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의 인간본성론: 주역과 중용(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 率性之謂道(솔성지위도): 인성(人性)을 따라 밖으로 나온 것이 도(道)이고 인간의 행위, 생활과 연관됨. 천(天)은 보편적 존재이나 각 사람들의 생명속으로 들어가면 각 개체의 특수성을 이루게 됨</br> | ◈ 率性之謂道(솔성지위도): 인성(人性)을 따라 밖으로 나온 것이 도(道)이고 인간의 행위, 생활과 연관됨. 천(天)은 보편적 존재이나 각 사람들의 생명속으로 들어가면 각 개체의 특수성을 이루게 됨</br> | ||
− | == | + | ☞ <span style="color:#ff0000;">'''중용에서 말하는 도(道)는 무엇인가?'''</span> |
+ | |||
+ | |||
+ | == 고대 중국사상에서의 도(道) == | ||
+ | |||
+ | * 도(道)의 글자적 의미 | ||
+ | |||
+ | [[파일:Dao.png]] | ||
+ | |||
+ | ☞ 그림출처: [https://www.zdic.net/hans/%E9%81%93 한전(漢典)] | ||
+ | |||
+ | => 최초의 글자풀이책인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말한 도(道): 辵(간다)+首(머리가 향하는 곳, 목적지)</br> | ||
+ | => 본뜻: 사람이 가는 길</br> | ||
+ | => 확장된 뜻: 도리(道理), 인도하다</br> | ||
+ | |||
+ | |||
+ | * 도가의 도(道) | ||
+ | |||
+ | ☞ 펑유란 지음, 정인재 옮김, 『간명한 중국철학사』, 마루비, 2020, 159~160쪽</br> | ||
+ | |||
+ | 道生一(도생일)하고 一生二(도생이)하고 二生三(이생삼)하고 三生萬物(삼생만물)하니라. | ||
+ | '''도는 일(一)을 낳고, 일은 이(二)를 낳고, 이는 삼(三)을 낳는다.'''</br> | ||
+ | 『도덕경(노자)』42장 | ||
+ | |||
+ | 道(도)는 可道(가도)면 非常道(비상도)요 名(명)은 可名(가명)이면 非常名(비상명)이라 無名(무명)은 天地之始(천지지시)요 有名(유명)은 萬物之母(만물지모)라 | ||
+ | 이것이 진정한 도(道)라고 정의내릴 수 있는 도는 절대불변의 진정한 도가 아니며, 이것이 진정한 말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는 말은 절대적 진리의 말이 아니다. 무명의 상태야말로 천지가 개벽하는 시작으로서의 진정한 도이며, 이윽고 이름을 붙일 수 있는 유명의 상태는 만물을 생산하는 어머니인 것이다. | ||
+ | 『도덕경(노자)』1장 | ||
+ | |||
+ | ○ '''도가철학의 도: 유일한 도, 만물이 생겨나오는 원천, 뭐라고 이름 붙일 수 없는 ‘무명(無名)’의 도'''</br> | ||
+ | - 도가들은 이 세상에 만물이 존재하므로 만물을 생성하게 하는 ‘그 무엇’이 틀림없이 존재한다고 생각했음. 이 ‘무엇’을 도가들은 ‘도‘라고 칭했지만 사실 이름을 붙일 수 있는 것이 아님</br> | ||
+ | |||
+ | ☞<span style="color:#ff0000;">'''그런데 왜 이런 도를 말했을까? 장자의 도에서 그 힌트를 찾아보면'''</span> | ||
+ | |||
+ | |||
+ | ○ '''장자의 도'''</br> | ||
+ | ☞ 이케다 토모히사(池田知久) 지음, 원용준 옮김, 『노장사상』</br> | ||
+ | |||
+ | - 장자의 도는 온갖 만물을 존재하게 하고 운동, 변화시키는 세계의 주재자인 데 반해 만물은 도에 의해 존재되어지고 운동, 변화되어지는 피재자임. 도는 시간, 공간의 존재형식을 초월하고 인간적인 가치에 얽매지 않는 것임. 반면 만물은 시간, 공간의 존재형식 아래에서 인간적인 가치에 매달리는 미약한 존재자임</br> | ||
+ | - 이케다 토모히사는 『장자』의 도-만물에 관한 논의에 대해, 여기에서의 중심문제가 인간소외의 극복이나 주체성의 확립에 있다고 보았음. 즉 '만물제동(만물에는 아무런 구별도 없고 일체의 사물이 모두 동등한 가치를 지님)'의 철학 하에 존재, 변화되는 만물의 하나에 불과한 인간이 세계의 궁극적 근원적 실재인 도에 도달하고 도를 파악함으로써 '''도가 지니고 있는 전능한 능력, 즉 온갖 만물을 존재, 변화시키는 주재자적 성격을 자기의 것으로 수중에 넣고 이를 통해 마침내 인간 소외를 극복하고 주체성을 확립하여 스스로 시공간을 초월한 주재자, 자유로운 참된 실재로서의 인간이 되어 세계에 나서는 것을 그 주된 목적으로 삼고 있다'''고 보았음</br> |
2023년 4월 6일 (목) 14:54 판
☞유학에서도 이제 인간이 어떤 존재이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관한 탐색을 형이상학적 이론으로까지 확장시켜 논의할 필요가 있었다.
