들었을까요?
주역 형성에 관한 전통적인 견해
- 『주역』 「계사전」
“복희씨가 우러러서는 하늘에서 형상을 관찰하고 굽어보아서는 땅에서 법칙을 관찰하며 온갖 새와 짐승의 무늬를 살피고 각각의 토지에 마땅한 바를 살펴서 가깝게는 몸에서 멀게는 만물에서 그 형상을 취하였다. 이에 비로소 팔괘(八卦)를 만들어 이로써 신명(神明)의 덕에 통하고 만물의 실정을 분류하였다.” 古者包犧氏之王天下也,仰則觀象於天,俯則觀法於地,觀鳥獸之文,與地之宜,近取諸身,遠取諸物,於是始作八卦,以通神明之德,以類萬物之情.
⇒ 8괘는 복희가 만들었다고 보았음
“은(殷)·주(周)의 사이에 이르러 주왕(紂王)이 왕의 자리에 있으면서 하늘을 거스르고 만물에게 포악하게 했다. 문왕이 제후를 규합해서 (하늘의) 명(命)에 순종하고 도를 행하고자 해서 하늘과 인간을 잇는 점(占)을 본받을 수 있었다. 이에 역(易)을 중첩해서 여섯 효를 만들고 상·하편을 지었다.” 至於殷·周之際, 紂在上位, 逆天暴物. 文王以諸侯順命而行道, 天人之占可得而效. 於是重易六爻, 作上下篇.
⇒ 주나라 문왕이 6개의 효를 중첩시켜 64괘를 만들었고 괘사를 달았다고 전통적으로 생각해 왔음
☞ 주나라 문왕이 갇혀 있었던 유리옥(羑里獄)의 현재 모습: 구글지도
- 이후 주 문왕을 이어 주공이 효사를 만들었다는 견해가 전통적임(마융(馬融, 79~166)과 육적(陸績, 188~219) 등): 효사의 일부 내용들이 주나라 문왕 이후의 일을 담고 있음
“공자가 만년에 『역(易)』을 좋아해서 「단(彖)」, 「계(繫)」, 「상(象)」, 「설괘(說卦)」, 「문언(文言)」을 정리했다. 『역』 읽기를 죽간을 엮은 가죽 끈이 세 번 끊어질 정도로 했다.[위편삼절(韋編三絕)] 孔子晚而喜易, 序彖·繫·象·說卦·文言. 讀易, 韋編三絕.”
⇒ 십익, 『역전』 부분은 공자가 지었다고 보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