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에세이 묵자1 편집하기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 '''피지배층의 대변자''' ==
+
== 피지배층의 대변자 ==
  
 
<html>
 
<html>
25번째 줄: 25번째 줄:
 
○ 맹자가 "세상이 양주와 묵적의 주장으로 가득 찼다"라고 한 것으로 보면 당시 묵자의 영향력이 컸을 것으로 보임<br>
 
○ 맹자가 "세상이 양주와 묵적의 주장으로 가득 찼다"라고 한 것으로 보면 당시 묵자의 영향력이 컸을 것으로 보임<br>
  
 +
 +
-묵적 지음, 윤무학 옮김, <<묵자>>, 도서출판 길, 2015<br>
  
 
* '''묵자와 유학과의 관계'''
 
* '''묵자와 유학과의 관계'''
- 묵적 지음, 윤무학 옮김, <<묵자>>, 도서출판 길, 2015<br>
 
 
○ 묵자는 공자보다 약간 늦게 활동했는데 유학 교육을 받았다고 전해짐. 하지만 유학의 예악이 지나치게 번거롭고 재물을 낭비한다고 판단하고 포기했다고 함. 특히 유학에서 장례에 너무 많은 시간과 재물을 쓰는 데 대해 비판적이었음. 묵가의 입장에서 보면 당시의 이른바 예악은 기득권층이 민중의 재화를 착취하고 낭비하는 수단에 불과하기 때문임<br>
 
○ 묵자는 공자보다 약간 늦게 활동했는데 유학 교육을 받았다고 전해짐. 하지만 유학의 예악이 지나치게 번거롭고 재물을 낭비한다고 판단하고 포기했다고 함. 특히 유학에서 장례에 너무 많은 시간과 재물을 쓰는 데 대해 비판적이었음. 묵가의 입장에서 보면 당시의 이른바 예악은 기득권층이 민중의 재화를 착취하고 낭비하는 수단에 불과하기 때문임<br>
 
   <<묵자>> <공맹>
 
   <<묵자>> <공맹>
42번째 줄: 43번째 줄:
  
  
== '''강철 같은 조직''' ==
+
== 강철 같은 조직 ==
 
 
* '''묵가의 집단생활과 결속력'''
 
  
 
○ 묵자의 사상을 따르는 사람들은 집단을 이루고 살았음</br>
 
○ 묵자의 사상을 따르는 사람들은 집단을 이루고 살았음</br>
 
   "묵자를 따르는 무리가 180명인데 그들은 우두머리의 명령이 떨어지면 불 속에 들어가는 일이건 칼날을 밟고 서는 일이건 절대 주저하지 않을 사람들이다." -<<회남자>>
 
   "묵자를 따르는 무리가 180명인데 그들은 우두머리의 명령이 떨어지면 불 속에 들어가는 일이건 칼날을 밟고 서는 일이건 절대 주저하지 않을 사람들이다." -<<회남자>>
 
○ 엄격하게 통제된 생활</br>
 
○ 엄격하게 통제된 생활</br>
- 비좁은 방에서 살았고 기둥에 조각을 하거나 벽을 화려하게 꾸며서는 안되었음. 음식은 흙으로 빚은 그릇에 담긴 옥수수밥, 조밥, 국뿐이었음. 여름에는 베옷, 겨울에는 사슴 가죽만 입었음. 노래나 오락도 철저히 금지되었음</br>
 
- 금욕적인 규율을 철저히 지켜야 했고 오로지 남을 위해 일해야 했음. 규율을 어겼을 때는 조직에서 엄한 벌을 받았음</br>
 
 
  ☞질문: <span style="color:#ff0000;">'''그런데 이게 어떻게 가능했을까? 어떻게 그렇게 단단한 결속력을 가질 수 있었을까?'''</span>
 
 
 
○ 묵가 결속력의 비결</br>
 
- '''합의된 원칙에 따른 조직 운영''': 하층민들로 이루어졌던 묵가들은 내부의 법과 규칙에 대한 합의에 근거하여 집단을 움직였음. 리더에 대한 선발도 그런 방식으로 이루어졌음</br>
 
-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능력자를 리더로 임명''': 조직을 내부에서 합의한 원칙에 맞게 이끌어 갈 수 있는 사람을 뽑아 거자로 임명하고 거자는 다시 자신을 도울 현명한 아랫사람을 임명했음. 그리고 자신의 자리는 자신의 아들에게 세습시키지 않고 능력 있는 인사에게 물려주었음</br>
 
- '''기여도에 따른 정확한 상과 벌''': 묵가 집단에 도움이 되는 일을 한 사람에게 거자는 상을 주고 집단의 질서를 위협하거나 공유될 이익을 해친 자에게 거자는 벌을 주었음</br>
 
