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학의 현안들

An_SW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우리는 왜, 어떻게 한국철학을 할 것인가?[편집 | 원본 편집]

한국철학의 여러 현안들[편집 | 원본 편집]

= 용어, 번역의 문제들[편집 | 원본 편집]

BBS 뉴스-신규탁 교수와의 인터뷰

  • 철학 교육, 연구 풍토의 문제

○ 철학의 과거, 철학의 역사에 대해서 연구하고 가르치는 경우가 않음. 철학사를 가르치는 것임
○ 지금 이 시대에 문제되고 있는 철학적인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지금의 문제를 가르치고 연구하고 학습하기보다는 과거의 연구임


  • 오늘날의 용어, 서로 통용될 수 있는 일상 용어로 설명하는 문제

○ 예를 들어 '해탈'이라고 하면 어려운데 '우리를 속박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기'라고 할 경우 우리를 속박하는 것이 무엇이 있느냐 하는 이야기를 해가다 보면 우리를 속박하는 것을 생각해 보게 됨
○ 불교, 유교 등은 종교적인 권위에 기대어서 운영되었는데 이러한 것들이 현대사회가 되면서 합리적 이성과 검증, 경험, 그것도 누구나 할 수 있는 경험, 보편적 경험과 환원 가능한 경험, 나의 경험을 타인의 경험으로 환원시킬 수 있는 요소가 있는지 검토해야 하며 이러한 검토 과정을 거쳐야 여전히 유효한 가르침인지 생각해 볼 수 있음
○ 지금 K-문화가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는 것도 예전의 표현 방식이나 예전의 권위를 벗어나서 자율적으로 창조했기 때문에 여러 사람들의 공감을 받는 것임. 한국철학에도 이러한 창조성이 필요함


현대 한국어로 철학하기

 서양 철학 학문 공동체 ‘전기가오리’ 운영자인 신우승의 첫 저서. ‘의식의 경험의 학’ ‘직관의 잡다’? 철학 전공자들에게는 익숙한 용어겠지만 일반인은 도통 이해하기 힘든 철학 번역어다. 저자는 이 번역어들이 현대 한국어의 현실을 반영하지 않을뿐더러 철학의 추상성을 모호함으로 오해하게 하는 결과를 낳는다고 말한다. 어색하지 않은 한국어 문장으로 철학 개념을 번역하고, 일상 언어로 철학 개념을 다루는 시도가 그래서 더 필요한지 모른다. 이 책은 철학 개념의 한국어 번역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다. 
 저자는 총 14장에 걸쳐 metaphysics, epistemology, utilitarianism, aesthetics 등의 철학 개념을 검토하고 설명하면서 형이상학, 인식론, 공리주의, 미학 같은 번역어가 왜 문제인지 밝히고 대체 번역어를 제안한다. 공동 저자인 김은정과 이승택은 저자의 번역어 제안을 검토한 후 동의 또는 반박하며, 저자는 이들의 반박에 응답하면서 최종 입장을 내놓는다. 이 과정에서 독자는 각 개념어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고, 대체 번역어를 둘러싼 논의에 간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마치는 글에서 저자는 현대 한국어로 철학하는 일과 관련한 몇 가지 일반론적 제안을 한다. ‘한국어로 철학하자’고 하면 한자어와 외래어 없이 고유어만을 쓰자는 제안과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지만, 저자는 한자어와 외래어가 한국어의 일부임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성(成) 같은 한자가 아닌 ‘되다’ ‘됨’ 같은 고유어나 ‘명석판명’이 아닌 ‘명료함과 또렷함’ 같은 일상어도 철학 개념으로 성립할 수 있어야 한다고도 말한다.


철학 교육과 관련한 고민들[편집 | 원본 편집]

한국철학계, '철학교육 위기' 한목소리

  • 고교 과목 중 한국철학 과목의 필요성(성균관대 정연수)

○ ‘통합사회’ 과목에 한국철학의 내용을 포함시키는 방안을 제시
○ ‘윤리와 사상’ 교과서가 원효와 지눌, 의천, 퇴계, 율곡, 다산 등 인물 중심의 철학을 단편적으로 기술하고 있다며, 고대에서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철학사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음. ‘고전과 윤리’ 교과서도 단편적인 고전을 소개하다보니 한국철학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보았음
○ 그간 학계의 한국철학사 저술도 몇몇 인물별로 나열하거나 사안별로 집필 되는 경향이 있었음. 한국철학계도 한국을 대표하는 철학자들이 어떤 시대적 사명과 문제의식을 가지고 철학을 구축하게 되었으며 그들의 철학이 후대에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등 철학사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저술이 필요하다고 보았음
○ 한국인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인성역량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한국철학의 특징인 학술과 덕을 쌓고 실천하는 인간상을 전하는 내용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음


  • 전통 철학 연구에서 벗어나 현재의 한국철학을 생산하는 노력의 필요성(고려대 김형찬)

○ 김형찬 교수는 현재 한국철학 연구는 원효와 퇴율, 다산, 혜강 등의 전통 철학 연구에 한정되어 현재의 한국철학을 생산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를 뼈아프게 비판했음. 김형찬 교수는 이는 한국철학 연구자들이 현재 우리가 당면한 현실에 대한 문제 설정과 대안 모색이라는 과제를 방기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음


  • 한국철학 교육, 이성과 감성, 영성을 골고루 갖춘 인재 육성에 적합(한국전통문화대 최영성)

○ 한국 철학이라고 하면 지역성과 역사성, 전통성 등 세 가지는 갖추어야 한다고 말했음. 최영성 교수는 보편성이라는 미명 아래 우리의 전통문화, 특히 한국철학의 명맥이 완전히 단절되도록 내버려둘 수 없으며 보호하고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음. 그는 한국철학은 수양론과 공부론의 특징을 강하게 지니고 있고 이성과 감성, 영성을 골고루 갖춘 사람을 바람직한 인간상으로 여겨 왔다고 말하고 이런 특성을 살려 교육을 실시한다면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음


  • 중학교 현직 교사들에게 유용한 교육자료 제공 필요(진광중학교 교수 이성희)

○ 중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자유학기제와 인성교육 시간을 이용해 한국철학을 가르칠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말했음. 이러기 위해서는 교사들에게 다양한 한국철학 교육용 자료를 개발하고 보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음


  • 도덕 윤리 과목에 한국철학 부분을 보강하여 필수 과목으로 포함의 필요성(충북대 강보승)

○ 한국철학을 단독과목으로 중등교육과정에 신설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보고, 기왕에 있는 ‘도덕 윤리’ 과목에서 한국철학 부분을 강화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말했음. 나아가 현재 인문계열 학생들의 선택 과목인 ‘도덕 윤리’를 자연계, 예체능계, 특성화고 학생들을 막론하고 인성 발달과 기술 급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을 기르는 차원에서 필수 과목으로 지정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음


오늘의 토론 주제(2022.12.7)[편집 | 원본 편집]

우리시대에 필요한 한국철학을 위해 기성세대들이 해야 할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위에 나온 이야기가 아니어도 어떤 것이어도 좋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을 귀하게 듣고 꼭 하나라도 실천해 볼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