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와 율곡"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n_SW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번째 줄: 1번째 줄:
 
== [참고] 퇴계와 율곡의 이기론, 심성론(요약) ==
 
== [참고] 퇴계와 율곡의 이기론, 심성론(요약) ==
  
=== 퇴계 이황의 이기론과 심성론의 핵심 ===
+
=== '''퇴계 이황의 이기론과 심성론의 핵심''' ===
  
 
   ☞ <span style="color:#ff0000;">'''이(理)와 기(氣)는 조선 성리학자들이 자연의 원리와 자연의 일부인 인간의 본성과 마음을 설명할 수 있는 나름의 과학적인 접근방식이었다!'''</span>
 
   ☞ <span style="color:#ff0000;">'''이(理)와 기(氣)는 조선 성리학자들이 자연의 원리와 자연의 일부인 인간의 본성과 마음을 설명할 수 있는 나름의 과학적인 접근방식이었다!'''</span>
17번째 줄: 17번째 줄:
 
=> 이런 이기론에 대한 관점은 인간의 마음에 관한 논의로 이어짐</br>
 
=> 이런 이기론에 대한 관점은 인간의 마음에 관한 논의로 이어짐</br>
  
   ☞ <span style="color:#ff0000;">'''그런데 뭐가 선한 것이고 뭐가 악한 것인가?'''</span>
+
   ☞ <span style="color:#ff0000;">'''그런데 뭐가 선한 것이고 뭐가 악한 것인가? 악과 범죄의 차이는 무엇일까?'''</span>
  
 
☞ 맹자는 인간과 동물이 다른 지점에 주목했음</br>
 
☞ 맹자는 인간과 동물이 다른 지점에 주목했음</br>
41번째 줄: 41번째 줄:
 
- 퇴계가 본 인심(人心): 사람의 형기(形氣: 인간의 몸과 기질, 형이하의 세계)의 사사로움[사(私)]에 근원하여 발생하는 마음, 칠정과 일치</br>
 
- 퇴계가 본 인심(人心): 사람의 형기(形氣: 인간의 몸과 기질, 형이하의 세계)의 사사로움[사(私)]에 근원하여 발생하는 마음, 칠정과 일치</br>
 
- 퇴계가 본 도심(道心): 성명(性命: 인간 본성과 천명, 형이상의 세계)의 바름[정(正)]에 근원하여 발생하는 마음, 사단과 일치</br>
 
- 퇴계가 본 도심(道心): 성명(性命: 인간 본성과 천명, 형이상의 세계)의 바름[정(正)]에 근원하여 발생하는 마음, 사단과 일치</br>
 +
 +
 +
  ☞ <span style="color:#ff0000;">'''그렇다면 어떻게 선을 지켜가야 할까?'''</span>
 +
 +
  ☞ <span style="color:#ff0000;">'''혹여 형기(形氣)에 이끌려 자칫 악으로 빠지지 않도록 항상 정신 똑바로 차리는 게 필요하지 않을까?'''</span>
 +
 +
○ '''도덕적 긴장 상태를 유지하는 퇴계의 경(敬)'''</br>
 +
 +
- 퇴계는 도덕 본성의 실현과 관련한 수양의 태도로 일종의 도덕적 긴장 상태를 가리키는 경(敬)을 강조했음</br>
 +
- 경을 유지하기 위해 의식을 집중시켜 마음이 흐트러지지 않는 주일무적(主一無適), 몸가짐을 단정하게 하고 엄숙한 태도를 유지하는 정제엄숙(整齊嚴肅), 항상 또렷하게 깨어 있는 상성성(常惺惺) 등의 경 공부를 강조했음</br>
 +
 +
 +
=== '''율곡 이이의 이기론과 심성론의 핵심''' ===
  
  
 
[[분류: 한국철학사]]
 
[[분류: 한국철학사]]

2022년 5월 2일 (월) 21:44 판

[참고] 퇴계와 율곡의 이기론, 심성론(요약)

퇴계 이황의 이기론과 심성론의 핵심

이(理)와 기(氣)는 조선 성리학자들이 자연의 원리와 자연의 일부인 인간의 본성과 마음을 설명할 수 있는 나름의 과학적인 접근방식이었다!
인간은 왜 악할까? 원래 악했나? 악한 인간도 선해질 수 있나? 어떻게 선해질 수 있나? 이런 문제들을 이기론, 심성론으로 풀어낸 것이다.


