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학이란

An_SW
Esang21c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3월 2일 (수) 21:27 판 (→‎한국철학?)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한국철학?

  • 한국적임이 어떤 의미가 있을까?

봉준호 감독의 아카데미 감독상 수상 소감

“<기생충>은 가장 한국적인 것들로 가득 차서 오히려 가장 넓게 전 세계를 매료시킬 수 있었던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오징어게임 열풍

  • 희한하게 아무리 외국 것이었어도 한국에 들어오면 다른 모습이 된다

최치원(857~908)

사진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치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성골(부모 모두가 왕족), 진골(한쪽만 왕족)의 뼛속부터 왕족이어야만 높은 관직에 오를 수 있었던 신라시대에 6두품으로 태어나 당나라에 유학 가서 당나라 과거시험에 합격해 관직에까지 올랐던 천재인 최치원이 신라의 화랑이었던 난랑을 위해 남긴 글 중


  "우리나라에 현묘한 도가 있으니 그것을 풍류라고 이른다. 교(敎)를 베푼 근원은 선사에 기록되어 있다. 이는 내용에서 삼교(三敎)를 포함하고 있다.”
 “이 현묘한 도로 모든 생물을 감화시킬 수 있으니, 예를 들면 들어와 가정에서는 효성을 다하며 나아가 나라에서는 충성을 다하는 것은 공자의 뜻이며, 함이 없는 일에 처하며 말없는 가르침을 행하는 것은 노자의 종지이며, 모든 악한 것을 짓지 말고 모든 착한 것을 받들어 행하라 한 것은 인도의 석가모니의 교화이다.”

여기에서 삼교는 유교, 불교, 도교를 지칭한 것이지만, 현묘한 도는 우리나라 고대로부터 전래해 온 고유신앙이며, 전통사상임. 우리나라 고래(古來)로부터 내려오는 현묘한 도에서 유교, 불교, 도교는 물론 어떤 종교사상도 나올 수 있다는 뜻임 (류승국, <한국사상의 연원과 역사적 전망>, 유교문화연구소, 2009년)


  • 한국에 철학이 있는가?
 김교빈 교수는 이 주제에 대해 세 가지 관점이 있다고 보았다.
 1. 유교, 불교, 도교를 빼고 단군 신화와 화랑도 같은 고유사상만을 한국철학으로 보자는 견해
 2. 유교, 불교, 도교 같은 외래사상도 오랜 세월을 거쳐 우리 사상이 되었다는 견해
 3. 철학이 보편을 추구하는 학문이므로 한국 사람이 한국에서 한국말로 하는 철학은 모두 한국철학으로 보자는 견해

☞ 출처 : 대학신문(http://www.snunews.com) ☞ 기사 전체 보기

  • 한 학기동안 함께 생각해 볼 것
 1. K-Pop,K-Culture 등 한국적임의 뿌리를 우리 철학안에서 찾아볼 수 있을까?
 2. 내가 생각하는 한국적임, 한국철학은 무엇인가?
 3. 이게 내 삶에 어떻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까?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