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 순언(醇言)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 금장태, <순언과 율곡의 노자 이해>, <<동아문화>> 제43집,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2018
율곡 이이(1536~1584)의 <<노자>> 주석서 <<순언>>
- 율곡은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성리학자의 한 사람으로서 주자학(성리학, 유학)의 정통성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지녔던 인물임
- <<순언>>은 현재 알려진 조선시대 유학자의 <<노자>> 주석서 가운데 최초의 저술로 알려져 있음
- 1611년 율곡의 문집이 처음 간행되고 그 후에 <<속집>>, <<외집>>, <<별질>>이 차례로 간행되었으나 <<순언>>은 어디에도 수록되지 않았음. <<율곡집>>을 편찬하던 율곡의 제자들이 <<율곡집>>에 수록하기를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파격적인 저술로 받아들여졌음. 사실상 율곡의 학맥에서도 <<순언>>에 관해 아무도 논의하지 않아 거의 외면당한 형편이었음
- 율곡의 <<순언>>이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홍계희(1703~1771)에 의해서임. 홍계희는 1750년 <<순언>>의 끝에 붙인 발문에서 그가 충청도 관찰사로 충남 논산군의 연산면을 지나다가 김집(金集, 1574~1656 : 율곡의 제자였던 김장생의 아들)의 후손에게서 김집이 손으로 옮겨 적은(필사한) <<순언>>을 우연히 구해보고 없어질까 염려하여 몇 권을 활자로 인쇄했다고 함
- 율곡의 <<순언>>은 <<노자>> 본문의 5,000여 자에서 2,098자를 선택하여 40장으로 나누고 구절을 나누어 <<순언>>을 편찬했음. 이러한 선택의 원칙은 이치에 가까워 취할 만한 것은 선택하고, 이치에 어긋남이 있어서 버려야 할 것은 제외시킨 것이라고 볼 수 있음. <<노자>>에서 '순수한[순(醇)]' 것을 취하여 <<순언(순수한 말)>>이라는 제목을 붙였음
율곡의 이단에 대한 인식
- 율곡은 이단배척을 엄격하게 주장했던 인물임. 그는 "이단의 교설과 세상을 미혹시키는 술법에 대해서는 일체 금지하여 끊어야 한다."고 하여 이단의 금지를 요구했음
- 그러나 율곡 자신이 19세 때 금강산에 입산하여 불법을 닦았던 일이 있었으며 금강산에서 승려와 묻고 답하면서 "마음이 곧 부처이다"라는 불교의 가르침에 대해, "맹자가 성품이 선함을 말하면서 말할 때마다 반드시 요, 순을 일컫는 것이 마음이 곧 부처라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라고 하기도 했음. 이처럼 유교와 불교의 가르침이 근원에서 소통할 수 있음을 지적했음
- 율곡은 노자와 불교를 이단으로 인정했지만 <<노자>>에 대해서는 독특한 평가를 했음. 그는 <<노자>>에 취할 만한 부분과 취할 수 없는 폐단의 부분을 엄격하게 구분했음. 예를 들어 무위(無爲)와 무욕(無欲)은 이치에 가까운 말이라 군자도 취하지만 양생의 말, 공허를 오묘한 작용으로 삼는 것 등은 비판했음
- 그러면서 그는 <<노자>>의 가르침을 다음과 같이 평가했음
다만 자신을 극복하고 인욕을 막음이나, 고요하고 신중함으로 자신을 지킴이나, 겸허함으로 자신을 기르는 것이나, 자애롭고 간략함으로 백성을 다스림의 의리는 모두 친절하고 맛이 있어서 배우는 자에게 유익하니, 성인의 글이 아니라 하여 살펴보지 않아서는 안 된다. -<<순언>>
율곡이 <<노자>>에서 발견한 수기와 치인의 원리
- 율곡은 <<노자>>에 나타난 도를 실현하는 과정을 크게 '수기'와 '치인'의 두 영역으로 제시하여 <<순언>>을 편찬했음
수기(수양론)의 원리와 과제
수양의 기반으로서의 허심(虛心: 마음 비우기)
<<노자>> 그러므로 있음[유(有)]으로써 이로움이 되고, 없음[무(無)]으로써 활용이 된다. 故有之以爲利(고유지이위리)는 無之以爲用(무지이위용)이니라.
