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 미학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 임태승, <<소나무와 나비: 동아시아 미학의 두 흐름>>, 심산, 2004
형신(形神): 마음을 담아내는 몸, 정신을 드러내는 눈빛
<어찌 된 일인가!> 만고절색이라는 서시(西施)의 얼굴을 그렸다 하나, 예쁘기는 해도 마음까지 홀리지는 않는다. 또 천하용장 맹분(孟賁)의 눈을 나타냄에, 크게는 그렸어도 두려움까지 자아내지는 못한다. 모두가 헛껍데기만 그렸을 뿐 그 내면의 본질을 드러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회남자>> <설산훈(說山訓)>
피리 연주에 두 명의 악사가 달려들어 하나는 입으로 불기만 하고 다른 하나는 손으로 소리 구멍만을 다룬다면, 설령 음정과 박자가 적절한 듯해도 귀에 순하게 들리진 않는다. 이유인즉, 그 음질을 주재하는 내면세계가 하나가 아니니 그저 공허한 소리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회남자>> <설림훈(說林訓)>
- 형(形)과 신(神)의 눔제는 곧 몸과 마음의 문제로 철학적으로 중요한 문제 가운데 하나임. 특히 한나라 때 <<회남자>>에서는 "내면의 정신이 외형보다 중요하다."는 관념이 등장했음. 형은 몸에 해당하고 신은 마음, 정신에 해당함
- 신은 동아시아 미학과 예술에서 줄곧 중요시되어 왔음. 중국 화가인 고개지(顧愷之, 344?~405?)는 인물화에 인물이나 사물의 내재적 정신의 본질을 표현해야 한다고 보았음. 그리고 특히 눈에 대한 묘사를 중시했음
고개지가 인물을 그리는 데 있어 쉽게 눈동자를 그리지 않았기에 누군가 그 까닭을 물었는데, 답하기가 이렇다. 형체에 대한 절절한 묘사가 아무리 뛰어나도 그것만으로는 대상을 진정으로 밝혔다 할 수 없으니, 그 진실한 속을 드러내는 것은 결국 눈의 묘사에 달린 것이다. -<<진서(晉書)>>, <고개지>
=> 고개지는 회화에서 인물을 그리기 가장 어렵다고 했고 그 이유는 정신의 그윽한 경지를 드러내야 할 눈에 대한 묘사가 가장 힘들다고 보았기 때문임. 눈은 그 사람의 정신과 마음을 대변한다고 보았음
- 하지만 이후 인물화에만 그치지 않았음. 인물에서 산수, 더 나아가 여타 사물로의 제재의 변화는 곧 신 개념의 외연의 확대와 연관되었음. 인간에게만 신이 있는 것이 아니라 산수와 매란국죽 같은 인체가 아닌 것에도 신이 있으며, 이러한 물(物)의 신까지도 표현해 내야 하는 것으로 발전되었음. 무생명의 산수에도 역시 신이 있다고 보아 신의 개념을 인물에서 산수까지 확장시킨 이는 종병(宗炳, 375~443)임
산수의 경우, 그 존재는 형이하학적인 것[질(質)]이지만 형이상적인 도의 상징으로서의 신령함[영(靈)]도 지닌다. -<<화산수서(畵山水序)>>
신이란 원래 근거가 없는 무형의 것이나, 형태 있는 것에 깃들며 또 비슷한 형상의 사물에도 감응하게 마련이다. 생동하는 형상의 주인이 바로 이것이라 할 것이다. -<<화산수서(畵山水序)>>
- 종병은 신은 무형의 것이지만 형에 의지하는 것이므로 산수를 그릴 때 화가는 반드시 "마음을 담아내는 몸을 그려야 한다"고 주장했음
- 작가는 인물이라는 심미대상을 응시함으로써 그의 본질을 간파해 내는데 여기에서 물의 신(神)은 화가 자신의 신(神)과 통할 수 있는 성질의 것임. 그리고 작품에 화가 자신이 해석해 낸 신을 표현해 내는데 감상자는 인물화의 눈에 서려 있는 내재본질[물의 신]을 응시함으로써 자신의 정신세계[인간의 신]와의 합일을 추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