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 곤괘

An_SW
Esang21c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9월 22일 (금) 12:18 판 (→‎오늘의 토론 내용(2023.09.18))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곤괘 역경 구성[편집 | 원본 편집]

곤괘 역경.png

곤괘 효읽기.png

  • 양효는 구(九)라고 읽고 음효는 육(六)이라고 읽음


곤괘 읽기[편집 | 원본 편집]

곤괘 괘사[편집 | 원본 편집]

 坤(곤)은 元亨(원형)하고 利牝馬之貞(리빈마지정)이니 君子(군자)의 有攸往(유유왕)이니라. 先(선)하면 迷(미)하고 後(후)하면 得(득)하리니 主利(주리)하니라. 西南(서남)은 得朋(득붕)이요 東北(동북)은 喪朋(상붕)이니 安貞(안정)하여 吉(길)하니라.
 곤(坤)은 크게 형통하고 암말의 바름이 이로우니 군자가 나아갈 곳이 있는 것이다. 먼저 가면 헤매고 나중에 가면 얻어서 이로움을 주관할 것이다. 서남쪽으로 가면 벗을 얻을 것이고 동북쪽으로 가면 벗을 잃어버릴 것이니 올바름을 지킴에 편안하여 길할 것이다.
  • 빈(牝): 암컷
  • 빈마지정(牝馬之貞): 암말의 바름. 『주역』이 쓰여질 당시 목축업이 상당히 보편적이었는데 여기에서 “암말의 바름이 이롭다"라는 것은 암말이 숫말에게 복종하는 상징하는 말로 보기도 함(김경방)
  • 곤괘의 미덕은 유순함으로 곤괘의 미덕임
  • 여기에서 군자는 군자다운 덕을 가진 신하로 볼 수 있음(정병석)
  • 곤괘는 아랫사람, 후배의 처신방법이 담겨 있음
  • 곤괘의 최상의 처세법은 뒤따라가고, 유순한 것으로 먼저 앞장서서 무언가를 하려고 하면 헤매게 되고 곤괘의 미덕대로 나중에 뒤따라서 가면 얻는 것이 있을 것임을 말한 것임
왜 서남쪽으로 가면 벗을 얻고 동북쪽으로 가면 벗을 잃을까요?


주역 속 방위 개념[편집 | 원본 편집]

  • 한양 성균관의 위치

☞ <여지도(輿地圖)>, 규장각 고지도 서비스(http://kyudb.snu.ac.kr/)

한양 성균관.png


  • 개성 성균관의 위치

☞ 『성균관과 반촌』, 서울역사박물관, 2019, 13쪽

개성 성균관.png

왜 한양, 개성 성균관 모두 도성의 동북쪽에 위치해 있었을까요?
주역에 그 해답이 있습니다!

선천팔괘+후천팔괘.png


  • <선천팔괘도(복희팔괘도)>

○ 『주역』 「설괘전」 제3장에 “천지가 자리를 정함에 산과 못이 기운을 통하며 우레와 바람이 서로 부딪치며 물과 불이 서로 쏘지 아니하여 팔괘가 서로 섞인다.(天地定位, 山澤通氣, 雷風相薄, 水火不相射, 八卦相錯.)”라고 한데 근거하여 소옹(1011~1077)이 선천팔괘를 작성함
※ 「설괘전」 : 『주역』 8괘의 여러가지 상징을 풀이해 놓은 『주역』 의 한 부분
○ ‘선천팔괘도’는 ‘복희팔괘도’라고도 하는데 복희는 8괘를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신화적인 인물임
○ 선천팔괘도는 태초의 방위를 담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음


  • <후천팔괘도(문왕팔괘도)>

○ 「설괘전」 5장에 근거하여 소옹이 <후천팔괘도>를 작성함
○“제(帝)가 진(震)방에서 나와서, 손(巽)방에서 가지런히 하고, 리(離)방에서 서로 복, 곤(坤)방에서 역사를 이루고, 태(兌)방에서 기뻐하고, 건(乾)방에서 싸우고, 감(坎)방에서 위로하고, 간(艮)방에서 이룬다.”

국조보감 방위.png


  • 음과 양의 방위

후천팔괘 방위개념.png

☞ 『주역』 「설괘전」에서는 8괘를 부모와 자녀들의 상징으로 풀이했음

곤괘 방위.png

서남쪽으로 가면 벗을 얻을 것이고 동북쪽으로 가면 벗을 잃어버릴 것이다.(西南得朋(서남득붕) 東北喪朋(동북상붕)): 서남쪽은 음의 방위로 벗을 얻는 곳이고 동북쪽은 양의 방위로 벗을 잃는 곳임


곤괘 「상전」(「대상전」)[편집 | 원본 편집]

 象曰(상왈) 地勢坤(지세곤)이니 君子以(군자이)하여 厚德(후덕)으로 載物(재물)하나니라.
 「상전(象傳)」에 말했다. “땅의 형세가 곤(坤)이니, 군자가 이를 본받아서 두터운 덕(德)으로 사물을 실어준다.”


