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경특수연구: 고힐강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경학(經學)의 흐름 속 『주역』해석사
한대(漢代) 금고문
☞ 요명춘 외 지음, 심경호 옮김, 『주역철학사』, 예문서원, 1994
- 한나라가 유교를 숭상한 이래, 경전해석학인 경학이 흥성하게 됨
- 진나라의 분서갱유 이후 유교경전의 복원 과정에서 두 가지 접근방법이 있었음. 하나는 금문경(今文經)으로 진나라 때 간신히 살아남은 유학자들이 암송한 것을 글로 정리한 것으로 당시 통행되던 예서체로 쓰여 있어서 ‘금문경(今文經)’이라고 불렀음
- 금문경학은 유교사상과 음양오행의 학설을 합쳐서 천인감응(天人感應)의 이론을 제시했고 미신적인 내용과 결부되는 경향이 강했음
- 또다른 하나는 고문경(古文經)으로 진나라 이전의 글자로 쓰여 있어서 ‘고문경(古文經)’이라고 불렀음. 고문경은 분서를 거치고도 보존된 옛 서적임
- 이러한 경전 해석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식은 『주역』을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하는 기반이 되기도 함. 특히 한대(漢代) 상수역이 발전하는 배경이 됨
청대(淸代) 금고문논쟁
☞ 양계초 지음, 이기동·최일범 옮김, 『청대학술개론』, 여강출판사, 1987
- 청대에 들어와서 복고(復古)를 주장함
=> 양계초는 기본적으로 청학(淸學)의 출발점이 송명이학에 대한 일대반동에 있다고 보았음
양계초의 『청대학술개론』중
(송명이학)의 연구의 대상은 순전히 실날같이 영묘하여 파악할 수 없는 것에 있기에, 소수의 빼어나고 진지한 사람은 이 방법대로 하여 심신의 안정을 얻을 수 있었지만 이를 받들어 세상에 적용한 자가 적었으므로 경박하고 위선적인 무리들이 헛된 말을 주워 섬김으로써 서로 과장하고 선동하기가 매우 용이하였다. ... 거기다가 과거제를 만들어 첩[帖: 당대(唐代)의 과거에서 경서 가운데 어떤 글자를 따서 쓴 종이 쪽지에 대하여 그 경서의 글을 총괄하여 답안을 만들게 하는 시험방법]함으로써 천하사람들을 사로잡으니 학자들은 단지 이러한 송명이학의 그림자나 메아리와 같은 구태의연한 이야기를 익히기만 하면 곧 부귀를 누리고 명예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그리하여 온 나라가 바람에 쏠리듯 그와 같이 변하여 서로 다투어 공부하지 아니하는 데로 나아갔으며 생각하는 것조차도 없게 되었다.
- 청학의 분열
- 청학파(淸學派)의 개조, 고염무(顧炎武, 1613~1682)
○ 고염무가 제창한 연구방법
1. 독창적인 것을 귀하게 여기는 것
2. 널리 증거를 찾는 것
3. 실용적인 것에 치중하는 것
- 청말 금문학과 고문학의 논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