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유학: 공정

An_SW
Esang21c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5월 1일 (수) 07:36 판 (새 문서: ☞ <span style="color:#ff0000;">'''우리가 사회가 공정하다고 생각하나요? 왜 공정이 중요한가요?'''</span> ☞ <span style="color:#ff0000;">'''그런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우리가 사회가 공정하다고 생각하나요? 왜 공정이 중요한가요?
그런데 재미있게도 공정과 함께 쓰이곤 하는 단어는 '합리적', '효율적'. '공정하고 합리적인', '공정하고 효율적인'... 왜일까?

=> 언뜻 생각하면 공정은 모든 사람들에게 일정하고 공평하게 나누거나 적용하는 것 같고 합리, 효율이라고 하면 다양한 사항과 변수를 고려하는 것처럼 여겨짐
=> 생각해보면 각자가 기여한 것, 노력한 것, 성취한 것을 고려하지 않고, 또 상황적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적용되는 원칙은 오히려 사람들을 분노하게 할 수 있을 것 같다. 인간이기에 자연스럽게 갖게 되는 서로 다른 자질, 특징, 상황성 등을 고려하지 않은 공정은 오히려 사람을 힘들게 할 것 같기도 하다.
=> 하지만 너무 효율, 합리만 강조하다 보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기 쉽다. 성과를 얻기 쉬운 것, 사람들의 호응이 더 많은 것 위주로. 우리가 다루고 있는 인구문제, 지역문제에서 많이 언급되었던 단어 중 하나인 '양극화'를 생각해 보면 양극화도 어느 한 쪽으로 쏠리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어떻게 하면 공정과 합리/효율을 아우를 수 있을까?


공(公), 자연성

공적, 공심(公心)이라고 하면 뭔가 자기를 초탈하고, 자기를 이겨낸 것.. 이런 느낌 들지 않나요? 인간적이지 않은 뭐 이런 거? 개인이 배제된 거?

국어사전 속 공과 사


  • 중국 고대의 공과 사 개념

○ 공과 사의 어원, 글자의 기원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공은 신분 칭호의 하나이며 군주를 비롯한 통치자 그 자신 혹은 통치자와 관련된 사물을 의미했던 것으로 보임
○ 사는 곡물에 국한되지 않고 사람들 자신의 것(사유 또는 사용), 신변의 것, 혈연관계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이 비교적 오래된 이 두 글자의 보통 용법임
○ 『시경(詩經)』「대전(大田)」 에 “우리 공전에 비를 내려 마침내 우리 사(私)에게까지 미친다[雨我公田, 遂及我私].”라는 말을 들어 『중국사상문화사전』에서는 공과 사는 예부터 대비되어 쓰였고 공이 사보다 중시되고 있지만 아직 공공, 공평, 공정의 의미는 없었다고 보았음. 군주, 통치자의 관점에서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