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에세이 맹자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n_SW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2번째 줄: 32번째 줄:
  
  
 +
○ '''[https://www.hani.co.kr/arti/well/well_writing/939585.html 맹자가 자기 인생을 빗대어 말한 명구절]'''</br>
 +
 +
  天將降大任於斯人也(천장강대임어시인야) '''하늘이 장차 이 사람에게 큰 일을 맡기려 하면'''
 +
  必先勞其心志(필선고기심지) '''반드시 먼저 그가 마음의 뜻을 세우기까지 괴로움을 주고'''
 +
  苦其筋骨(노기근골) '''그 육신을 피곤케 하며'''
 +
  餓其體膚(아기체부) '''그 몸을 굶주리게하고'''
 +
  窮乏其身(궁핍기신) '''그 몸을  궁핍하게 한다.'''
 +
  行拂亂其所爲(행불란기소위) '''그가 하려는 바를 힘들게 하고 어지럽게 하는 것은'''
 +
  是故動心忍性(시고동심인성) '''마음을 쓰는 중에도 흔들리지 않을 참된 성품을 기르고,'''
 +
  增益其所不能(증익기소불능) '''불가능하다던 일도 능히 해낼 수 있도록 키우기 위함이다.'''
 +
 +
 +
  ☞ <span style="color:#ff0000;">'''맹자가 어려움 속에서도 세상과 타협하지 않고 찾아가려 했던 길은 무엇일까요? 무엇을 그렇게 갈구했을까요?'''</span>
 +
 +
 +
== '''무엇이 인간의 참모습인가''' ==
 +
 +
* '''혼란한 시대, 인간다움에 대해 생각하다'''
 +
 +
○ 사람들이 서로를 죽이고 형제간, 부모 자식간에도 서로를 죽이는 일이 일어났던 전국시대, 맹자와 순자의 인간 본성에 관한 고민은 인간의 참모습, 인간다움의 철학적 근거를 찾고자 했던 절실한 문제의식이었음</br>
 +
○ 본성이라는 글자 性 = 마음 심 心 + 낳다, 생기다 生</br>
 +
=> 글자대로 풀면 마음속에서 생겨난 자연스러운 것: 도덕적인 면+생리적 욕구와 감정
 +
=> 하지만 맹자는 생리적 욕구와 감정을 인간의 본질적인 모습으로 보지 않았음. 인간에게는 '''본질적으로 선의 요소가 마음에 들어 있다'''고 보았음
 +
 +
 +
  ☞ <span style="color:#ff0000;">'''동의하나요?'''</span>
 +
 +
 +
* '''맹자의 성선(性善) 논증'''
 +
 +
  ☞ <span style="color:#ff0000;">'''만일 엉금엉금 기어가는 아기가 우물에 막 빠지려 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span>
 +
 +
=> 누구나 달려가 아이를 구하려 할 것이다. 이는 아이를 구해서 그 부모와 친분을 맺거나 보상을 받겠다는 계산 때문이 아니다.
 +
 +
 +
*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B%84%88%EC%84%A0_%ED%95%98%EC%9D%B4%ED%8A%B8 조나단 하이트(Jonathan Haidt)]의 사고 실험'''
 +
 +
  <상황1>
 +
  한 여성이 옷장을 청소하다가 오래된 국기를 발견했다. 그녀는 국기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아서 조각조각 잘라서 화장실 청소를 위해 걸레로 썼다.
 +
 +
  ☞ <span style="color:#ff0000;">'''어떻게 생각하나요?'''</span>
 +
 +
 +
  <상황2>
 +
  어떤 가족의 개가 그 집 앞에서 차여 치여 죽었다. 그 가족들은 개고기가 맛있다는 말을 들었기에 개를 토막 내고 요리해서 저녁으로 먹었다.
 +
 +
  ☞ <span style="color:#ff0000;">'''어떻게 생각하나요?'''</span>
 +
 +
 +
○ 조나단 하이트와 그의 동료들은 자기 나라의 국기를 찢어 화장실의 걸레로 쓰는 행위, 집 앞에서 차에 치인 자기 집의 애완견을 요리해 먹는 행위 등에 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음</br>
 +
○ 실험 대상자들의 반응은 대체로 그러한 행위들이 실질적인 피해를 입히지 않더라도 역겨움(disgust)과 무례함(disrespect)을 느끼게 하는 것들로서 도덕적으로 잘못되었다고 느끼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음</br>
