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 단군신화

An_SW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삼국유사>> <기이>

한국사데이터베이스_삼국유사 번역문을 볼 수 있는 사이트


○ 일연 지음, 김원중 옮김, <<삼국유사>>, 을유문화사, 2005, 33쪽

 '기이'란 기이한 것을 기록한다는 뜻이다. ... 
 특히 맨 첫머리에서도 드러나듯 일연의 <<삼국유사>> 찬술 의도와 서술 태도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서 우리 개국 시조 단군의 존재를 처음으로 내세우면서 신이(神異)로움의 정당성과 비합리주의를 정면으로 다루고 있으며 민족 자주적 시각을 나타내고 있다.
 ☞질문: 왜 건국신화들은 신이(神異: 신기하고 이상함)한 이야기들로 이루어져 있을까?

참고: 한국 성씨 시조 신화. 내 성씨의 시조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 건국신화의 신이함에 대해

- 오세정, <한국 신화의 원형적 상상력의 구조: 신이(神異)에 대한 상상력의 범주와 신화의 사유체계>, <<한민족어문학>> 제49집, 240~261쪽

○ 신화 텍스트에서 드러나는 특성은 인간적 세계와 구별되는 차이, 특히 인간적 한계와 범주를 넘어서는 초월성에 있음. '다름[이(異)]'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신이', 부정적 인식을 괴이로 본다면 신화는 신이의 텍스트임
○ 신성존재에 대한 상상력: 신성한 존재에 대한 인식이나 관념은 현실 세계인 물질세계를 지배하는 초월적이고 우월한 본질에 대한 믿음에서 기인함. 한국 신화에서 이 신성한 존재는 천상에서 명령하고 군림하기 보다는 인간 세계로 스스로 강림해서 인간들의 왕이 되어 천상의 질서를 지상으로 이식시킴
○ 세계 법칙에 대한 상상력: 신화에서는 존재자들과 세계에 대한 질서와 법칙이 드러남. 인간은 자신이 존재하고 생활하는 세계와 공동체에 특별한 논리를 부여하고 그것을 확보하려고 노력함. 건국신화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천손강림(天孫降臨: 하늘의 자손이 땅으로 강림함)' 모티프도 강력한 존재에 의한, 천상의 질서 이입을 통해 통일된 세계법칙을 수립하고자 하는 욕망의 산물임
○ 특히 한국 신화에서 발견할 수 있는 기본 사유체계는 신성의 인간화, 인성의 신격화의 과정에 관한 것임. 신과 인간의 교섭과 소통이 신화에 나타나며, 신화 전승집단은 이것을 통해 자신이 속한 인간세계의 법칙을 인지하고 반성함. 또한 인간 세계의 주된 추구 가치는 가족의 복원, 통치질서의 수립임


<<삼국유사>> <기이> 고조선(古朝鮮) 왕검조선(王儉朝鮮): 단군왕검이 아사달에 도읍하다

번역문 출처: 한국사데이터베이스(국사편찬위원회)

 ≪위서(魏書)≫에 이르기를, “지금으로부터 2천여 년 전에 단군왕검(壇君王儉)이 있어 아사달(阿斯達)에 도읍을 정하였다, 나라를 개창하여 조선(朝鮮)이라 했으니 고[高-요임금-]와 같은 시대이다."
  • 고고학적 발굴과 아사달

Asa.jpg

출처: <<동아일보>> 2007.5.26일자, 신용하 교수 제공 사진
○ 대문구문화에서 발굴된 토기는 고조선 전기 청천강 이남부터 한강 이북 지역에 크게 성행 사용되어 지금도 발굴되고 있는 고조선 전기문명의 특유의 토기형식인 팽이형 토기와 같은 모양임
○ 대문구문화에서 발굴된 팽이형 토기 윗부분에 새겨진 그림을 신용하는 아사달 문양이라고 보았음
아사달 설명
○ 신용하는 고조선이 한반도에서 건국된 후 북으로는 요동, 요서 방면으로, 서로는 발해와 서해를 건너 산동, 하북, 하남 방면으로, 넘으로는 한강을 건너 한반도 남해안으로 확산되어 고조선문명권을 형성 발전시켜 간 것이라고 보기도 했음
-출처: 신용하, 「고조선 ' 아사달 ' 문양이 새겨진 산동 대문구문화 유물」, 『한국학보』 27권 1호, 일지사, 2001, 2~23쪽


<<삼국유사>> <기이> 고조선(古朝鮮) 왕검조선(王儉朝鮮): 환웅이 천하에 자주 뜻을 두어 인간세상을 구하고자 하다

번역문 출처: 한국사데이터베이스(국사편찬위원회) (부분 수정)