☞ 한국철학사연구회 엮음,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13, 188~201쪽

이(理)와 기(氣)를 엄밀하게 분리하여 순수한 선의 자리를 확보하고자 했던 퇴계 이황

- 이(理): 순선(純善: 순수한 선)
- 기(氣): 선이나 악 어느 쪽으로도 발할 수 있음
=> 이와 기가 서로 섞일 수 없음을 강조
=> 이런 이기론에 대한 관점은 인간의 마음에 관한 논의로 이어짐

그런데 뭐가 선한 것이고 뭐가 악한 것인가? 악과 범죄의 차이는 무엇일까?

☞ 맹자는 인간과 동물이 다른 지점에 주목했음

성리학자들이 주목했던 선·악의 중요한 갈림길, 감정

- 맹자가 성선설의 근거로 제시한 사단(四端): 측은지심(惻隱之心: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향해 측은해 하는 마음), 수오지심(羞惡之心: 옳지 못한 것을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 사양지심(辭讓之心: 남에게 사양할 줄 아는 마음), 시비지심(是非之心: 옳고 그름을 판단할 줄 아는 마음)을 각각 인(仁), 의(義), 예(禮), 지(智)의 단서로 설명했음
=> 본성이 나타난 것으로 순수하게 선한 감정

- <<예기>>에서 언급한 칠정(七情): 희(喜, 기쁨), 노(怒, 분노), 애(哀, 슬픔), 구(懼, 두려움), 애(愛, 사랑), 오(惡, 미움), 욕(欲, 욕구)
=> 아직 선악이 결정되지 않은 일반적인 감정. 칠정이 발하여 일반적인 상황에 맞으면 선이고 어긋나면 악임


퇴계 이황, 사단과 칠정에 대한 철저한 구분

- 사단은 이(理)가 발한 것
- 칠정은 기(氣)가 발한 것
=> 사단이라는 도덕 원리가 인간의 욕망과 관련된 칠정에 의해 오염될 수 있는 가능성 차단. 도덕 원리의 절대성 확보


우리 마음의 두 가지 측면 인심(人心), 도심(道心)

- 퇴계가 본 인심(人心): 사람의 형기(形氣: 인간의 몸과 기질, 형이하의 세계)의 사사로움[사(私)]에 근원하여 발생하는 마음, 칠정과 일치
- 퇴계가 본 도심(道心): 성명(性命: 인간 본성과 천명, 형이상의 세계)의 바름[정(正)]에 근원하여 발생하는 마음, 사단과 일치


그렇다면 어떻게 선을 지켜가야 할까?
혹여 형기(形氣)에 이끌려 자칫 악으로 빠지지 않도록 항상 정신 똑바로 차리는 게 필요하지 않을까?

도덕적 긴장 상태를 유지하는 퇴계의 경(敬)

- 퇴계는 도덕 본성의 실현과 관련한 수양의 태도로 일종의 도덕적 긴장 상태를 가리키는 경(敬)을 강조했음
- 경을 유지하기 위해 의식을 집중시켜 마음이 흐트러지지 않는 주일무적(主一無適), 몸가짐을 단정하게 하고 엄숙한 태도를 유지하는 정제엄숙(整齊嚴肅), 항상 또렷하게 깨어 있는 상성성(常惺惺) 등의 경 공부를 강조했음


율곡 이이의 이기론과 심성론의 핵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