곤괘 효사 및 「상전」(「소상전」)[편집 | 원본 편집]

곤괘 초육 효사[편집 | 원본 편집]

 初六(초육)은 履霜(리상)하면 堅氷至(견빙지)하나니라.
 초육(初六)은 서리를 밟으면 단단한 얼음이 이르러 올 것이다.”
  • 履(리): 밟다
  • 霜(상): 서리
  • 堅(견): 단단하다
  • 氷(빙): 얼음
  • 우리 속담에 “서리를 밟으면 겨울이 올 것을 안다"라고 했음


 象曰(상왈) 履霜堅氷(리상견빙)은 陰始凝也(음시응야)니 馴致其道(순치기도)하여 至堅氷也(지견빙야)하나니라.
 「상전(象傳)」에 말했다. “서리를 밟으면 단단한 얼음이 이르러 올 것이라는 것은 음(陰)이 처음 응결한 것이니, 그 도(道)대로 따라가게 되면 단단한 얼음에 이른다고 하는 것이다.”
  • 凝(응): 응결하다
  • 馴(순): 따르다
  • 곤괘 「문언전」에서는 이 구절에 대해 설명하면서 “선을 쌓은 집안에는 반드시 남아도는 경사가 있겠지만 불선을 쌓은 집안에는 반드시 남아도는 재앙이 있을 것이다. 신하가 자신의 군주를 시해하고 자식이 자신의 부모를 시해하는 일은 하루 아침, 하루 저녁에 일어난 연고가 아니다. 그 유래되어 온 것이 점차적으로 되어온 것이니 분변함을 일찍 분변하지 않은 데에서 유래된 것이다.”라고 했음
  • 그 유명한 “적선지가 필유여경 적불선지가 필유여앙(積善之家, 必有餘慶. 積不善之家, 必有餘殃)”이라는 말이 주역 곤괘에서 유래되었음


곤괘 육이 효사[편집 | 원본 편집]

 六二(육이)는 直方大(직방대)라 不習(불습)이라도 无不利(무불리)하니라.
 육이(六二)는 곧고 방정하고 위대하다. 익히지 않아도 이롭지 않음이 없다.
  • 직방대(直方大): 주희는 육이의 덕은 안으로는 곧고 밖으로는 방정하고 성대해서 배우기를 기다리지 않아도 이롭지 않음이 없으니 점치는 사람이 그러한 덕을 가지고 있으면 그 결과가 이와 같을 것이라고 보았음. 즉 점치는 사람이 내적, 외적인 바름을 지니고 있으면 그 점의 결과가 이롭지 않음이 없을 것이라고 본 것임


 象曰(상왈) 六二之動(육이지동)이 直以方也(직이방야)니 不習无不利(불습무불리)는 地道光也(지도광야)라. 
 「상전(象傳)」에 말했다. “육이(六二)의 움직임이 곧고 방정하니 익히지 않아도 이롭지 않음이 없다는 것은 땅의 도가 빛남이다.”
  • 땅을 상징하는 음의 진면목은 내적인 바름과 외적인 단정함을 갖추고 있는 것임. 음은 유순하지만 바름을 지킬 줄 아는 유순함임


곤괘 육삼 효사[편집 | 원본 편집]

 六三(육삼)은 含章可貞(함장가정)이니 或從王事(혹종왕사)하여 无成有終(무성유종)이니라. 
 육삼(六三)은 아름다움을 머금어서 늘 곧게 지킬 수 있으니, 혹 왕의 일에 종사하더라도 앞장서서 어떤 일을 이루려고 하지 말고 유종의 미를 거두어야 한다.
  • 含(함): 머금다
  • 章(장): 빛, 아름다움
  • 하괘(下卦)의 윗자리에 있기 때문에 머금고 감출 수만은 없으므로 때에 맞게 나와서 임금의 일에 종사하면 처음은 비록 성공함은 없으나 뒤에는 유종의 미가 반드시 있을 것임(주희)


