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에세이 묵자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n_SW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 피지배층의 대변자 == * '''묵자라는 사람에 대해''' ○ 성은 묵(墨)이고 이름은 적(翟)임</br> ○ 묵자는 공자, 맹자, 순자, 노자, 장자와 유...)
 
1번째 줄: 1번째 줄:
 
== 피지배층의 대변자 ==
 
== 피지배층의 대변자 ==
 +
 +
<html>
 +
<iframe width="668" height="376" src="https://www.youtube.com/embed/FeBc_m44Dpg"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질문: <span style="color:#ff0000;">'''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이 정의가 없다고 여겨질 때, 약자가 핍박받고 있다고 여겨져 세상에 분노할 때 '나'는 어떻게 대응하나요?'''</span>
 +
  
 
* '''묵자라는 사람에 대해'''
 
* '''묵자라는 사람에 대해'''

2022년 4월 11일 (월) 23:34 판

피지배층의 대변자

 ☞질문: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이 정의가 없다고 여겨질 때, 약자가 핍박받고 있다고 여겨져 세상에 분노할 때 '나'는 어떻게 대응하나요?


  • 묵자라는 사람에 대해

○ 성은 묵(墨)이고 이름은 적(翟)임
○ 묵자는 공자, 맹자, 순자, 노자, 장자와 유사한 시대에 태어났지만 태어난 나라도, 태어나고 죽은 해도 불분명함
○ 공자보다 조금 뒤, 맹자보다 조금 앞이라고 짐작할 뿐임
○ 묵자의 성이 묵씨가 아니라, 묵형이라는 형벌을 받았기 때문에 묵씨라고 불렸다고 하는 이야기도 있음
○ 피부가 검었기 때문에 묵씨라고 불렸다고 하기도 하며 피부가 검다는 것은 그가 노동을 하는 계층이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이야기 하기도 함
=> 묵자는 피지배층 계층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피지배 계층을 옹호하는 사상을 가졌음
○ 맹자가 "세상이 양주와 묵적의 주장으로 가득 찼다"라고 한 것으로 보면 당시 묵자의 영향력이 컸을 것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