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사상과 콘텐츠: 장자 양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장자>> 속 양생(養生)
- 양생: 양생이란 자신의 생명을 잘 기른다는 뜻으로 외부 사물에 대한 욕심 때문에 자신의 육체를 손상시키거나 생명을 잃는 일 없이 원래 하늘로부터 받은 수명 그대로 살아가는 것. 따라서 인위적인 수명연장사상(도교의 신선술)과는 구분됨. 전국시대 맹자로부터 비판받은 양주의 사상이 양생사상의 일면을 지니고 있음
- 양주의 사상: 양주의 사상은 자신을 귀하게 여기는 "위아주의(爲我主義)로 털 한 올을 뽑아 세상이 이롭게 된다 하더라도 하지 않는 사상으로 유명했음(<<맹자>>)
<<열자>> <양주>편에 실린 양주의 사상
금자(禽子)가 양주에게 물었다. "당신은 털 한 올 뽑아 온 세계를 구제할 수 있다면 하겠는가?" 양주가 대답했다. "천하는 본래 털 하나로 구제될 수 없다." 금자가 다시 물었다. "만일 구제할 수 있다면 하겠는가?" 양주는 대답하지 않았다. 금자는 나가서 양주의 제자인 맹손양에게 오고갔던 대화에 대해 말했는데 그걸 듣고 맹손양이 말했다. "당신은 선생님(양주)의 마음을 알지 못하였고. 그 이유를 당신에게 말하고 싶소. 당신은 살갗을 할퀴고 천만금을 얻는다면 그 짓을 하겠습니까?" 금자가 말했다. "나는 하겠다." 맹손양이 다시 물었다. "당신은 사지 하나를 끊어 나라를 얻는다면 그 짓을 하겠습니까?" 금자가 가만히 있었다. 그 때 맹손양이 말했다. "털 한 올은 피부보다 미미하고 작으며 피부는 사지 하나보다 미미하고 작습니다. 그러나 많은 털을 모으면 피부만큼 중요하고 많은 피부를 합하면 사지만큼 중요합니다. 털 한 올은 본래 몸의 만분의 일인데 어찌 가볍게 여길 수 있겠습니까?"
- "생명을 온전하게 하여 그 진수를 보전하며 물질 때문에 신체에 누를 끼치게 하지 않는"(<<회남자>>) 양주의 사상은 후에 노장사상과 결합되어 인간세상의 각종 해독에 대비하여 자기 생명을 보존하는 것을 최선책으로 하는 양생사상으로 발전함
<<장자>> 제3편 <양생주>
庖丁(포정)이 爲文惠君(위문혜군)하야 解牛(해우)하더니 手之所觸(수지소촉)과 肩之所倚(견지소의)와 足之所履(족지소리)와 膝之所踦(슬지소기)면 砉然嚮然(획연향연)하며 奏刀騞然(주도획연)하야 莫不中音(막부중음)하야 合於桑林之舞(합어상림지무)하며 乃中經首之會(내중경수지회)한대 文惠君曰(문혜군왈) 譆(희)라 技蓋至此乎(기개지차호)여 庖丁(포정)이 釋刀(석도)하고 對曰(대왈) 臣之所好者(신지소호자) 道也(도야)니 進乎技矣(진호기의)니이다 始臣之解牛之時(시신지해우지시)에 所見(소견)이 無非(全)牛者(무비전우자)러니 方今之時(방금지시)에 臣(신)이 以神(이신)으로 遇(우)하고 而不以目(이불이목)으로 視(시)하야 官知止(관지지)하고 而神欲行(이신욕행)이어든 依乎天理(의호천리)하야 批大郤(배대극)하며 導大窾(도대관)호대 因其固然(인기고연)이라 技經肯綮之未嘗(기경긍경지미상)이온 而況大軱乎(이황대고호)따녀 良庖(양포)는 歲更刀(세경도)하나니 割也(할야)요 族庖(족포)는 月更刀(월경도)하나니 折也(절야)라 今臣之刀(금신지도)는 十九年矣(십구년의)오 所解(소해)는 數千牛矣(수천우의)로대 而刀刃(이도인)이 若新發於硎(약신발어형)하니이다
소 잡는 포정(庖丁)이 문혜군(文惠君)을 위해서 소를 잡는데, 손으로 쇠뿔을 잡고, 어깨에 소를 기대게 하고, 발로 소를 밟고, 무릎을 세워 소를 누르면, (칼질하는 소리가 처음에는) 획획하고 울리며, 칼을 움직여 나가면 쐐쐐 소리가 나는데 모두 음률에 맞지 않음이 없어서 상림(桑林)의 무악(舞樂)에 부합되었으며, 경수(經首)의 박자에 꼭 맞았다. 문혜군이 말했다. “아! 훌륭하구나. 기술이 어찌 이런 경지에 이를 수 있는가!” 포정이 칼을 내려놓고 대답했다. “제가 좋아하는 것은 도(道)인데, 이것은 기술에서 더 나아간 것입니다. 처음 제가 소를 해부하던 때에는 눈에 비치는 것이 온전한 소 아님이 없었습니다. 지금은 제가 신(神)을 통해 소를 대하고, 눈으로 보지 않습니다. 감각기관의 지각 능력이 활동을 멈추고, 대신 신묘한 작용이 움직이면 자연의 결을 따라 커다란 틈새를 치며, 커다란 공간에서 칼을 움직이되 본시 그러한 바를 따를 뿐인지라, 경락(經絡)과 긍경(肯綮)이 (칼의 움직임을) 조금도 방해하지 않는데 하물며 큰 뼈이겠습니까?” “솜씨 좋은 백정은 일 년에 한 번 칼을 바꾸는데 살코기를 베기 때문이고, 보통의 백정은 한 달에 한번씩 칼을 바꾸는데 뼈를 치기 때문입니다. 지금 제가 쓰고 있는 칼은 19년이 되었고, 그동안 잡은 소가 수천 마리인데도 칼날이 마치 숫돌에서 막 새로 갈아낸 듯합니다.
◈ 상림의 무악, 경수: 모두 아름다운 음악의 이름
◈ 긍경(肯綮): 뼈에 살이 붙어 있는 부분과 살과 힘줄이 엉켜 있는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