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학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n_SW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30번째 줄: 30번째 줄:
 
! 등장인물 || 생몰년 || 태어난 곳 || 관계 || 대화주제
 
! 등장인물 || 생몰년 || 태어난 곳 || 관계 || 대화주제
 
|-
 
|-
| [http://www.skk.or.kr/data/contents/1-3-2_saint-1.php 공자] || 기원전 551년~ 기원전 479년 || [https://www.google.com/maps/place/%EC%A4%91%EA%B5%AD+%EC%82%B0%EB%91%A5+%EC%84%B1+%EC%A7%80%EB%8B%9D+%EC%8B%9C+%EC%B7%A8%ED%91%B8+%EC%8B%9C/@34.7796346,113.8572462,6z/data=!4m5!3m4!1s0x35c3fa756b0a7e61:0xddf80de695f0cced!8m2!3d35.4746899!4d117.24542?hl=ko 중국 취푸] || 논어의 주요 화자이자 주인공 ||  
+
| [http://www.skk.or.kr/data/contents/1-3-2_saint-1.php 공자] || 기원전 551년~ 기원전 479년 || [https://www.google.com/maps/place/%EC%A4%91%EA%B5%AD+%EC%82%B0%EB%91%A5+%EC%84%B1+%EC%A7%80%EB%8B%9D+%EC%8B%9C+%EC%B7%A8%ED%91%B8+%EC%8B%9C/@34.7796346,113.8572462,6z/data=!4m5!3m4!1s0x35c3fa756b0a7e61:0xddf80de695f0cced!8m2!3d35.4746899!4d117.24542?hl=ko 중국 취푸] || 논어의 주요 화자이자 주인공  
 +
|-
 +
| 유약(有若) || 기원전 518년~기원전 458년 || 노(魯)나라 사람 || 공자 제자 || 효, 제(弟), 예(禮), 조화 등 실천적 문제
 
|}
 
|}
  
 
==분류==
 
==분류==
 
[[분류: 중국철학사]]
 
[[분류: 중국철학사]]

2022년 3월 6일 (일) 21:12 판

논어 학이편 번역문

  1. 학이-1
 子[ㅣ] 曰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자왈 학이시습지면 불역열호아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배우고 수시로 익히면 기쁘지 않겠는가.
 有朋[이] 自遠方來면 不亦樂乎아 
 유붕이 자원방래면 불역락호아
 벗이 먼 곳으로부터 찾아온다면 즐겁지 않겠는가?
 人不知而不慍이면 不亦君子乎아
 인부지이불온이면 불역군자호아
 남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서운해하지 않는다면 군자(君子)답지 않겠는가?"
 ☞질문: 논어의 가장 처음은 왜 이 세 문장으로 시작할까?
  1. 학이-2
 有子[ㅣ] 曰 其爲人也ㅣ 孝弟오 而好犯上者ㅣ 鮮矣니 不好犯上이오 而好作亂者ㅣ 未之有也니라
 유자 왈 기위인야 효제오 이호범상자 선의니 불호범상이오 이호작란자 미지유야니라.
 공자의 제자 유자(有子=유약(有若))가 말하였다. “사람됨이 효성스럽고 공경스러우면서 윗사람 범하는 것을 좋아하는 자는 드무니, 윗사람 범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면서 난(亂) 일으키는 것을 좋아하는 자는 있지 않다.
 君子[는] 務本이니 本立而道生하나니 孝弟也者는 其爲仁之本與인뎌
 군자 무본이니 본립이도생하나니 효제야자는 기위인지본여인저
 군자(君子)는 근본(根本)에 힘쓰니, 근본이 확립되면 도(道)가 생기는 법이다. 효(孝)와 공경[悌]은 인(仁)을 행하는 근본일 것이다.”

논어 학이편 등장인물

등장인물 생몰년 태어난 곳 관계 대화주제
공자 기원전 551년~ 기원전 479년 중국 취푸 논어의 주요 화자이자 주인공
유약(有若) 기원전 518년~기원전 458년 노(魯)나라 사람 공자 제자 효, 제(弟), 예(禮), 조화 등 실천적 문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