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 민족주의

An_SW
Esang21c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1월 27일 (일) 21:42 판 (새 문서: = '''한국 근대 단군 민족주의''' = ☞ 서영대, <근대 한국의 단군 인식과 민족주의>, <<동북아역사논총>> 20호, 동북아역사재단, 2008</br> * 단...)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한국 근대 단군 민족주의

☞ 서영대, <근대 한국의 단군 인식과 민족주의>, <<동북아역사논총>> 20호, 동북아역사재단, 2008

  • 단군의 존재는 한국사의 시작이라는 의미에서 이전부터 중시되고 있었음. 특히 13세기 몽골의 침입을 경험하면서 그 존재는 더욱 뚜렷해짐. <<삼국유사>>, <<제왕운기>>와 같은 고려시대 역사서에서 한구사상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의 시조로 언급되었음. 그 이유는 역사공동체라는 의식을 강조함으로써 몽골의 침입에 저항할 수 있는 정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서였음. 단군은 한국사의 근원이며 삼국이든 고려든 모두 여기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인식을 강조함으로써 역사공동체의 의식을 뒷받침하고 고려사회 내부의 결속을 도모했음

☞ 참고: 고려시대 고구려 계승 의식 vs 신라 계승 의식

  • 조선시대로 오면서 국가 차원에서 조선의 시조임을 인정하고 단군을 국가제사의 대상으로 삼았음

☞ 참고: 고전종합DB 속 단군

  • 하지만 조선시대에 단군은 기자보다 낮게 평가되었음. 조선 역사서에서 단군의 시대는 미개한 시대였고 기자에 와서 비로소 문명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역사적 공적에서는 기자가 더 훌륭하다고 여겨졌음
  • 하지만 일제가 한국의 국권 침탈에 박차를 가하던 시기인 1900년대 중후반에 '단군의 자손'이란 언급이 더 강조되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