 (가) ≪고기(古記)≫에 이르기를, “옛날에 환인(桓因)의 서자(庶子)인 환웅(桓雄)이 천하(天下)에 자주 뜻을 두어, 인간세상을 구하고자 하였다.
 아버지가 아들의 뜻을 알고 삼위태백(三危太伯)을 내려다보니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할 만한지라, 이에 천부인(天符印) 세 개를 주며 가서 다스리게 하였다. 
 웅(雄)이 무리 삼천을 거느리고 태백산(太伯山) 정상 신단수(神壇樹;神檀樹) 밑에 내려와 신시(神市)라 하고 이에 환웅천왕(桓雄天王)이라 하였다. 
 풍백(風伯)·우사(雨師)·운사(雲師)를 거느리고 곡(穀)·명(命)·병(病)·형(刑)·선악(善惡) 등 무릇 인간의 삼백육십여 가지의 일을 주관했으니 세상을 이치로 다스렸다. 


 (나) 이때에 곰 한 마리와 호랑이 한 마리가 있어 같은 굴에 살면서  항상 신(神) 환웅(雄)에게 기도하되 화(化)하여 사람이 되기를 원했다. 
 이에 신 환웅은 신령스러운 쑥 한 타래와 마늘 스무 개를 주면서 말하기를 ‘너희들이 이것을 먹고 백일(百日) 동안 햇빛을 보지 않으면 곧 사람의 모습이 될 것이니라.’라고 하였다. 
 곰과 호랑이는 그것을 받아서 먹어, 기(忌)한지 삼칠일(三七日)만에 곰은 여자의 몸이 되었으나, 범은 금기하지 못해서 사람의 몸이 되지 못하였다. 


 (다) 웅녀(熊女)는 혼인할 사람이 없었으므로 매양 단수(壇樹;檀樹) 아래서 잉태하기를 빌었다. 
 [환]웅이 이에 잠시 [사람으로] 변하여 그녀와 혼인하였다. 
 [웅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으니단군왕검(壇君王儉;檀君王儉)이라 하였다. 
 당(唐)의 고(高)임금이 즉위한 지 50년인 경인(庚寅)에 도읍하고 비로소 조선이라 하였다. 또 도읍을 백악산아사달에 옮겼는데, 궁(弓) 혹은 방(方)이라고 한다.홀산(忽山)이라고도 하며 또는 금미달(今彌達)이라고도 한다. 그 후 1,500년 동안 나라를 다스렸다. 주(周)의 호왕(虎王-武王-)이 즉위한 기묘(己卯)에 기자(箕子)를 조선에 봉하니 단군은 곧 장당경(藏唐京)으로 옮겼다가 뒤에 아사달에 돌아와 숨어 산신(山神)이 되었으니 수(壽)가 1,908세다.”라고 하였다.


  • 단군신화의 구성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13, 30쪽)

○ 단군신화는 크게 (가), (나), (다)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음
○ (가): 하늘, 신에 관한 이야기
○ (나): 땅, 물(物)에 관한 이야기
○ (다): 인간의 탄생에 관한 이야기
☞ 단군신화는 신에 관한 이야기의 형태로 존재하지만 그것에 담겨 있는 내용은 실제로는 인간의 이야기임
☞ 단군신화를 전하는 최초의 문헌인 <<삼국유사>>가 비록 단군으로부터 수천 수백여 년 후인 고려시대의 저작이기는 하지만 단군신화가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의 건국신화임에는 틀림없음. 신화는 그 시작부터 문자로 구성되지는 않았을 것임. 오랜 세월에 걸쳐 셀 수 없이 많은 인물들을 통해 구전되었을 것임

단군신화 내용 들여다보기

 (가) ≪고기(古記)≫에 이르기를, “옛날에 ① 환인(桓因)의 ② 서자(庶子)인 환웅(桓雄)이 천하(天下)에 자주 뜻을 두어, ③ 인간세상을 구하고자 하였다.아버지가 아들의 뜻을 알고 삼위태백(三危太伯)을 내려다보니 ⑤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할 만한지라, 이에 ⑥ 천부인(天符印) 세 개를 주며 가서 다스리게 하였다. 
 웅(雄)이 무리 삼천을 거느리고 태백산(太伯山) 정상 신단수(神壇樹;神檀樹) 밑에 내려와 ⑦ 신시(神市)라 하고 이에 환웅천왕(桓雄天王)이라 하였다. 
 ⑧ 풍백(風伯)·우사(雨師)·운사(雲師)를 거느리고 곡(穀)·명(命)·병(病)·형(刑)·선악(善惡) 등 무릇 인간의 삼백육십여 가지의 일을 주관했으니 ⑨ 세상을 이치로 다스렸다[재세이화(在世理化)].


