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 박괘와 복괘 읽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 '''박괘(剝卦)''' = * 괘의 순서: 현행본 『주역』의 23번째 괘 * 박(剝)의 의미: 박괘의 ‘박(剝)’은 일반적으로 깎여서 떨어진다는 ‘박락...)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괘상: 산지박(山地剝), 곤하간상(坤下艮上) | * 괘상: 산지박(山地剝), 곤하간상(坤下艮上) | ||
=> 박괘는 하괘의 곤괘와 상괘의 간괘로 구성되어 있음</br> | => 박괘는 하괘의 곤괘와 상괘의 간괘로 구성되어 있음</br> | ||
+ | |||
+ | |||
+ | == '''박괘(剝卦) 괘사''' == | ||
+ | |||
+ | <span style="color:#3c68ba">'''剝(박)은 不利有攸往(불리유유왕)하니라. '''</span> | ||
+ | <span style="color:#3c68ba">'''박(剝)은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다.(나아가는 것이 있으면 불리하다.) '''</span> | ||
+ | |||
+ | * 여러 음이 자라나고 성대해져서 양을 쇠퇴하게 하고 깎는 때이기 때문에 여러 소인들이 군자를 깎아내리는 때임(정이) | ||
+ | * 음이 건괘를 깎아나가고 있는 상황으로 해석되기도 함. 유(柔)가 강(剛)을 변화시켜서 소인의 도가 자라나는 상황임(『주역집해(周易集解)』, 우번(虞翻)) | ||
+ | |||
+ | |||
+ | == '''박괘(剝卦) 「단전」''' == | ||
+ | |||
+ | <span style="color:#3c68ba">'''彖曰(단왈) 剝(박)은 剝也(박야)니 柔變剛也(유변강야)니 不利有攸往(불리유유왕)은 小人(소인)이 長也(장야)일새라. 順而止之(순이지지)는 觀象也(관상야)니 君子尙消息盈虛(군자상소식영허) 天行也(천행야)라. '''</span> | ||
+ | <span style="color:#3c68ba">'''「단전(彖傳)」에 말했다. “박(剝)은 깎임이니, 유(柔)가 강(剛)을 변화시킨 것이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음은 소인(小人)이 자라나기 때문이다. (때에) 순응하여 멈춤은 상(象)을 관찰해 보고서 하는 것이니, 군자가 소식(消息: 사그라들고 자라남)과 영허(盈虛: 가득차고 빔)를 숭상하는 것은 하늘의 운행이기 때문이다.” '''</span> | ||
+ | |||
+ | * 박괘 단전의 “소식영허”라는 구절은 『장자(莊子)』, 「추수(秋水)」에 보임. 진고응이라는 학자는 「단전」이 도가사상의 체계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보았음(陳鼓應, 『易傳與道家思想』, 臺灣商務印書館, 1994, 37~40쪽) |
2023년 10월 24일 (화) 23:24 판
박괘(剝卦)
- 괘의 순서: 현행본 『주역』의 23번째 괘
- 박(剝)의 의미: 박괘의 ‘박(剝)’은 일반적으로 깎여서 떨어진다는 ‘박락(剝落)’의 의미로 쓰이고 있음. 이를 음양소식(陰陽消息: 음양이 깎이고 자라남)의 관점에서 설명하곤 함. 즉 음이 이제 막 자라나기 시작해서 양을 변화시켜 양이 깎여 떨어져나가는 상(象)으로 해석하는 것임
- 괘상: 산지박(山地剝), 곤하간상(坤下艮上)
=> 박괘는 하괘의 곤괘와 상괘의 간괘로 구성되어 있음
박괘(剝卦) 괘사
剝(박)은 不利有攸往(불리유유왕)하니라. 박(剝)은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다.(나아가는 것이 있으면 불리하다.)
- 여러 음이 자라나고 성대해져서 양을 쇠퇴하게 하고 깎는 때이기 때문에 여러 소인들이 군자를 깎아내리는 때임(정이)
- 음이 건괘를 깎아나가고 있는 상황으로 해석되기도 함. 유(柔)가 강(剛)을 변화시켜서 소인의 도가 자라나는 상황임(『주역집해(周易集解)』, 우번(虞翻))
박괘(剝卦) 「단전」
彖曰(단왈) 剝(박)은 剝也(박야)니 柔變剛也(유변강야)니 不利有攸往(불리유유왕)은 小人(소인)이 長也(장야)일새라. 順而止之(순이지지)는 觀象也(관상야)니 君子尙消息盈虛(군자상소식영허) 天行也(천행야)라. 「단전(彖傳)」에 말했다. “박(剝)은 깎임이니, 유(柔)가 강(剛)을 변화시킨 것이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음은 소인(小人)이 자라나기 때문이다. (때에) 순응하여 멈춤은 상(象)을 관찰해 보고서 하는 것이니, 군자가 소식(消息: 사그라들고 자라남)과 영허(盈虛: 가득차고 빔)를 숭상하는 것은 하늘의 운행이기 때문이다.”
- 박괘 단전의 “소식영허”라는 구절은 『장자(莊子)』, 「추수(秋水)」에 보임. 진고응이라는 학자는 「단전」이 도가사상의 체계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보았음(陳鼓應, 『易傳與道家思想』, 臺灣商務印書館, 1994, 37~4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