☞ <<순언>> 해석 바깥에 있어서 형체를 이루고, 속에 없어서 사물을 받아들인다. ... 이로움이란 순조롭게 적응한다는 뜻이니 이로움은 활용의 도구가 되고 활용은 이로움의 기틀이 된다. 바깥에 있음은 비유하면 신체요, 속에 없음은 비유하면 마음이다. ... 신체가 아니면 마음이 깃들 곳이 없고, 마음이 비지 않으면 이치를 용납할 곳이 없으니, 군자의 마음은 반드시 비어서 밝으며 아무 것도 없게 한 다음에 사물에 대응할 수 있다. ... 마음을 비운 다음에 자기의 사사로움을 버리고 남의 선함을 받아들일 수 있어서 학문이 진보되고 행실이 성취될 수 있는 것이다.
- 율곡은 유, 무의 존재 문제를 몸과 마음의 문제로 전환하여 해석함. 바깥의 형체로써 적응하여 이로움을 이루는 것은 '있음'이고, 속이 비어 받아들일 수 있어서 활용이 가능한 것은 '없음'임
수양의 기본원리로서 덜어냄[손(損)]과 수렴함[색(嗇)]
<<순언>> 덜어냄과 수렴함으로 자기를 다스리고 남을 다스리는 핵심적 취지를 삼는다.
<<노자>> 배우는 것은 날마다 보태어가는 것이요, 도를 실현하는 것은 날마다 덜어내는 것이다. 덜어내고 또 덜어냄으로써 함이 없는 데 이른다. 爲學日益(위학일익) 爲道日損(위도일손) 損之又損(손지우손) 以至於無爲(이지어무위)
☞ <<순언>> 해석 배움은 앎으로 말하고, 도는 행실로 말한다. 앎은 글로 넓히는 것이므로 날마다 보태어 가고자 하지만, 행실은 예법으로 집약하는 것이므로 날마다 덜어내고자 한다. 무릇 사람의 성품 속에는 모든 선이 스스로 충족되어 있으니 선은 보태어져야 할 이치가 없으며, 다만 마땅히 부여받은 기질이나 사물에 대한 욕심으로 얽매임을 덜어내 제거할 뿐이다. 덜어내고 또 덜어내어 덜어낼 수 없는 데까지 이르면 그 본연의 성품이 회복된다.
- 율곡은 덜어냄을 기품이나 물욕의 얽매임을 제거하는 것으로 본래의 성품을 회복하는 것이라고 하여 덜어냄의 수양방법이 바로 유교적 수양방법으로 인욕의 발동을 막고 천리를 드러내는 "알인욕 존천리(遏人欲 存天理)"의 과제와 일치시키고 있음
<<노자>> 사람을 다스리고 하늘은 섬김은 수렴함만 한 것이 없다. 治人事天(치인사천) 莫若嗇(막약색)
☞ <<순언>> 해석 하늘을 섬긴다는 것은 자신을 다스리는 것이니, <<맹자>>가 '마음을 간직하고 성품을 배양하는 것이 하늘을 섬기는 방법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자신을 다스리고 남을 다스리는 것은 모두 '색(嗇)'으로 도리를 삼아야 하니, '색'이란 소중히 여겨 거두어들인다는 뜻이다.
- 율곡은 아껴서 소중히 여기고 몸과 마음을 단속하여 거두어들인다는 '색'의 수양론적 역할을 유교의 '경(敬)'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았음. 하나의 중심을 잡아 집중하는 '주일(主一)'의 방법임. 그는 '색'의 뜻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다음과 같이 설명했음
<<순언>> 자신을 다스리는 것으로 말하면, 즐겨하고 욕심내는 것을 막으면 정신을 배양하고, 말을 신중히 하며 음식을 절제하고, 거처함에 공경하고 행동함에 간결한 것들이 '색'이다. 남을 다스리는 것으로 말하면 법도를 삼가며 호령을 간결하게 하고, 번거로운 조목을 줄이고 사치스러운 비용을 제거하며, 일을 공경하게 하고 사람을 사랑하는 것들이 '색'이다.
- 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마음에서 욕심을 덜어내는 '손'과 마음을 단속하여 수렴하는 '색'이 수양의 기본 방법으로 확인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