(가: 하늘) 내용 들여다 보기

☞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13

 환인
○ 환인을 <<삼국유사>>에서는 제석(帝釋)이라고 설명했음 ○ 제석은 불교에서 천제(天帝) 즉 하느님을 말함 ○ <<삼국유사>>의 저자인 일연이 스님이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불교 용어로 풀이한 것이 이해가 됨 ○ 단군신화에는 고대로부터 한국에 하늘에 대한 일정한 관념이 있었다는 점을 말해줌 ○ 우리 민족의 시조를 단군에 두고 있고 단군은 그 기원을 하늘에 두고 있음. 하늘은 도덕적 신성을 보증하는 것이며 독자적인 신앙체계로서 하늘을 공경하는 경천(敬天) 사상이 있었음을 알 수 있음


여기 어디인지 아시나요?

Sot.jpg

-출처: 오마이뉴스 2018.2.28일자 임영근 기자


강원도에서는 솟대를 뭐라고 할까요?

☞ 솟대의 새는 하늘과 땅을 넘나들며 이를 이어주는 존재였음. 솟대의 새는 천상계 신들과 솟대가 세워진 마을의 주민들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했음


 ② 서자
○ 서자 환웅을 적자(嫡子: 정실이 낳은 자녀)가 아닌 서얼의 자손으로 해석하기도 하고, 여러 아들이라고 해석하기도 함 ○ '서자(庶子)'의 '서(庶)'자는 '많다', '여럿이다', '풍성하다'라는 뜻이 먼저 있음 ○ 따라서 서자 환웅은 환인의 여러 아들 가운데 한 명이라고 해석해 볼 수 있음 ○ 이는 단군신화 속에서 가족주의적 성격이 있다는 지적에서 볼 수 있음


 ③ 인간세상을 구하고자 하였다
○ 여기에서는 하늘이 인간으로 향하는 측면을 보여줌 ○ 그리고 하늘이 만물을 만들었다는 창세적 관점을 갖고 있기보다는 이미 만물과 인간이 존재하고 있었다고 가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여기에서 단군신화가 자연세상의 발생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며 그 구도는 인간에게 맞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음. 하늘은 인간세상의 저 건너편에 도도하게 자리잡은 두려운 존재가 아니라 인간 생활과 친근하면서도 긴밀한 관계를 가짐


 ④ 아버지가 아들의 뜻을 알고
○ 여기서는 자상한 아버지상을 살펴볼 수 있음 ○ 일반적으로는 아들이 아버지에게 자신의 의지를 어렵게 말씀드리는 식으로 진행되지만 단군신화에서는 아버지가 아들의 뜻을 먼저 알아 그 소명을 실현할 수 있도록 터전까지 살펴줌. 현대적으로 말한다면 하나의 세계를 꾸밀 수 있도록 분가시켜 주는 것과 같음 ○ 김형효는 이에 대해 서양신화가 갈등과 긴박함으로 짜여 있음에 비해 단군신화는 화해와 협력에 바탕하고 있는 것이라고 보았음 (김형효, <<한국사상산고>>, 일지사, 1979, 34~48쪽)


 ⑤ 널리 인간을 이롭게
○ 홍익인간 ○ 선민(選民)의식을 많은 문화권, 민족이 지니고 있음. 선민의식이란 특정 민족이 신이나 신적 존재에 의해 선택되고 구원된다는 의식임. 하지만 자칫 종교근본주의 형태로 인종에서는 특정인종의 우월주의로, 국가에서는 맹목적인 애국주의로, 특정 집단이나 계층에서는 엘리트주의로 나타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음 ○ 단군신화에서도 선민사상이 나타나지만 여기에는 홍익(弘益)인간 정신이 가미되어 배타적이고 정복적인 선민사상과는 구별되는 의식을 보여줌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즉 하늘에 선택받은, 하늘로부터 나온 민족이라는 사유와 함께 그것이 더 많은 사람들을 널리 이롭게 하는 사명감과 함께 해야 하는 것임을 말해주고 있음


 ⑥ 천부인(天符印) 세 개

왜 암행어사가 출두할 때 마패를 들고 갔을까?

마패

-마패 이미지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마패에 그려진 말 숫자의 의미를 더 알고 싶으면 클릭!

인간세상에서도 왕이 사람을 파견할 때 마패를 들려보냈는데 하느님 환인이 인간 땅에 자신의 아들 환웅을 내려보낼때는?