☞ 임건순, <<묵자, 공자를 딛고 일어선 천민 사상가>>, 2015</br>
 
 
 
* '''약속과 원칙을 중시한 묵가'''
 
 
○ '''묵수(墨守)''': 철저하게 끝까지 지킨다는 뜻. 묵가가 견고하게 성을 잘 지킨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 '묵적지수(墨翟之守)'에서 나온말. 여기에서 묵적은 묵가의 이름</br>
 
 
  거자 맹승은 형나라의 양성군과 아주 가까이 지냈다. 양성군은 맹승에게 성을 지켜 달라고 부탁하고 왕의 장례에 참석하러 갔다가 정치적 사건에 휘말려 돌아오지 못하고 다른 나라로 망명해 버렸다. 그러자 형나라에서는 양성군의 땅을 몰수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 맹승은 양성군과의 약속을 지켜야 한다면서 묵가 집단에게 성을 사수할 것을 명령했다.
 
  한 제자가 반론을 제기했다.
 
  "우리가 여기서 모두 죽는 것은 양성군에게 아무런 도움이 안 되고 그러다간 묵가 집단이 끊어지고 말 것입니다."
 
  "묵가의 지휘권은 송나라에 있는 전양자가 계승할 것이니 묵가가 끊어지는 일은 없을 것이다. 우리가 양성군과의 약속을 어긴다면 앞으로 그 누구도 묵가 집단과 약속을 하지 않을 것이다."
 
  맹승은 이렇게 말하고 끝까지 싸울 것을 명령했다. 그 말을 들은 제자는 자기 잘못을 깨닫고 자결했고 맹승과 그 부하들도 모두 전사했다. 전양자에게 거자 자리를 넘견 준다는 맹승의 서신을 전하러 간 두 사람이 있었는데 그들은 서신을 전하고 나서 전양자에게 말했다.
 
  "저희는 이제 다시 돌아가 싸우다 죽겠습니다."
 
  전양자가 그들을 말렸다.
 
  "이제는 내가 거자이니 내 말을 들으시오."
 
  그러나 두 사람은 극구 돌아가서 자결하고 말았다. 그러나 이 두 사람이 모인 행동은 후대 묵가 사람들에게 거자의 명령을 따르지 않은 잘못된 행동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여씨춘추>> <상덕>
 
 
☞ 묵가 집단에게 의미 있는 전쟁: 오직 강자의 횡포로부터 약자를 지키는 방어 전쟁</br>
 
☞ 묵가 집단에게 군인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직업이 아닌 자신들의 철학을 실현해 가는 실천이었음</br>
 
 
 
○ 유가와 묵가의 정직과 원칙에 대한 관점의 차이</br>
 
 
1. 묵가 집단과 관련된 일화
 
  진나라의 복돈이 거자를 맡고 있을 때 그의 아들이 살인죄를 저질렀다. 복돈은 나이도 많은 데다가 대를 이을 사람이라곤 그 아들 하나뿐이었다.
 
  진나라 혜왕이 복돈에게 말했다.
 
  "당신은 늙었고 또 외아들이니 죄를 감해 주겠소."
 
  "묵가의 법에 따르면 남을 죽인 자는 죽어야 하고, 남을 해친 자는 벌을 받아야만 합니다. 이것이 온 세상의 대의입니다. 나는 묵가 사람이니 묵가의 법을 지킬 수밖에 없습니다."
 
  복돈은 이렇게 대답하고 자기 아들을 처형했다. -<<여씨춘추>> <거사>
 
 
2. 공자와 관련된 일화
 
  섭공이 공자에게 말했다.
 
  "우리 고을에 정직한 사람이 있는데 그 사람의 아버지가 양을 훔치자, 아들이 스스로 고발했습니다."
 
  공자가 말했다.
 
  "우리 고을의 정직한 사람은 이와 다릅니다. 아버지는 자식을 위해 숨겨주고 자식은 아버지를 위해 숨겨주니 정직함은 그 가운데 있습니다."
 
  -<<논어>> <자로>
 
 
  ☞질문: <span style="color:#ff0000;">'''어떤 정직이 진정한 정직이라고 생각하나요?'''</span>
 
 
 
▷▷ [http://esang21c.cafe24.com/index.php/%EB%8F%99%EC%96%91%EC%B2%A0%ED%95%99%EC%97%90%EC%84%B8%EC%9D%B4_%EB%AC%B5%EC%9E%902#.EC.84.9C.EB.A1.9C_.EC.82.AC.EB.9E.91.ED.95.98.EA.B3.A0_.EC.9D.B4.EC.9D.B5.EC.9D.84_.EB.82.98.EB.88.84.EC.9E.90 다음 묵자 이야기로 이동 클릭!]
 
  
  
 
[[분류:동양철학개설]]
 
[[분류:동양철학개설]]

An_SW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An SW: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