 象曰(상왈) 含章可貞(함장가정)이나 以時發也(이시발야)요 或從王事(혹종왕사)는 知光大也(지광대야)라.
 「상전(象傳)」에 말했다. “아름다움을 머금어 바름을 유지할 수 있으나 때에 따라 발휘할 것이요, 혹 왕(王)의 일에 종사한다는 것은 지혜가 밝고 큰 것이다.”
  • 밝고 큰 지혜로 나아가 왕의 일에 종사할 기회를 얻었으나 그 지혜를 발휘하는 데에 때에 맞게 해야 함을 강조함

곤괘 육사 효사[편집 | 원본 편집]

 六四(육사)는 括囊(괄낭)이면 无咎(무구)며 无譽(무예)리라. 
 육사(六四)는 주머니끈을 묶듯이 하면 허물도 없으며 칭찬도 없을 것이다.
  • 括囊(괄낭): 주머니끈을 묶듯이 한다는 뜻. 신중하게 한다는 의미. 말을 삼가하는 것이기도 하고, 어두운 시대에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숨고 삼가는 은거하는 지혜로 풀이되기도 함
  • 중(中)의 위치도 아니고 음으로 이루어진 곤괘에 음의 자질을 가지고 음의 자리에 놓여 있어 자신을 지키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은둔해야 하는 시기로 이해되기도 함


 象曰(상왈) 括囊无咎(괄낭무구)는 愼不害也(신불해야)라. 
 「상전(象傳)」에 말했다. “주머니끈을 묶듯이 하면 허물이 없다는 것은 삼가면 해를 당하지 않는 것이다.” 
  • 愼(신): 삼가다


곤괘 육오 효사[편집 | 원본 편집]

 六五(육오)는 黃裳(황상)이면 元吉(원길)이리라.
 육오는 황색 치마처럼 하면, 크게 길할 것이다. 
  • 주역에는 음양 개념은 등장하지만 오행 개념이 본격적으로 등장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임. 하지만 그 단초를 살펴볼 수 있는 언급들이 존재함
  • 육오의 자리는 상괘의 중앙에 위치해 있는데 그 색깔이 황색으로 언급되고 있음. 오행에 따르면 오행과 오방, 오색이 각각 배속되는데 목(木)은 청색으로 동쪽, 화(火)는 적색으로 남쪽, 토(土)는 황색으로 중앙, 금(金)은 백색으로 서쪽, 수(水)는 흑색으로 북쪽에 배속되어 있음


 象曰(상왈) 黃裳元吉(황상원길)은 文在中也(문재중야)라. 
 「상전(象傳)」에 말했다. “‘황상원길(黃裳元吉)’은 문채가 중앙에 있는 것이다.” 


곤괘 상육 효사[편집 | 원본 편집]

 上六(상육)는 龍戰于野(용전우야)하니 其血(기혈)이 玄黃(현황)이로다.
 상육은 용이 들에서 싸는 격이니 그 피가 검고 누렇다.
  • 주역에서 상효는 종종 오효의 중의 자리를 넘어서 그 국면이 궁극에 달했을 때를 의미하는 자리로 언급되곤 함
  • 음은 양을 따르는 자인데 그 성대함이 지극해지면 양에게 항거하여 다투게 됨. 양에게 대적하면 반드시 음과 양 모두 다치기 때문에 그 피가 검고 누렇다고 했음(정이천)


 象曰(상왈) 龍戰于野(용전우야)는 其道窮也(기도궁야)라.
 「상전(象傳)」에 말했다. “용이 들에서 싸우는 것은 그 도(道)가 극에 달한 것이다.”


곤괘 용육 효사[편집 | 원본 편집]

 用六(용육)은 利永貞(리영정)하니라.
 육(六)을 씀은 항상되고 바름을 유지해 나감이 이롭다.
  • 용육(用六): 건괘 용구와 마찬가지로 음을 대표하는 육, 즉 음을 쓰는 지혜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용육은 곤괘에만 있음
  • 음은 유순하여 일정하게 지켜가기가 어렵기 때문에 항상되고 올바르고 굳건함을 지켜나가는 것이 중요함을 말하고 있음(정이천)
  • 음이 바르고 굳셈이 부족하면 유종의 미를 거두기 어려우므로, 음을 쓰는 방법에서 주목할 것은 끝마침에 주목하여 올바름과 굳건함을 지켜나가야 함(주희)


 象曰(상왈) 用六永貞(용육영정)은 以大終也(이대종야)라.
 「상전(象傳)」에 말했다. “‘용육영정(用六永貞)’은 끝마침을 성대하게 함이다.” 