 ○ 천부인(天符印)에서 '부인(符印)'이란 본래 조정과 관리가 나누어서 신표로 삼는 물건을 말함. 여기서는 천상의 것이라는 점에서 '천부인'이라고 하여 신의 위력과 영험한 힘의 표상이 되는 물건을 가리킴 (일연 지음, 김원중 옮김, <<삼국유사>>, 을유문화사, 2005, 36쪽)
 ○ 이 천부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삼국유사 속 단군신화에는 자세히 기록되어 있지 않음. 따라서 여기에 대한 다양한 학설이 존재함 (왕희자, <단군 신화의 천부인 삼개와 일본 아마테라스(천조) 신화의 삼종의 신기 연구>, <<비교한국학>>, 국제비교한국학회, 1999, 164~166쪽)
 - 최남선은 고대 동북아시아 문화에 의거하여 거울, 칼이 두 가지에 해당되고 나머지 하나는 구슬, 북, 모자[관(冠)] 중에 하나일 것이라고 보았음
 - 이은봉은 삼국유사에 풍백, 우사, 운사가 나오는 만큼 천부인은 환웅이 거느리고 온 이 세 신을 말한다고 보았음
 - 현용준은 신정(神政)시대(종교와 정치가 하나로 일치되던 시대)에 제사를 지낼 수 있는 능력과 정치적 통치의 권능을 상징하는 신기(神器)로 보고 칼, 검, 방울이라고 보았음. 이 천부인은 천신(天神)의 권능을 부여받은 증표이며 지상에서 천상계의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도구로 보았음. 환웅이 천부인을 가지고 하강함으로써 지상에 홍익인간의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보장을 받은 것이라고 보았음

청동검, 청동거울, 청동방울

☞ 이미지 출처: 위키피디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和順 大谷里 靑銅器 一括), 대한민국 국보 제143호


 신시(神市)
 ○ 신시는 우리 민족이 그리는 성역임
 ○ 그런데 이 성역은 육체나 물질성이 제거된 고상한 이념의 세계가 아니라 신과 인간, 그리고 물질이 어우러져 있는 세상임
 ○ 신시는 인간세상을 다스리는 곳이기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우리 민족의 이상향이기도 함
  • 소도의 흔적을 찾아서

Sodo.jpg

☞ 이미지 출처: 동아일보 2015.10.15일자, 전기 청동시대 제의용 환호' 평택-구리에


 ⑧ 풍백(風伯)·우사(雨師)·운사(雲師)를 거느리고 곡(穀)·명(命)·병(病)·형(刑)·선악(善惡) 등 무릇 인간의 삼백육십여 가지의 일을 주관
 ○ 여기에 나오는 명칭들은 관직명이라고 해도 무방하고 혹은 신시의 조직체계로 이해할 수도 있음
 ○ 이들은 인간의 모습이 아니라 신의 모습임
 ○ 그리고 각기 신들은 동등한 위치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일신적 요소와 다신적 요소가 함께 보임
 ○ 환인 혹은 환웅은 지상신(至上神)이며, 풍백, 우사, 운사는 그 지배를 받는 기능신으로서 농경사회와 큰 관계가 있음
 ○ 곡식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는 유목생활보다는 농경생활을 주로 했음을 알 수 있음
 ○ 고대인들이 생활의 중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심했던 모습들이 신으로 나타난 것임
 ○ 고대의 삶은 신에 의지한 생활이라고 할 수 있음. 그리고 그 소망과 요청으로 형성된 신은 그 사회의 공동의식을 형성하며 구심적 작용을 하여 그 사회 발전의 추진력이 됨
 ○ 여기에서 발견되는 신의 모습, 그리고 신에 대한 공경, 신을 향한 제의는 물리적으로 직접 주어지는 공포에 대한 단순한 경배에서 벗어나 인간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 신, 인간과 친근하고 인간을 도와주는 존재로서의 하늘에 대한 것임


 ⑨ 세상을 이치로 다스렸다[재세이화(在世理化)]
 ○ 신시의 이상이 만물에 실현되는 원리를 볼 수 있음
 ○ 신시의 통치는 사회계약에 기초한 법치가 아니며 물리적 폭압이나 강제로 다스리는 패권주의는 더더욱 아님
 ○ 이치로서 다스린다고 하는 것은 통치자의 교화에 전적으로 기대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사회 구성원의 공통된 자질도 필요한 것임
 ○ 그런 면에서 볼 때 이 땅은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할 만한' 땅이었음


(나: 땅) 내용 들여다 보기

☞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13

 (나) 이때에 ① 곰 한 마리와 호랑이 한 마리가 있어 같은 굴에 살면서  항상 신(神) 환웅(雄)에게 기도하되 화(化)하여 사람이 되기를 원했다. 
 이에 신 환웅은 신령스러운 쑥 한 타래와 마늘 스무 개를 주면서 말하기를 ‘너희들이 이것을 먹고 백일(百日) 동안 햇빛을 보지 않으면 곧 사람의 모습이 될 것이니라.’라고 하였다. 
 곰과 호랑이는 그것을 받아서 먹어, 기(忌)한지 삼칠일(三七日)만에 곰은 여자의 몸이 되었으나, 범은 금기하지 못해서 사람의 몸이 되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