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형 주역
○ 고형(1900~1986)은 현대 고문자 학자이자 고대 문화사가임. 청화(淸華)대학 연구원을 졸업하고, 무한대학, 산동대학 등 여러 대학의 교수를 역임했음. 경학, 사학과 금석, 갑골문자에 조예가 깊었으며, 『시경』, 『상서』, 『주역』을 중점적으로 연구했음
○ 고형은 『주역』의 괘명, 괘사, 효사 및 점법을 고증하면서 팔괘는 원시 사회 시기에 출현한 것이며, 64괘는 늦어도 은대에 출현한 것이라고 여겼음. 서주 초기에 그 이전 시대부터 내려온 점법 혹은 점책을 바탕으로 쓴 책이 『주역』이며, 동주에 이르러 이 『주역』을 해설하여 인간사의 길흉을 점치는 것으로 우주 만물의 변화를 상징한 것이 『역전』이라고 보았음. 역학 저서에는 『주역고경통설周易古經通說』, 『주역고경금주』(1940), 『주역잡론周易雜論』(1962), 『주역대전금주』(1970)가 있음
주역 형성에 관한 최근 견해들
“나의 『고사변』 작업은 봉건주의를 철저히 파괴하는 것이다. 나는 고서(古書)가 단지 고서일 뿐 현대의 지식이 되지 않게 하고, 고대사가 단지 고대사일 뿐 현대의 정치와 윤리가 되지 않게 하고, 고인(古人)이 단지 고인일 뿐 현대 사상의 권위가 되지 않게 하려고 한다. 바꿔 말하면, 나는 종교적 성향을 가진 봉건 경전인 ‘경(經)’을 잘 챙겨 봉건 박물관으로 보내어 그 존엄성을 벗기고 그런 뒤 옛 사상이 다시는 새로운 시대 안에서 연속될 수 없도록 하려고 한다.”
-고힐강 저, 김병준 역, 『고사변 자서』, 소명출판, 2012
- 고힐강의 『고사변』의 의미
○ 고힐강이 내세운 논문의 모든 결론이 옳다고 할 수는 없으며, 스스로 고대사 논의 과정에서 자신의 잘못된 인식에 대해 수정하기도 했지만, 그의 시각은 기존 고대사, 유교경전 해석에 전환점을 마련해 주었음
○ 그의 소신은 중국 사학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 고서(古書)와 고인(古人)의 권위에 눌려 이를 무조건 승인하고 그것에 기초해서 고대사를 해석하지 않게 되었으며, 유교 경전도 역사학적 사료 비판을 거쳐야 할 대상이라고 인식하게 됨
- 주역의 작자와 성립연대와 관한 논의들
☞ 療名春 등 지음, 심경호 옮김, 『주역철학사』, 예문서원, 2009, 710~713쪽
○ 『주역』 경문(『역경』)의 작자에 대해 고힐강, 여영량(余永梁) 등은 복희, 문왕이 지은 것이 아니라 주나라 초기 작품이라고 보았음
○ 이경지(李鏡池) 등은 『주역』이 서주 말기에 시경과 대략 같은 시기에 편성되었고 작자는 한 사람이 아니라고 했음
○ 『역전』에 대해서는 전목(錢穆), 고힐강, 풍우란(馮友蘭) 등은 공자 작자설을 부정했음
○ 『역경』의 형성 연대에 관해 풍우란은 장기간에 걸쳐 온축되었으며 은말 주초에 원형이 이루어졌으나 문왕, 주공에 의해 만든 것은 아니며 『역전』도 공자 한 사람이 일시에 만든 것이 아니라 전국 말에서 진한에 이르는 시기 유가의 작품이라고 보았음
○ 고형(高亨, 1900~1986)은 십익이 모두 전국시대에 쓰여졌으며, 「단전」과 「상전」은 조금 빨라 춘추 말기에 쓰여졌을 것이라고 보았음
※ 참고: 중국 고대 역사
- 고대인들의 생활상이 담긴 문헌으로서 주역에 대한 이해: 곽말약(郭沫若, 1892~1978)
☞ 郭沫若著作編輯出版委員會 편, 『郭沫若全集: 歷史編 第一卷』(人民出版社, 1982), 37-67쪽
○ 『역경』 괘·효사는 매우 추상적이거나 혹은 매우 단순한 관념적인 문제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현실 사회의 생활과 관련한 구절들임. 이러한 생활 양상들은 당시에 현존하고 있었던 것임
○ 이러한 생각 하에 곽말약은 『역경』에 담긴 고대인들의 생활상을 어렵(漁獵)·목축·교통·경작·기물 등의 생활의 토대, 가족관계·정치조직과 제사·전쟁·상벌과 같은 사회 구조로서의 행정 사항·계급, 종교·예술·사상 등의 정신적 산물로 분석하여 논의했음
고형의 해석으로 보는 건괘(乾卦)
건괘 괘사
乾(건)은 元亨利貞(원형이정)하니라.
- 경(經)의 해석: 건은 괘명이다. 원(元)은 큼이다. 형(亨)은 향(享)자로 제사지냄이다. 이(利)는 이익의 이(利)이다. 정(貞)은 점[占問]이다. 괘사의 뜻은 다음과 같다. "점을 쳐서 이 괘를 만나면 크게 제향하는[大享] 제사를 거행할 수 있으면 이로움이 있다는[유리하다는] 점이다.
- 전(傳)의 해석: 전(傳)의 독법은 다음과 같다. "건은 원, 형, 이, 정하니라." 건은 괘명이고 하늘이다. 원은 선함이다. 형은 아름다움이다. 이(利)는 사물을 이롭게 함이다. 정은 바름이다. 하늘에 선함, 아름다움, 사물을 이롭게 함, 바른 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건은 원, 형, 이, 정하니라."라고 한 것이다. 「문언전」에서 군자 또한 이러한 덕을 가졌다고 말했다.
☞ 실제 「문언전」에서는 "元은 善의 으뜸이요, 亨은 아름다움의 모임이요, 利는 義의 화합함이요, 貞은 일의 根幹이다. 君子가 仁을 체행하는 것이 충분히 사람의 우두머리가 될 수 있으며, 모임을 아름답게 하는 것이 禮에 합할 수 있으며, 물건을 이롭게 하는 것이 義에 화합할 수 있으며, 貞固함이 일의 根幹이 될 수 있으니, 君子는 이 네 가지 德을 행하는 자이다.(「元」者,善之長也;「亨」者,嘉之會也;「利」者,義之和也;「貞」者,事之幹也。君子體仁足以長人,嘉會足以合禮,利物足以和義,貞固足以幹事。君子行此四德者,故曰「乾、元、亨、利、貞」。)"라고 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