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에세이 노자2"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n_SW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1번째 줄: 21번째 줄:
  
 
== 원초적 인간의 모습 ==
 
== 원초적 인간의 모습 ==
 +
 +
  ☞질문: <span style="color:#ff0000;">'''원초적 인간의 모습이라고 하면 어떠한 모습이 떠오르나요? 부정적 생각이 떠오르나요, 긍정적 생각이 떠오르나요?'''</span>
  
 
   '''최고의 덕을 가진 사람은 의식적으로 덕을 얻으려고 애쓰지 않는다. 그래서 덕이 완전하게 나타난다. 수준이 낮은 사람은 의식적으로 덕을 얻고자 하며, 또 그것을 잃지 않으려고 안달한다. 그래서 덕이 완전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최상의 덕은 덕을 얻고자 애쓰지 않으며 그것을 바깥으로 자랑하려 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낮은 덕은, 덕을 얻고자 애쓸 뿐만 아니라 그것을 바깥에 나타내어 남에게 과시하려 한다. -<<도덕경>> 38장
 
   '''최고의 덕을 가진 사람은 의식적으로 덕을 얻으려고 애쓰지 않는다. 그래서 덕이 완전하게 나타난다. 수준이 낮은 사람은 의식적으로 덕을 얻고자 하며, 또 그것을 잃지 않으려고 안달한다. 그래서 덕이 완전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최상의 덕은 덕을 얻고자 애쓰지 않으며 그것을 바깥으로 자랑하려 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낮은 덕은, 덕을 얻고자 애쓸 뿐만 아니라 그것을 바깥에 나타내어 남에게 과시하려 한다. -<<도덕경>> 38장
  
 
[[분류: 동양철학개설]]
 
[[분류: 동양철학개설]]

2022년 4월 6일 (수) 13:02 판

노자의 정치론

 나라가 작고 백성 수가 적어야 한다.[소국과민(小國寡民)] -<<도덕경>> 80장
 총명과 지혜를 끊어 버리면 백성의 이익이 백 배로 늘어날 것이다. 인과 의 같은 도덕을 끊어 버리면 백성들이 옛날처럼 효성스럽고 자애롭게 될 것이다. -<<도덕경>> 19장
 똑똑한 사람을 높이지 않음으로써 백성들이 다투지 않게 만든다. 얻기 힘든 물건을 귀하게 여기지 않음으로써 백성들이 도덕질하지 않게 한다. 욕망을 일으킬 만한 것을 보여주지 않음으로써 백성들의 마음을 혼란스럽게 하지 않는다. -<<도덕경>> 3장

○ 주의할 점: 단순히 원시 사회로 돌아가자거나 우민 정치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아님
○ 당시 사회 혼란의 원인에 대한 비판: 생산력의 발달로 주나라의 종법제도가 무너지면서 신분 상승을 꾀하고 그 가정에서 논쟁, 전쟁이 일어나게 된 것을 비판함
○ 근원적인 도의 성질: 저절로 그러함[자연(自然)]. 인간을 다스리는 정치의 도 역시 '무위(無爲)', 억지로 인위적으로 하지 않는 것임

=> 노자 역시 공자와 마찬가지로 당시의 혼란한 사회[난세(亂世)]를 어떻게 다스려지는 사회[치세(治世)]로 전환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음

○ 한때 꿈꿨던 헬렌 니어링, 스콧 니어링의 삶

니어링부부.jpg

 ☞질문: 지금 그렇게 살지 못한다고 해서 이러한 삶이 내게 전혀 의미가 없는 것일까? 내가 삶을 대하는 태도는 어떠한가?


원초적 인간의 모습

 ☞질문: 원초적 인간의 모습이라고 하면 어떠한 모습이 떠오르나요? 부정적 생각이 떠오르나요, 긍정적 생각이 떠오르나요?
 최고의 덕을 가진 사람은 의식적으로 덕을 얻으려고 애쓰지 않는다. 그래서 덕이 완전하게 나타난다. 수준이 낮은 사람은 의식적으로 덕을 얻고자 하며, 또 그것을 잃지 않으려고 안달한다. 그래서 덕이 완전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최상의 덕은 덕을 얻고자 애쓰지 않으며 그것을 바깥으로 자랑하려 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낮은 덕은, 덕을 얻고자 애쓸 뿐만 아니라 그것을 바깥에 나타내어 남에게 과시하려 한다. -<<도덕경>> 38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