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의 인간본성론: 맹자와 순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n_SW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 맹자의 성(性) = 1.)
 
1번째 줄: 1번째 줄:
 
= 맹자의 성(性) =
 
= 맹자의 성(性) =
  
1.
+
  1. 孟子道性善(맹자도성선)하시되 言必稱堯舜(언필칭요순)이러시다 ...  成覸(성간)이 謂齊景公曰(위제경공왈) 彼丈夫也(피장부야)며 我丈夫也(아장부야)니 吾何畏彼哉(오하외피재)리오하며 顔淵曰舜何人也(안연왈순하인야)며 予何人也(여하인야)오 有爲者亦若是(유위자역약시)라 하며
 +
    '''맹자가 사람의 본성이 선(善)함을 말했는데, 그때마다 반드시 요순(堯舜)을 예로 들었다. 성간(成覸)이 제경공(齊景公)에게 말했다. "저 성현(聖賢) 들도 장부(丈夫)이며 나도 장부이니, 내 어찌 저 성현들을 두려워하겠는가?" 안연(顔淵)이 말했다. "순(舜)임금은 어떠한 분이며 나는 어떠한 사람인가? 훌륭한 일을 하는 자는 또한 이 순(舜)임금과 같다."'''
 +
  (『맹자』 「등문공 상(滕文公 上)」)
 +
 
 +
  2. 孟子曰(맹자왈) 天下之言性也(천하지언성야)는 則故而己矣(즉고이이의)니 故者(고자)는 以利爲本(이리위본)이니라. 所惡於智者(소오어지자)는 爲其鑿也(위기착야)니 如智者若禹之行水也(여지자약우지행수야)면 則無惡於智矣(즉무오어지의)리라 禹之行水也(우지행수야)는 行其所無事也(행기소무사)시니 如智者亦行其所無事(여지자역행기소무사)면 則智亦大矣(즉지역대의)리라
 +
  '''맹자가 말했다. “천하에서 성(性)에 대해 말하는 것은 이미 드러난 자취를 따질 뿐이니, 이미 드러난 자취라는 것도 자연스러운 형세를 근본으로 삼는다. 지혜로운 자를 미워하는 까닭은 [https://ko.dict.naver.com/#/entry/koko/5a5fa1f88e1242e7a1951d7ac44acf7d 천착(穿鑿)]하기 때문이니, 만일 지혜로운 자가 우왕(禹王)이 물을 소통시킨 것처럼 하면, 지혜로움을 미워할 이유가 없을 것이다. 우왕이 물을 소통시키신 것은 자연의 형세를 따라 아무 탈이 없는 대로[무사(無事)] 행하신 것이니, 만일 지혜로운 자가 또한 자연의 형세를 따라 아무 탈이 없는 대로 행한다면 그 지혜가 또한 클 것이다."'''
 +
 
 +
=> 여기에서 "以利爲本(이리위본)"의 이로울 '리(利)'를 주희는 순하다, 따르다라는 뜻의 순(順)'과 같은 뜻으로 보았음

2023년 3월 28일 (화) 11:54 판

맹자의 성(性)

 1. 孟子道性善(맹자도성선)하시되 言必稱堯舜(언필칭요순)이러시다 ...  成覸(성간)이 謂齊景公曰(위제경공왈) 彼丈夫也(피장부야)며 我丈夫也(아장부야)니 吾何畏彼哉(오하외피재)리오하며 顔淵曰舜何人也(안연왈순하인야)며 予何人也(여하인야)오 有爲者亦若是(유위자역약시)라 하며
   맹자가 사람의 본성이 선(善)함을 말했는데, 그때마다 반드시 요순(堯舜)을 예로 들었다. 성간(成覸)이 제경공(齊景公)에게 말했다. "저 성현(聖賢) 들도 장부(丈夫)이며 나도 장부이니, 내 어찌 저 성현들을 두려워하겠는가?" 안연(顔淵)이 말했다. "순(舜)임금은 어떠한 분이며 나는 어떠한 사람인가? 훌륭한 일을 하는 자는 또한 이 순(舜)임금과 같다."
  (『맹자』 「등문공 상(滕文公 上)」)
 2. 孟子曰(맹자왈) 天下之言性也(천하지언성야)는 則故而己矣(즉고이이의)니 故者(고자)는 以利爲本(이리위본)이니라. 所惡於智者(소오어지자)는 爲其鑿也(위기착야)니 如智者若禹之行水也(여지자약우지행수야)면 則無惡於智矣(즉무오어지의)리라 禹之行水也(우지행수야)는 行其所無事也(행기소무사)시니 如智者亦行其所無事(여지자역행기소무사)면 則智亦大矣(즉지역대의)리라 
  맹자가 말했다. “천하에서 성(性)에 대해 말하는 것은 이미 드러난 자취를 따질 뿐이니, 이미 드러난 자취라는 것도 자연스러운 형세를 근본으로 삼는다. 지혜로운 자를 미워하는 까닭은 천착(穿鑿)하기 때문이니, 만일 지혜로운 자가 우왕(禹王)이 물을 소통시킨 것처럼 하면, 지혜로움을 미워할 이유가 없을 것이다. 우왕이 물을 소통시키신 것은 자연의 형세를 따라 아무 탈이 없는 대로[무사(無事)] 행하신 것이니, 만일 지혜로운 자가 또한 자연의 형세를 따라 아무 탈이 없는 대로 행한다면 그 지혜가 또한 클 것이다."

=> 여기에서 "以利爲本(이리위본)"의 이로울 '리(利)'를 주희는 순하다, 따르다라는 뜻의 순(順)'과 같은 뜻으로 보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