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 길흉관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 지금까지 살펴본 주역의 다양한 면모
☞ 특히『주역』의 길흉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단순한 미신일까? 운명론일까?
○ 야생의 사고가 문명인의 사고와 대립되는 것이 아니며 문명인의 사고의 일부임. 야생의 사고의 특징을 신화적 사고와 구체의 논리로 표현되는 사고라고 보았음
○ 그는 고대의 신화에 대해, 이는 오늘날 우리가 학문 분야로 다루고 있는, 천문학, 기상학, 동물학, 식물학, 사회학 등의 분야에서 묻고 있는 질문들에 대한 고대인들 나름의 답변이라는 점에 주목했음
○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주역』에 나오는 길흉에 관한 이야기들은 삶에서 닥쳐오는 여러 변화의 국면들, 알 수 없지만 대비해야 하는 미래에 대한 고민들에서 나온 것은 아닐까
- 주역 속 길흉관을 이렇게 이해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주역』의 길흉관1: 길흉은 인간에게 달려있다
이괘(履卦)로 보는 주역 길흉관의 특징
- 『주역』의 10번째 괘
- 이괘(履卦) 괘사(卦辭)
“호랑이의 꼬리를 밟더라도 사람을 물지 않으니, 형통하다.” 履虎尾(이호미)라도 不咥人(부질인)이라 亨(형)하니라.
☞ 엥? 호랑이 꼬리를 밟았는데 어떻게 형통할 수 있지?
이괘(履卦) 구사(九四) 효사(爻辭) “구사는 호랑이 꼬리를 밟았으니, 두려워하고 두려워하면 끝내는 길할 것이다.” 九四(구사)는 履虎尾(이호미)니 愬愬(색색)이면 終吉(종길)이리라.
- 주역 괘·효사의 길흉의 구조: 흉도 길로 바꿀 수 있다[화흉위길(化凶爲吉)]
변화로서의 길흉 “길흉회린은 움직임에서 생겨난다” 吉凶悔吝者, 生乎動者也.(길흉회린자, 생호동자야.) -『주역』 「계사전」
- 주체적으로 대비하는 길흉(우환의식)
“위태로운 것은 자기 자리를 편안하게 할 수 있는 것이고 망할까 하는 것은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을 보존하는 것이다.” 危者(위자), 安其位者也(안기위자야), 亡者(망자), 保其存者也(보기존자야). -『주역』 「계사하전」
“우환에서 살고 안락에서 죽는다.” 生於憂患而死於安樂(생어우환이사어안락).” -『맹자』, 「고자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