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에세이 공자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48번째 줄: | 48번째 줄: | ||
○ 공자는 주나라의 여러 제후국 가운데 약소국인 노나라 창평향의 '추'라는 마을에서 태어났음. 지금의 산둥성 취푸[곡부(曲阜)]에 해당함</br> | ○ 공자는 주나라의 여러 제후국 가운데 약소국인 노나라 창평향의 '추'라는 마을에서 태어났음. 지금의 산둥성 취푸[곡부(曲阜)]에 해당함</br> | ||
☞ [https://www.google.com/maps/place/%EC%A4%91%EA%B5%AD+%EC%82%B0%EB%91%A5+%EC%84%B1+%EC%A7%80%EB%8B%9D+%EC%8B%9C+%EC%B7%A8%ED%91%B8+%EC%8B%9C/@35.6290605,108.0866759,5z/data=!4m5!3m4!1s0x35c3fa756b0a7e61:0xddf80de695f0cced!8m2!3d35.4746899!4d117.24542 취푸 위치]</br> | ☞ [https://www.google.com/maps/place/%EC%A4%91%EA%B5%AD+%EC%82%B0%EB%91%A5+%EC%84%B1+%EC%A7%80%EB%8B%9D+%EC%8B%9C+%EC%B7%A8%ED%91%B8+%EC%8B%9C/@35.6290605,108.0866759,5z/data=!4m5!3m4!1s0x35c3fa756b0a7e61:0xddf80de695f0cced!8m2!3d35.4746899!4d117.24542 취푸 위치]</br> | ||
+ | |||
○ 공자의 '자(子)'는 선생님이라는 뜻의 존칭이고, 공자의 실제 이름 '구(丘)'였음. 성은 '공(孔)'이고, 이름은 '구'로 공자의 성명은 '공구'였음. 그의 이름은 공자의 어머니가 니구산(尼丘山)에 빌어 공자를 가졌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임</br> | ○ 공자의 '자(子)'는 선생님이라는 뜻의 존칭이고, 공자의 실제 이름 '구(丘)'였음. 성은 '공(孔)'이고, 이름은 '구'로 공자의 성명은 '공구'였음. 그의 이름은 공자의 어머니가 니구산(尼丘山)에 빌어 공자를 가졌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임</br> | ||
☞[https://www.google.com/maps/place/Nishan+Mountain/@35.4929392,112.7544093,6z/data=!4m5!3m4!1s0x35c1542417c0e967:0xa8d1d76e728699ec!8m2!3d35.492941!4d117.236831?hl=ko 니구산 위치]</br> | ☞[https://www.google.com/maps/place/Nishan+Mountain/@35.4929392,112.7544093,6z/data=!4m5!3m4!1s0x35c1542417c0e967:0xa8d1d76e728699ec!8m2!3d35.492941!4d117.236831?hl=ko 니구산 위치]</br> | ||
+ | |||
+ | ○ 공자의 집안은 몰락한 귀족이었고 아버지 숙량흘은 하급 무사였음</br> | ||
+ | |||
+ | |||
+ | * '''공자의 성장기''' | ||
+ | |||
+ | ○ 3살 때 아버지를 잃은 공자는 홀어머니 밑에서 자랐음</br> | ||
+ | ○ 집이 가난했기 때문에 먹고 살기 위해 잔치가 있는 곳들을 찾아다녔는데 그래서 공자가 어려서부터 예절에 밝았던 것으로 보기도 함</br> | ||
+ | ○ 젊었을 때에는 정원을 관리하고 가축을 돌보는 일, 창고에서 물건을 내주고 받는 일을 하는 등 백성들의 어려움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많은 일들을 했음 | ||
[[분류: 동양철학개설]] | [[분류: 동양철학개설]] |
2022년 3월 23일 (수) 13:56 판
불행한 삶에서 피어난 위대함
☞ 김교빈, 이현구 지음, <<동양철학에세이1: 혼란 속에서 피어난 철학의 향연>>, 동녘, 2021, 34~45쪽
공자가 살던 혼란기, 춘추시대
-사진 출처: 『論語』全文・現代語訳
○ 공자가 제자들과 길을 가고 있었음. 도덕과 예의로 백성을 다스려야 한다고 설득했지만 부국강병의 논리가 아니라고 받아들여주지 않는 무도한 인금에게 실망을 느끼고 다시 자신의 뜻을 받아들여 줄 새로운 임금을 찾아가는 여행길이었음
○ 이 때 나루터가 어디 있는지 물으려고 했는데 밭을 가는 장저와 걸닉에게 길을 묻게 됨
○ 자로가 장저와 걸닉에게 나루터 가는 길을 묻자 오히려 어지러운 세상을 피해 함께 살자는 답변을 받음
○ 이에 공자는 탄식하며 세상 사람과 더불어 살지 않으면 누구와 더불어 살겠느냐고 탄식함
☞질문: 여기에서 장저와 걸닉은 어떤 무리의 사람들이었을까?