 +
 +
=> 인간의 도덕 판단에서 마음의 거북함, 역겨움 등의 감정적 측면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동함</br>
 +
 +
 +
* '''맹자가 발견한 인간성'''
 +
 +
○ 맹자는 아이가 우물에 빠지려는 모습을 본 순간 생겼던 순수한 마음을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이라고 부르며 누구에게나 다 있는 것이라고 보았음</br>
 +
○ '''착해질 수 있는 네 가지 실마리, 사단(四端)'''</br>
 +
- 측은해 하는 마음[측은지심(惻隱之心)] => 인(仁)의 단서</br>
 +
- 자기 잘못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잘못을 미워하는 마음[수오지심(羞惡之心)] => 의(義)의 단서</br>
 +
- 사양하는 마음[사양지심(辭讓之心)] => 예(禮)의 단서</br>
 +
- 옳고 그름을 가리는 마음[시비지심(是非之心)] => 지(智)의 단서</br>
 +
 +
  ☞ <span style="color:#ff0000;">'''그런데 인간은 왜 나쁜 짓을 하게 될까요?'''</span>
 +
 +
=> 맹자는 사람들이 하는 나쁜 짓은 본질적인 모습이 아니라고 보았음. 그 근본적인 원인은 수양의 문제도 있을 수 있지만 외부 환경의 원인이 크다고 보았음</br>
 +
 +
  우산(牛山)의 나무가 예전에는 아름다웠었는데 큰 나라의 교외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도끼로 매일 나무를 베어가니 아름답게 될 수 있었겠는가? 그래도 낮과 밤으로 조금씩 자라나고 비가 적셔주어 싹이 나오기도 했지만 소와 양이 또 그 산에 방목되어 저와 같이 민둥산이 되었다. 그 모습을 보고는 훌륭한 재목이 있은 적이 없다고 여기니 이것이 어찌 산의 본질이었겠는가.</br>
 +
  - <<맹자>> <고자 상>
 +
 +
 +
  ☞ <span style="color:#ff0000;">'''혹여 민둥산이 된 우리 모습을 보고 그게 우리의 본질로 여기고 살아가고 있지는 않은지? 우리 자신의 본질이 생각보다는 참 괜찮을 수 있지 않을지?'''</span>
 +
 +
 +
* '''맹자 성선(性善)의 의의: 가능성을 품은 온전한 인간의 발견'''</br>
 +
 +
○ '''누구나 성인(聖人: 최고의 이상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될 수 있다'''</br>
 +
- 인간의 선천적 선함에 근거하여 사람이라면 누구나 요순처럼 될 수 있다고 말함</br>
 +
 +
  저자(儲子)가 물었다. “왕이 사람으로 하여금 선생님을 엿보게 하시니, 과연 다른 사람과 다른 점이 계십니까?”
 +
  맹자가 말했다. “어찌 다른 사람과 다르겠는가? 최고의 이상적인 인간이자 임금이었던 요순도 사람들과 똑같았다.”
 +
 +
  ☞ <span style="color:#ff0000;">'''우린 때론 우리 자신에 대한 판단과 평가를 내려놓고 그 자체로 가치있는 존재로서의 우리 자신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span>
 +
 +
 +
<html>
 +
<iframe width="882" height="496" src="https://www.youtube.com/embed/YQ1g5M-rcB8"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
 +
== '''군자의 본성과 소인의 본성''' ==
 +
 +
  ☞ <span style="color:#ff0000;">'''맹자의 성선은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일까?'''</span>
 +
 +
○ 역사상 지배 집단은 언제나 피지배 집단보다 도덕적으로 뛰어나다고 여겨져 왔음. 맹자는 이전까지는 노동의 도구로서만 의미가 있던 민중에게도 인간의 본질인 선의 요소가 들어 있음을 인정하여 민중을 도덕적 실현이 가능한 범주로 끌어올렸음</br>
 +
○ 맹자는 군자, 대인, 선비에게 통치의 역할을 인정함으로써 그들의 지배를 합리화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들에게 도덕 실천을 통한 자아의 완성이라는 책무를 주었음. 그 결과 민중을 위해 지배 계층의 더 많은 양보를 확보해 내려 했음</br>
 +
 +
 
