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에세이 장자3"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이 큰 나무는〉 도끼에 잘릴 염려도 없고 아무도 해칠 자가 없을 것이니 세속적인 쓸모가 없긴 하지만 괴롭게 여길 것 하나도 없다.”</br> | 〈이 큰 나무는〉 도끼에 잘릴 염려도 없고 아무도 해칠 자가 없을 것이니 세속적인 쓸모가 없긴 하지만 괴롭게 여길 것 하나도 없다.”</br> | ||
-번역문 출처: [http://db.cyberseodang.or.kr/front/alphaList/BookMain.do?bnCode=jti_3n0301&titleId=C10&compare=false 동양고전종합DB] | -번역문 출처: [http://db.cyberseodang.or.kr/front/alphaList/BookMain.do?bnCode=jti_3n0301&titleId=C10&compare=false 동양고전종합DB] | ||
+ | |||
+ | |||
+ | ○ 아름다움과 추함이 구분되면 사람들은 아름다운 것을 좋아하고 추한 것을 싫어하게 됨. 또 좋아함과 싫어함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을 선택하고 싫은 것을 버리게 함. 이러한 분별 때문에 사람들은 서로 좋은 것을 차지하고 싫은 것을 벗어나려고 경쟁하고 싸우게 됨</br> | ||
+ | ○ 장자는 사람들이 인위적인 분별 규정 때문에 세계의 본모습을 못 보게 된다고 했음</br> | ||
+ | ○ 이런 것들을 깨주기 위해 장자는 세상에서 소외딘, 세상의 기준에서 비정상이라고 하는 사람들의 온전한 덕과 인간미를 가졌다는 이야기를 많이 함</br> | ||
+ | |||
+ | |||
+ | ☞ <span style="color:#ff0000;">'''최근에 있는 그대로, 온전하게 우리 자신을 바라본 적이 있었나요? 있는 그대로, 온전하게 누군가를 바라본 적이 있나요? 어떠한 판단도 없이 말이죠. 응, 그렇구나 그랬구나 하고 말이죠.'''</span> | ||
+ | |||
+ | |||
+ | == 상대주의의 한계 == |
2022년 5월 3일 (화) 00:08 판
이 세상에 쓸모없는 존재는 없다
☞ 자유롭고 싶나요? 그런데 자유는 뭔가요?
☞ 구글에서 'freedom'을 검색했을 때 나오는 이미지들. 아마도 우리가 생각하는 자유의 이미지를 살펴볼 수 있을 듯
☞ 자유란 벗어나는 걸까요? 나를 속박하는 것들에서 벗어나는 걸까요? 그런데 뭐에 대한 속박일까요?
☞ 어디에서, 누군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지금, 여기서, 똑같은 이 일상 속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면?
☞ 혹여 내가 내 자신을 속박하고 있는 건 아닐까요? 나는 꼭 이래야 한다고 말이죠. 남이 나에게 원하지 않았는데 남에게 이래야 인정받고 이래야 이쁨받는 생각으로 말이죠.
<<장자>> <소요유>의 한 장면
혜자가 장자에게 말하였다. “나에게 큰 나무가 있는데 사람들은 그것을 가죽나무라고 말한다.그런데 그 큰 줄기는 울퉁불퉁하여 직선을 그릴 수가 없고 그 잔가지는 비비 꼬이고 구부러져 동그라미나 네모꼴을 그릴 수가 없다. 그래서 이 나무가 길 옆에 서 있기는 하지만 목수가 쳐다보지도 않는다. 지금 그대의 말이 크기만 하고 쓸모가 없는지라 뭇사람들이 모두 버리고 떠나 버리는 것이다.” 장자가 이에 대해 말하였다. “그대도 살쾡이를 본 일이 있을 것이다. 몸을 바짝 낮추고 엎드려서 나와 노는 작은 짐승들을 노리고 또 먹이를 찾아 동으로 서로 이리 뛰고 저리 뛰면서 높고 낮은 데를 가리지 않는다. 그러다가 덫에 걸리기도 하고 그물에 걸려 죽기도 한다. 그런데 지금 저 검은 소는 그 크기가 하늘에 드리운 구름과 같으니 이 소는 크기는 하지만 쥐 한 마리도 잡을 수 없다. 이제 그대에게 큰 나무가 있으면서도 그 나무의 쓸모없음이 걱정이 된다면 그것을 아무것도 없는 허무(虛無)의 고을, 끝없이 펼쳐진 들판에 심어 놓고 그 옆에서 자유롭게 거닐면서 아무 하는 일 없이 지내고 그 아래에서 유유자적하면서 낮잠이라도 자는 것이 좋지 않겠는가. 〈이 큰 나무는〉 도끼에 잘릴 염려도 없고 아무도 해칠 자가 없을 것이니 세속적인 쓸모가 없긴 하지만 괴롭게 여길 것 하나도 없다.”
-번역문 출처: 동양고전종합DB
○ 아름다움과 추함이 구분되면 사람들은 아름다운 것을 좋아하고 추한 것을 싫어하게 됨. 또 좋아함과 싫어함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을 선택하고 싫은 것을 버리게 함. 이러한 분별 때문에 사람들은 서로 좋은 것을 차지하고 싫은 것을 벗어나려고 경쟁하고 싸우게 됨
○ 장자는 사람들이 인위적인 분별 규정 때문에 세계의 본모습을 못 보게 된다고 했음
○ 이런 것들을 깨주기 위해 장자는 세상에서 소외딘, 세상의 기준에서 비정상이라고 하는 사람들의 온전한 덕과 인간미를 가졌다는 이야기를 많이 함
☞ 최근에 있는 그대로, 온전하게 우리 자신을 바라본 적이 있었나요? 있는 그대로, 온전하게 누군가를 바라본 적이 있나요? 어떠한 판단도 없이 말이죠. 응, 그렇구나 그랬구나 하고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