☞질문: 공자가 말한 '날짐승이나 길짐승과 더불어 살 수는 없지 않겠는가? 내가 세상 사람들과 더불어 살지 않으면 누구와 더불어 살겠느냐?'라는 말은 무슨 뜻일까?
=> 장저와 걸닉은 혼란했던 춘추시대에 세속을 떠나 밭을 갈며 은거하며 살아갔던 사람들로 보임. 이를 통해 혼란했던 당시에 시대에 대처했던 다양한 방식의 삶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음. 노자, 장자의 대처 방식과도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음
=> 하지만 공자는 세속을 떠난 삶을 선택하지 않았음. 결국 사람들과 함께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삶을 선택함. 그렇다면 사람들의 욕심으로 인해 일어난 그 혼란들을 인간사회 안에서 어떻게 극복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했을까?
- 혼란한 시대가 초래된 이유
○ 경제적 변화: 소를 이용하는 농사방법, 철로 만든 농기구의 등장, 비료의 등장, 관개 시설의 개발로 인한 농사 기술의 발달 => 토지는 잠시 이용하는 것이 아닌 토지를 영원히 소유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전환 => 힘 센 나라들이 더 많은 토지와 그 토지에서 일할 사람들을 구하게 됨 => 이 욕심을 채우기 위해 전쟁을 택함
☞ 그림출처: 林巳奈夫『中国古代の生活史』2009 吉川弘文館 p.65
- 공자의 등장
○ 땅과 사람을 빼앗기 위한 전쟁이 일어나는 속에서 기존의 신분제를 비롯한 많은 제도가 무너졌고 이로 인해 엄청난 혼란이 일어났음
☞ 출처: 중국학 위키백과
○ 춘추시대 사회 경제적 변화와 이로 인한 혼란을 보면서 공자는 세상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됨
☞질문: 공자는 어떻게 혼란을 바로잡고자 했을까?
공자(B.C.551~B.C479)의 일생
- 공자의 탄생
○ 공자는 기원전 551년에 태어나 기원전 479년 73세에 생을 마감함
○ 공자는 주나라의 여러 제후국 가운데 약소국인 노나라 창평향의 '추'라는 마을에서 태어났음. 지금의 산둥성 취푸[곡부(曲阜)]에 해당함
☞ 취푸 위치
○ 공자의 '자(子)'는 선생님이라는 뜻의 존칭이고, 공자의 실제 이름 '구(丘)'였음. 성은 '공(孔)'이고, 이름은 '구'로 공자의 성명은 '공구'였음. 그의 이름은 공자의 어머니가 니구산(尼丘山)에 빌어 공자를 가졌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임
○ 공자의 집안은 몰락한 귀족이었고 아버지 숙량흘은 하급 무사였음
- 공자의 성장기
○ 3살 때 아버지를 잃은 공자는 홀어머니 밑에서 자랐음
○ 집이 가난했기 때문에 먹고 살기 위해 잔치가 있는 곳들을 찾아다녔는데 그래서 공자가 어려서부터 예절에 밝았던 것으로 보기도 함
○ 젊었을 때에는 정원을 관리하고 가축을 돌보는 일, 창고에서 물건을 내주고 받는 일을 하는 등 백성들의 어려움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많은 일들을 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