[[분류: 동양철학개설]]
 
[[분류: 동양철학개설]]

2022년 5월 10일 (화) 10:29 기준 최신판

공자의 뒤를 이어[편집 | 원본 편집]

맹자라고 하면 뭐가 생각나나요? 아마도 어떤 분은 맹모삼천지교를 떠올리지 않을지?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 부모가 자식 교육을 위해 애쓰는 것을 비유한 말로 오늘날도 종종 쓰이고 있음
- 첫번째 이사: 처음 맹자네가 묘지 근처로 이사를 가자, 맹자가 동네 친구들과 어울려 장사지내는 흉내를 내며 놀곤 했음. 이런 모습에 놀란 맹자의 어머니는 아들을 위해 집을 옮겼음
- 두번째 이사: 이번에는 시장 부근에서 살았음. 그러자 맹자는 물건을 팔고 사는 흉내를 내면서 놀았음
- 세번째 이사: 맹자 어머니는 다시 학교 부근으로 이사했음. 그러자 맹자는 공부하는 흉내를 내면서 놀았고 그제서야 맹자 어머니는 마음을 놓았음


맹모['맹모삼천지교'의 준말]는 오늘날 어떻게 쓰이고 있을까?

- 썸트렌드에서 분석한 맹모에 대한 연관어, 긍부정감정

썸트렌드 맹모.png


이 아이는 어떻게 컸을까요?


이런 말을 할 줄 아는 아이가 되었습니다.

 백성이 근본이다.[민본(民本)사상] 백성들을 우습게 보고 잘못된 정치를 하는 통치자는 이를 뒤엎는 혁명을 통해 백성을 위하는 통치자로 바꿔야 한다.[역성(易姓)혁명사상]

☞ 참고로 이 사람이 살던 시대는 지배자들의 사치와 탐욕, 침략 전쟁이 극에 달했던 전국(戰國)시대


이 사람의 인생은 평탄했을까요?


맹자가 자기 인생을 빗대어 말한 명구절

 天將降大任於斯人也(천장강대임어시인야) 하늘이 장차 이 사람에게 큰 일을 맡기려 하면
 必先勞其心志(필선고기심지) 반드시 먼저 그가 마음의 뜻을 세우기까지 괴로움을 주고
 苦其筋骨(노기근골) 그 육신을 피곤케 하며
 餓其體膚(아기체부) 그 몸을 굶주리게하고
 窮乏其身(궁핍기신) 그 몸을  궁핍하게 한다.
 行拂亂其所爲(행불란기소위) 그가 하려는 바를 힘들게 하고 어지럽게 하는 것은
 是故動心忍性(시고동심인성) 마음을 쓰는 중에도 흔들리지 않을 참된 성품을 기르고,
 增益其所不能(증익기소불능) 불가능하다던 일도 능히 해낼 수 있도록 키우기 위함이다.


맹자가 어려움 속에서도 세상과 타협하지 않고 찾아가려 했던 길은 무엇일까요? 무엇을 그렇게 갈구했을까요?


무엇이 인간의 참모습인가[편집 | 원본 편집]

  • 혼란한 시대, 인간다움에 대해 생각하다

○ 사람들이 서로를 죽이고 형제간, 부모 자식간에도 서로를 죽이는 일이 일어났던 전국시대, 맹자와 순자의 인간 본성에 관한 고민은 인간의 참모습, 인간다움의 철학적 근거를 찾고자 했던 절실한 문제의식이었음
○ 본성이라는 글자 性 = 마음 심 心 + 낳다, 생기다 生
=> 글자대로 풀면 마음속에서 생겨난 자연스러운 것: 도덕적인 면+생리적 욕구와 감정 => 하지만 맹자는 생리적 욕구와 감정을 인간의 본질적인 모습으로 보지 않았음. 인간에게는 본질적으로 선의 요소가 마음에 들어 있다고 보았음


동의하나요?


  • 맹자의 성선(性善) 논증
만일 엉금엉금 기어가는 아기가 우물에 막 빠지려 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 누구나 달려가 아이를 구하려 할 것이다. 이는 아이를 구해서 그 부모와 친분을 맺거나 보상을 받겠다는 계산 때문이 아니다.