오늘의 토론 내용(2023.09.18)[편집 | 원본 편집]

 1. 곤괘의 유순함의 지혜는 무엇일까?
  • 강한 지혜

○ 유순한 것은 마지막에 터트려서도 안됨. 유순함은 화를 내도, 극에 달해서 유순하게 화를 내야 함. 그러므로 유순함을 끝까지 유순할 수 있는 힘이 있으므로 유순함이야말로 진짜 강한 것임

  • 외유내강의 지혜. 부드러운 카리스마

○ 곤괘에서 말하는 유순함은 단순한 유순함이 아니라 그 안에 단단함이 있는 외유내강의 이미지인 것 같음
○ 더 쉽게 풀이하면 부드러운 카리스마라고 정리될 것임. 자신이 원하는 바가 있음에도 그것을 강하게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은근하게 흘려서 상대와의 관계를 지키면서도 원하는 바를 놓치지 않는 것도 유순함의 지혜이며 스스로를 낮추어 다른 사람을 세워주고 균형을 맞춰주는 역할을 하는 것도 그것임
○ 자기안의 바른 잣대를 가져 이를 억지로 남에게 강요하기보다 자연스럽게 따르도록 만드는 덕의 힘

  • 균형맞추기

○ 육사에서 말하는 유순함의 지혜는 말을 많이 하면 실언을 하게 되니까 신중하게 말을 하여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하라는 맥락에서 해석될 것 같음

  • 물처럼 사는 지혜

○ 곤은 흘러가는, 돌아가는 느낌이 있음. 시류에 타협한다고 할 수 있겠지만, 현명하게 마찰을 줄여가면서 갈등을 중재하는 것이 유순함의 지혜라고 생각함
○ 상선약수가 생각남. 도덕경에 보면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고 해서 물이 가지는 특성을 도로 설명하는 것이 있음. 어디든 잘 흘러들어가서 일반적으로 생각하기에는 건괘의 성질이 영향력을 잘 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곤괘의 성질이 사람들에게 더 잘 스며들어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함. 인간 사이의 윤활유, 접착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함
○ 곤괘의 유순함은 노자가 말했던 상선약수(上善若水)로도 비유할 수 있는데, 수(水)가 음을 뜻하기 때문임. 그릇의 모양에 따라 고정됨 없이 형태를 달리하는 물에서 유연한 자세를, 최하위에서 만물을 양육하고 다투지 않는 물에서 생명력의 근원으로서의 활기와 포용하는 마음을 찾을 수 있음

  • 갈대같이 사는 지혜

○ 바람을 거스르지 않고 바람따라 흔들리지만 땅에 중심을 굳건히 하는 것이 곤괘의 유순함이라고 생각함. 여기서 바람이 시류를 주도하는 건의 성질이라고 하면, 강함과 강함이 만나면 한이 부러지기 마련인데,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부는 바람에 따라주면서 자신을 잃지 않는 것이 유순함의 지혜라고 생각함

  • 신중함

○ 무작정 앞서나가기보다는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며 본인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는 것. 결과적으로 공동체와의 조화를 도모함
○ 어떤 일에 있어서 급하게 일을 그르치지 않고, 한번 더 생각하고 일을 행하는 신중함

  • 포용하는 지혜

○ 만물이 생존할 수 있는 공간인 땅은 각기 다른 만물을 모두 담으며 받치고 있는데, 바로 이런 모습에서 땅이 다양성을 포섭하는 유순함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음
○ 자기 의견만 내세우지 않고 사회구성원을 다 아우를 줄 아는 그릇, 포용의 지혜

  • 자기 복구 능력

○ 땅은 매우 강력한 자기 복구 능력이 있다는 점에서, 곤은 단지 유함 뿐 아니라 견강함도 함께 지니고 있는 것임

  • 수혜자 중심의 사고

○ 수혜자 중심의 사고란 어떠한 전략에 대해 원론적으로 해석하고 파고들기 보다, 그 전략의 수혜자가 어떤 것을 원하는지를 중심으로 해석하는 것임

  • 융통성

○ 현실과 시대에서 수용할 수 있는 이론이 융통성 있는 적용된 사례로 곤괘를 살펴볼 수 있음


 2. 곤괘의 바름은 무엇일까?
  • 본인의 역량에 맞춰할 수 있는 바름

○ 모두가 조장일 수 없음. 본인의 역량에 맞춰서 할 일 함. 열정만 앞세우지 않음

  • 중정, 적절한 때에 삼갈 줄 아는 것

○ 땅처럼 두껍고 안정된 모습의 中正은 가만히만 있는 것이 아님. 깊이감 없이 충동적으로 앞서나가지 않고, 과묵하게 자기의 중심을 굳건히 지키며 화합하는 것임
○ 제자리를 찾아 자연의 기운과 흐름에 적응하며 운동하는 이 올바름은 유학자들이 공부를 통해 지향하는 최고 목적이자 경지이기에, 곤괘의 바름을 곧 군자의 모습으로 생각할 수도 있음

