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와 율곡"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n_SW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 [참고] 퇴계와 율곡의 이기론, 심성론(요약) == === 퇴계 이황의 이기론과 심성론의 핵심 === ☞ <span style="color:#ff0000;">'''이(理)와 기(氣)...)
 
6번째 줄: 6번째 줄:
  
 
   ☞ <span style="color:#ff0000;">'''인간은 왜 악할까? 원래 악했나? 악한 인간도 선해질 수 있나? 어떻게 선해질 수 있나? 이런 문제들을 이기론, 심성론으로 풀어낸 것이다.'''</span>
 
   ☞ <span style="color:#ff0000;">'''인간은 왜 악할까? 원래 악했나? 악한 인간도 선해질 수 있나? 어떻게 선해질 수 있나? 이런 문제들을 이기론, 심성론으로 풀어낸 것이다.'''</span>
 +
 +
 +
☞ 한국철학사연구회 엮음,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13, 188~201쪽</br>
 +
 +
○ '''이(理)와 기(氣)를 엄밀하게 분리하여 순수한 선의 자리를 확보하고자 했던 퇴계 이황'''</br>
 +
- 이(理): 순선(純善: 순수한 선)</br>
 +
- 기(氣): 선이나 악 어느 쪽으로도 발할 수 있음</br>
 +
=> 이와 기가 서로 섞일 수 없음을 강조</br>
 +
=> 이런 이기론에 대한 관점은 인간의 마음에 관한 논의로 이어짐</br>
 +
 +
 +
 +
[[분류: 한국철학사]]

2022년 5월 2일 (월) 19:47 판

[참고] 퇴계와 율곡의 이기론, 심성론(요약)

퇴계 이황의 이기론과 심성론의 핵심

이(理)와 기(氣)는 조선 성리학자들이 자연의 원리와 자연의 일부인 인간의 본성과 마음을 설명할 수 있는 나름의 과학적인 접근방식이었다!
인간은 왜 악할까? 원래 악했나? 악한 인간도 선해질 수 있나? 어떻게 선해질 수 있나? 이런 문제들을 이기론, 심성론으로 풀어낸 것이다.


☞ 한국철학사연구회 엮음,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13, 188~201쪽

이(理)와 기(氣)를 엄밀하게 분리하여 순수한 선의 자리를 확보하고자 했던 퇴계 이황
- 이(理): 순선(純善: 순수한 선)
- 기(氣): 선이나 악 어느 쪽으로도 발할 수 있음
=> 이와 기가 서로 섞일 수 없음을 강조
=> 이런 이기론에 대한 관점은 인간의 마음에 관한 논의로 이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