 <상황1>
 한 여성이 옷장을 청소하다가 오래된 국기를 발견했다. 그녀는 국기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아서 조각조각 잘라서 화장실 청소를 위해 걸레로 썼다.
어떻게 생각하나요?


 <상황2>
 어떤 가족의 개가 그 집 앞에서 차여 치여 죽었다. 그 가족들은 개고기가 맛있다는 말을 들었기에 개를 토막 내고 요리해서 저녁으로 먹었다.
어떻게 생각하나요?


○ 조나단 하이트와 그의 동료들은 자기 나라의 국기를 찢어 화장실의 걸레로 쓰는 행위, 집 앞에서 차에 치인 자기 집의 애완견을 요리해 먹는 행위 등에 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음
○ 실험 대상자들의 반응은 대체로 그러한 행위들이 실질적인 피해를 입히지 않더라도 역겨움(disgust)과 무례함(disrespect)을 느끼게 하는 것들로서 도덕적으로 잘못되었다고 느끼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음

=> 인간의 도덕 판단에서 마음의 거북함, 역겨움 등의 감정적 측면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동함


  • 맹자가 발견한 인간성

○ 맹자는 아이가 우물에 빠지려는 모습을 본 순간 생겼던 순수한 마음을 '(남에게)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이라고 부르며 누구에게나 다 있는 것이라고 보았음
착해질 수 있는 네 가지 실마리, 사단(四端)
- 측은해 하는 마음[측은지심(惻隱之心)] => 인(仁)의 단서
- 자기 잘못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잘못을 미워하는 마음[수오지심(羞惡之心)] => 의(義)의 단서
- 사양하는 마음[사양지심(辭讓之心)] => 예(禮)의 단서
- 옳고 그름을 가리는 마음[시비지심(是非之心)] => 지(智)의 단서

그런데 인간은 왜 나쁜 짓을 하게 될까요?

=> 맹자는 사람들이 하는 나쁜 짓은 본질적인 모습이 아니라고 보았음. 그 근본적인 원인은 수양의 문제도 있을 수 있지만 외부 환경의 원인이 크다고 보았음

 우산(牛山)의 나무가 예전에는 아름다웠었는데 큰 나라의 교외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도끼로 매일 나무를 베어가니 아름답게 될 수 있었겠는가? 그래도 낮과 밤으로 조금씩 자라나고 비가 적셔주어 싹이 나오기도 했지만 소와 양이 또 그 산에 방목되어 저와 같이 민둥산이 되었다. 그 모습을 보고는 훌륭한 재목이 있은 적이 없다고 여기니 이것이 어찌 산의 본질이었겠는가.
- <<맹자>> <고자 상>


혹여 민둥산이 된 우리 모습을 보고 그게 우리의 본질로 여기고 살아가고 있지는 않은지? 우리 자신의 본질이 생각보다는 참 괜찮을 수 있지 않을지?


  • 맹자 성선(性善)의 의의: 가능성을 품은 온전한 인간의 발견

누구나 성인(聖人: 최고의 이상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될 수 있다
- 인간의 선천적 선함에 근거하여 사람이라면 누구나 요순처럼 될 수 있다고 말함

 저자(儲子)가 물었다. “왕이 사람으로 하여금 선생님을 엿보게 하시니, 과연 다른 사람과 다른 점이 계십니까?” 
 맹자가 말했다. “어찌 다른 사람과 다르겠는가? 최고의 이상적인 인간이자 임금이었던 요순도 사람들과 똑같았다.” 
우린 때론 우리 자신에 대한 판단과 평가를 내려놓고 그 자체로 가치있는 존재로서의 우리 자신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



군자의 본성과 소인의 본성[편집 | 원본 편집]

맹자의 성선은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일까?

○ 역사상 지배 집단은 언제나 피지배 집단보다 도덕적으로 뛰어나다고 여겨져 왔음. 맹자는 이전까지는 노동의 도구로서만 의미가 있던 민중에게도 인간의 본질인 선의 요소가 들어 있음을 인정하여 민중을 도덕적 실현이 가능한 범주로 끌어올렸음
○ 맹자는 군자, 대인, 선비에게 통치의 역할을 인정함으로써 그들의 지배를 합리화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들에게 도덕 실천을 통한 자아의 완성이라는 책무를 주었음. 그 결과 민중을 위해 지배 계층의 더 많은 양보를 확보해 내려 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