  • 한발짝 물러나 남과의 조화를 어우르는 것

○ 남을 존중하는 마음이 바로 곤괘의 모범이 될 것이라고 생각함

  • 생명체들이 서로 살아갈 수 있게끔 통용되는 도리

○ 곤괘는 땅을 상징하는 굳건함이며, 땅은 만물이 태어나고 자라는 곳이기에, 다른 생명체들이 서로 살아갈 수 있게끔 통용되는 도리임

  • 정직한 마음

○ 정직한 마음을 유지한다면 이로울 것이라는 용육을 따라, 이 정직한 마음은 올바름과 굳건함을 뜻하는 땅과의 의미와 일치한다고 생각함

  • 정명사상

○ 곤괘의 바름은 정명사상과 유사함. 곤괘의 바름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로 맞는 자리가 필요하고, 두 번째로 그 자리에 걸맞게 행동하는 태도가 필요함. 효사에 나와있는 것 처럼 외적, 내적으로 모두 바름을 갖춰야 한다는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음

  • 시대에 맞춰 적용해 가는 올바름

○ 올바름이나 태도가 시대를 관통하는 하나의 진리가 아닌 시대에 맞춰 적용해 나가야 하는 진리라고 생각함. 따라서 1번 질문의 ‘유순함의 지혜’와 2번 질문의 ‘곤괘의 바름’이 시대에 맞춰서 변화하는 진리라는 점에서 동일한 맥락으로 볼 수 있었음


 3. 곤괘의 지혜를 우리 삶의 어떤 상황에 적용시켜 볼 수 있을까?
  • 친한 사이에서 더 필요한 유순함의 지혜

○ 친구의 관계에서, 만나면 즐거운데 서로에 대한 존중과 배려, 예의가 필요함 친구라고 해도 함부로 얘기하면 안되고 하는 등. 그런 부분에서 유순함이 필요하다고 생각함. 한 명이 말하면 한 명이 들어주는 것이 필요한데 들어주는 능력이 유순함, 곤괘의 지혜
○ 유순함을 지키는 건 친한 사이에서 더 필요함. 부모님, 친한 사람들한테 화내게 되고 간섭하게 되고, 상대를 내가 원하는대로 흘러가게 하고 싶어하다가 결국 서로 상처를 주기도 함. 상대에게 영향을 주고 싶은 마음을 누르고, 상대가 상대의 흐름대로 흘러가게끔 거리를 지키는 것도 유순함의 지혜라고 생각함.

  • 각자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기

○ 이것저것 일 벌이지 말고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 다하기

  • 말조심

○ 10초 생각하고 말하기 (말을 조심해라 행동이 된다 - 마가렛 대처)

  • 갈등상황

○ 실생활에 가장 가까운 예시로서 친구들과 메뉴를 고르는 상황이 있음. 너무 유순하면 내가 먹고 싶은 메뉴가 있어도 말을 못하고 있을 수 있는데 적당하게 상대에게 강요하지 않고 은근하게 먹고 싶은 메뉴를 흘림으로써 상대와 나 모두의 선호가 반영된 최선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을 것임

  • 외교상황

○ 더 넓은 관점에서는 외교의 상황에서 쓰일 것 같음. 신중하게 양측 모두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다는 곤괘의 지혜는 모든 국가가 당면한 문제에 최선의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도록 도울 것임

  • 만물을 담고 그것을 창조적으로 일으키는 삶

○ 땅처럼 만물을 담고 그것을 창조적으로 일으키는 삶을 살아간다면 경계와 위치를 잘 파악해 떠벌리지 않을 수 있고, 그것은 곧 자신을 잘 보호하게 되는 긍정적 결과를 낳을 것임
○ 편협한 생각에서 벗어나 다양한 의견을 비판적으로 흡수하여 나라는 땅에 심는다면, 더 풍부한 사고력과 지식을 갖출 수 있을 것임
○ 덧붙여 중정을 지킨다면, 피치 못하게 어떤 위기 상황을 맞더라도 그저 풍파에 휩쓸려 나를 잃고 헤매지 않고, 더 이상 변화를 막연히 두려워하지 않게 될 것임

  • 넛지 리더십

○ 부드럽게 개입해 팀원들을 모아주고 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넛지 리더십을 통해 직원 한 명 한 명을 인격체로 존중하고 그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이루어갈 수 있을 것임
○ 서로의 의견만을 앞세운다면 어떠한 관계도 수월하게 형성되기 어려울 것이니 한발짝 물러설 수 있는 미덕으로 인간관계를 지속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