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 주역의 주요 원리들 정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 『주역』의 괘를 읽어나가면서 어느 정도 주역 안에 일정한 원리가 들어있다는
느낌이 드셨을텐데요, 『주역』을 읽을 때 우리가 염두에 두면 좋을 몇 가지 주역의 원리들을 한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주역』이란 텍스트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
- 우리가 주로 본 것은 역경의 괘, 효사 부분이었음. 『주역』의 『역경』 부분은 엄밀히 말해 점치는 책으로서의 부분임. 점을 쳐서 특정 괘사, 효사를 얻었을 경우 이를 자신의 문제상황에 대입시켜 스스로 성찰해 볼 수 있도록 하는, 점치는 책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었음
- 하지만 『주역』 괘, 효사를 읽어나가면서 느꼈을테지만 이미 점치는 책으로서 『역경』 부분 안에는 그저 인생을 운명에 내맡겨버리는 것이 아니라 내 삶을 객관적으로 성찰하고 그 속에서 내가 어떻게 중심을 잡고 주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갈 수 있을지를 성찰해 볼 수 있는 부분들이 있음(물론 『역전』의 「단전」, 「상전」의 해석을 도움을 받아 그렇게 해석되는 부분도 있지만)
- 아래 이괘의 구사 효사는 이미 역경 단계에서 길흉의 문제 해결에 대한 인간의 주체적 역할을 성찰하고 있었음을 살펴볼 수 있는 구절이 등장함
- 하지만 『주역』 괘, 효사는 단편적인 구절들로 이루어져 있기에 이것들만으로 어떤 원리를 도출해 내기는 쉽지 않음
- 그래서 『역전』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역전』은 철학 책으로서의 부분임
- 따라서 일반적으로 『주역』의 원리라고 했을 때에는 『역전』에 기초하여 풀이해낸 것이라고 할 수 있음
- 이렇게 본다면 『주역』의 원리는 무궁무진하게 확장될 수 있음. 『역전』도 『역경』에 기초해서 풀이해낸 것임. 『역경』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해석과 풀이도 가능함. 21세기 우리시대에 맞는 새로운 『역전』도 가능하지 않을까?!
『주역』속 음양 변역(變易)의 법칙
☞ 정병석, 『점에서 철학으로』, 동과서, 2014
一陰一陽之謂道(일음일양지위도)니 繼之者善也(계지자선야)요 成之者性也(성지자성야)라. 仁者見之(인자견지)에 謂之仁(위지인)하며 知者見之(지자견지)에 謂之知(위지지)요 百姓(백성)은 日用而不知(일용이부지)라 故(고)로 君子之道鮮矣(군자지도선의)니라 한 번은 음하고 한번은 양하는 것을 도(道)라고 하니 이것(도)을 이어받는 것이 선(善)이고 이를 이룬 것이 성(性)이다. 어진 사람은 그것(도)을 보고 어질다고 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그것을 보고 지혜롭다고 하는데, 일반 백성들은 매일 (도를) 쓰면서도 그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군자가 말하는 도의 의미를 아는 사람이 드물다. (『주역』「계사상전」)
- 『주역』『역경』 단계의 본문에는 ㅡ, - -의 두 부호만 있고 음양을 문자적으로 기록해 두지 않았음. 『역전』단계에 이르르면 음양이라는 언어적 표현과 함께 이에 대한 원리적 해석을 통해 『주역』에 담긴 변화의 원리를 설명해 냄
- 위의 "한 번은 음하고 한번은 양하는 것을 도(道)라고 한다[一陰一陽之謂道(일음일양지위도)]"가 대표적인 예임. 여기에서는 음양의 변화를 통해 도의 개념을 해석하고 있음
- 여기에서 도는 대체적으로 사람이 다니는 길이나 그 의미를 확장한 올바른 방향이나 법도의 뜻임
- 사물의 성질과 그 변화의 법칙을 일음일양으로 체계화했음
- 하지만 한편으론 음양이라는 것이 이중적이고 양면적, 모순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는 것인 만큼 "일음일양지위도"라는 명제에는 사물에 이중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말함. 음양의 두 측면으로부터 사물의 성질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여 양의 일면을 보는 것뿐만 아니라 음의 일면을 보는 것 역시 필요함을 강조함
- 실제로 『주역』의 괘, 효 자체는 양에서 음으로, 음에서 양으로 변화함. 한 괘의 효상은 서로 변하면 다른 한 괘상이 되는데 이것 또한 일음일양임. 『주역』점에서 노음과 논양이 서로 변하고 본괘가 지괘가 되는 점의 기본 원리를 통해서도 이를 살펴볼 수 있음. 『주역』의 음양 변역은 그저 관념적인 세상 변화의 이치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실체적이고, 현장적임
참고: 동양철학의 도(미조구치 유조 외 엮음, 『중국사상문화사전』, 책과 함께, 2015, 40쪽) 사람이 통행하는 길이 도의 본래 뜻이지만 나중에는 인간이나 사물이 반드시 그곳을 지나는 도리, 법칙, 규범이라는 의미로 폭넓게 바뀜. 전국시대에 우주의 이법(理法)을 발견하면서부터 천도가, 또 인간의 규범을 탐구하면서부터 인도가 의식되었고, 나아가 도가의 사상가들이 천지만물의 존재 근거라는 철학적 개념으로 도라는 용어를 사용한 뒤부터 우주, 자연, 만물의 보편적 규율이나 근원적 진리로 그리고 사회, 정치, 도덕의 당위나 규범으로 높은 지위를 부여 받게 되었음. 더욱이 종교(도교, 중국 불교)나 문학, 예술 등의 여러 방면에 이르기까지 도는 줄곧 중국 문화의 중요한 개념이었음
○ 공자의 도: 공자는 인도의 내용에 구체성을 부여했음 1. 보편적 진리로서의 도(“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2. 당위의 도(“나의 도는 하나로 관통한다.”) ○ 노자의 도: 인간 존재의 규범을 추구하는 동기는 공자와 마찬가지지만, 노자는 존재의 근거를 인간 자체가 아닌 우주에서 찾았고 세계의 본질을 도로 삼았음 1. 시간의 축에서 우주의 시작을 더듬어가서 원시의 혼돈을 도로 봄(“도는 1을 낳고, 1은 2를 낳고, 2는 3을 낳고, 3은 만물을 낳는다.”) 2. 공간의 축에서 반복적, 가역적인 현상에 주목하고 그것을 초월한 본질적 존재를 도로 봄(“유약함은 도의 작용“, “돌아옴은 도의 작용") ○ 장자의 도: 노자의 두 관점을 계승하면서 이를 일체화시켜 도를 삶의 존재 방식 쪽으로 추진했음, 득도, 도와의 합일의 추구 ○ 주의 도: 도라는 용어는 존재로서의 도, 생성으로서의 도, 당위로서의 도, 법칙으로서의 도라는 개념규정이 생겨났는데 주역을 통해 새로운 조류로 나타남 “한 번은 음이고 한 번은 양인 것, 이것을 도라고 한다.”(『주역』 「계사전」) -여기에서 도는 사물의 변화 과정 그 자체로 파악할 수도 있고 만물의 나고 소멸하는 생멸 법칙으로 파악할 수도 있음 -이는 상반된 두 존재의 상호작용이 만물을 운동하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함. 모호한 점이 있기는 하지만 유가가 받아들인 최초의 존재론임
☞ 朱伯崑, 『易学基础教程』, 九州出版社,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