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유학: 회복

An_SW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지금까지 겪었던 힘든 일 중에 어떤 경험이 가장 힘들었나요?
여러분은 위기 앞에서 얼마나 회복이 빠르신가요? 그런데 회복한다는 게 뭘까요? 돌아온다는 게 뭘까요? 어디로 돌아온다는 걸까요?


인구문제와 관련하여 논의되는 회복탄력성(resilience)[편집 | 원본 편집]

☞ 석재은, 「행복한 사회의 조건: 인구가족의 위기와 사회적 회복탄력성에 관한 국가간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7

  • 회복탄력성(resilience): 생태적 체계의 지속과 변화와 혼란을 처리하고 인구와 상태 변수들 간에 여전히 동일한 관계를 유지하는 능력. 지속능력(persistability), 적응능력(adaptability), 변용능력(transformability)
  • 사회적 회복탄력성(social resilience): 3가지 차원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

1. 사회행위자들이 당면한 위협을 직접적으로 활용가능한 자원을 사용하여 극복하는 방법. 사후반응적이고 모든 역경들을 즉각적으로 다루고 극복하는 역량. 문제처리 역량(coping capacities)
2.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배울 수 있고 미래의 새로운 도전의 압박에 대해 스스로 적응할 수 있는 역량. 적응 역량(adaptive capacities)
3. 현재와 미래 위기 사건에서 개인의 복지와 지속가능한 사회적 강건성을 조성해나가는 제도들을 만들어나가는 역량. 변용 역량(transformative capacities)

그렇다면 유학에서는?


위기에 대한 긍정[편집 | 원본 편집]

 군자는 편안하여도 위기를 잊지 않으며 잘 지키면서도 망할 수 있다는 것을 잊지 않으며 다스려져도 혼란함이 올 수 있다는 것을 잊지 않는다. 그래서 몸이 편안하게 나라와 가정을 잘 지켜갈 수 있다.
 君子安而不忘危, 存而不忘亡, 治而不忘亂, 是以身安而國家可保也. -『주역』「계사전(繫辭傳)」

=> 우리 삶은, 우리 사회는 늘 위기가 닥쳐올 수 있음. 이 사실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혹여 놓치고 있는 것은 없는지 점검하고 안일해지지 않는 삶. 그렇다고 불안하게 살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오늘날의 위기가 내 삶을 더욱 온전하게 지켜가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긍정적 인식의 전환

  • 물극필반(物極必反): 어떤 것이든 극에 달하면 반드시 돌아옴

=> 이러한 물극필반의 인식은 과거로 회귀한다는 뜻이 아니라 우리 삶이 희노애락을 오르내리듯이 인생의 위기, 사회의 위기도 극에 달하면 다시 회복될 수 있는 반전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의미. 보다 나은 돌아옴을 위해 내가 정신 차리고 주체적으로 무엇을 해야할지를 먼저 생각해 보라는 의미로 풀이할 수도 있음

문제의 진짜 문제를 찾는 것은 위기를 초래하는 근본적인 요인에 가장 가까이 다가가 그 뿌리를 뽑으려는 것. 그래서 단기적인 회복이 아니라 근원적인 회복, 근원적인 전환을 꾀하려고 하는 것이 아닐까?


궁극적으로는 '나'의 회복[편집 | 원본 편집]

송나라 때 성리학자들의 주요 문제의식 중 하나, 인간 본성의 회복. 여전히 이러한 회복에 관한 이야기가 의미를 가질 수 있을까?
  • 세상의 중심은 나. 하늘과 땅 사이에서 중심을 잡는 인간, 그 인간에 대한 성찰은 '나'에 대한 성찰에서 시작됨. 나 한 사람 마음 먹기에 따라 세상이 달라진다?!
  • 결국 이 캡스톤 수업도 여러분들이 문제해결의 '주체'임. 기본적으로 유학에서는 인간으로서 '나'라는 존재가 자신의 삶을 잘 지켜나가는 것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제들을 회복하고 인간 외의 존재들을 보호하는 존재라고 보았음
  •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나' 자신이 바로서야 함. 그런데 이미 내 안에 충분한 가능성이 다 들어 있음. 그 충분한 가능성을 지닌 '나'다움[성(性)]을 회복할 수 있으면 바로 설 수 있음
  • 이를 위해서는 외적 요인에 자기 마음이 끄달려 다니지 않고 자기 마음을 지켜갈 수 있어야 함
  • 유교경전인 『예기』에 나타난 인간 본성에 깃든 천리(天理)가 없어지는 이유
 “사람이 태어나 고요한 상태가 하늘이 부여한 본성이다. 외부 대상의 자극을 받고서 움직이는 상태가 본성의 욕구(欲)이다. 외부 대상이 이르게 되면 지각이 지각 활동을 하게 되니, 그렇게 된 후에 좋아함과 싫어함이 드러나게 된다. 좋아함과 싫어함이 내면에서 절제하지 못하고 지각이 외부에 의해 끌려가 자신에게로 돌아오지 못하면 천리(天理)는 없어지게 된다.”
人生而靜, 天之性也. 感於物而動, 性之欲也. 物至知知, 然後好惡形 焉. 好惡無節於內, 知誘於外, 不能反躬, 天理滅矣.
-『예기』 「악기」

=> 나 자신에 대한 긍정, 그러면서 외적인 요인, 일시적인 감정에 끄달려 다니지 않도록 자신을 컨트롤 할 수 있어야 함

  • 맹자가 말한 동요하지 않는 마음, 부동심(不動心)
 어느날 맹자의 제자인 공손추가 맹자에게 물었다.
 "만일 선생님께서 강대국인 제나라의 높은 자리에 오르셔서 뜻을 펼칠 수 있게 되신다면 마음이 동요되시겠습니까?"
 맹자가 말했다. "아니다. 나는 40세에 (이미) 마음을 동요하지 않았다[부동심(不動心)]."
 ...
 제자인 공손추가 맹자에게 물었다. "부동심하는 방법이 있습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있다."
 맹자가 말했다. 
 ...
 "의지는 기(氣)의 장수이고 기는 몸에 꽉 차 있는 것이니 의지가 최고이고 기가 그 다음이다. 그래서 그 의지를 잘 잡고서 또 그 기를 포악하게 하지 말아야 한다고 하는 것이다."
-<<맹자>> <공손추 상>


=> 의지가 한결 같으면 기를 움직일 수 있지만 오히려 기가 한결같으면 의지를 움직이게 함. 예컨대 갑자가 넘어지거나, 달리는 사람은 기에 의해 마음을 동요하게 됨
=> 그래서 호연지기(浩然之氣)를 언급함. 맹자의 부동심의 장점에 대해 묻는 공손추에게 맹자는 호연지기를 잘 기른다고 답함. 이 호연지기란 의리를 많이 축적해서 생겨나는 것으로 의리에서 나오는 것임. 기가 도의(道義: 사람이 마땅히 지키고 행해야 할 도덕적 의리)에 배합되어 도의를 행하기를 용맹하고 결단성 있게 할 수 있음

=> 나 자신의 회복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나의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긍정, 외적인 데 끄달려 가지 않음, 외적 요인에 의해 촉발되는 일시적인 감정에 대한 컨트롤, 선의를 잘 쌓아나가는 것 등

유학은 수신(修身)에 관한 다양한 철학과 방법론을 담고 있는 만큼 다양하게 더 찾아볼 수 있겠죠?
그렇다면 이러한 유학의 회복에 관한 이야기는 어떻게 사회문제에 적용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