『중용(中庸)』이라는 책
☞ 펑유란 지음, 정인재 옮김, 『간명한 중국철학사』, 마루비, 2020, 283쪽
○ 『예기』 49편 중 31번째 편명임
○ 『중용』은 한나라 때부터 중시되었음
○ 사마천은 『사기』에서 공자의 손자인 자사가 지은 것이라고 했고,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는 ‘중용설(中庸說)’ 2권이 소개되고 있음
○ 『중용』은 중국 송나라 때부터 『논어>>, 『맹자』, 『대학』과 함께 사서(四書)라고 일컬어졌으며, 유가사상의 형이상학적 사유와 우주관을 보충해주고 있는 문헌임
○ ‘중용(中庸)’의 의미
- 중(中): 단지 산술적인 중간으로 생각해서는 안됨. ‘중’의 참뜻은 너무 지나치지도(過), 모자라지도 않는(不及) 꼭 알맞은 것을 뜻함
- 용(庸): 평범한 일상[상(常)]. 인간이 일상적으로 먹고 마시고 하는 것처럼 인간관계와 도덕에도 그대로 적용됨
『중용』 속 인간 본성의 근거
天命之謂性(천명지위성)이요 率性之謂道(솔성지위도)요 修道之謂敎(수도지위교)니라
하늘이 인간에게 부여한 것을 본성[성(性)]이라 하고, 이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道)라고 하고, 도(道)를 닦는 것을 교(敎: 교육, 가르침)라고 한다.
☞ 서복관(徐復觀), 『中國人性論史: 先秦篇』, 上海三聯書店, 2001, 104쪽.
◈ 天命之謂性(천명지위성): 사람마다 모두 최고 가치의 실체인 천(天)에서 온 공통 근거를 갖고 있으며 동질의 가치를 품부받았음. 따라서 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는 평등함
◈ 率性之謂道(솔성지위도): 인성(人性)을 따라 밖으로 나온 것이 도(道)이고 인간의 행위, 생활과 연관됨. 천(天)은 보편적 존재이나 각 사람들의 생명속으로 들어가면 각 개체의 특수성을 이루게 됨
☞ 중용에서 말하는 도(道)는 무엇인가?
고대 중국사상에서의 도(道)
- 도(道)의 글자적 의미
☞ 그림출처: 한전(漢典)
=> 최초의 글자풀이책인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말한 도(道): 辵(간다)+首(머리가 향하는 곳, 목적지)
=> 본뜻: 사람이 가는 길
=> 확장된 뜻: 도리(道理), 인도하다
- 도가의 도(道)
☞ 펑유란 지음, 정인재 옮김, 『간명한 중국철학사』, 마루비, 2020, 159~160쪽
道生一(도생일)하고 一生二(도생이)하고 二生三(이생삼)하고 三生萬物(삼생만물)하니라. 도는 일(一)을 낳고, 일은 이(二)를 낳고, 이는 삼(三)을 낳는다.
『도덕경(노자)』42장
道(도)는 可道(가도)면 非常道(비상도)요 名(명)은 可名(가명)이면 非常名(비상명)이라 無名(무명)은 天地之始(천지지시)요 有名(유명)은 萬物之母(만물지모)라 이것이 진정한 도(道)라고 정의내릴 수 있는 도는 절대불변의 진정한 도가 아니며, 이것이 진정한 말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는 말은 절대적 진리의 말이 아니다. 무명의 상태야말로 천지가 개벽하는 시작으로서의 진정한 도이며, 이윽고 이름을 붙일 수 있는 유명의 상태는 만물을 생산하는 어머니인 것이다. 『도덕경(노자)』1장
○ 도가철학의 도: 유일한 도, 만물이 생겨나오는 원천, 뭐라고 이름 붙일 수 없는 ‘무명(無名)’의 도
- 도가들은 이 세상에 만물이 존재하므로 만물을 생성하게 하는 ‘그 무엇’이 틀림없이 존재한다고 생각했음. 이 ‘무엇’을 도가들은 ‘도‘라고 칭했지만 사실 이름을 붙일 수 있는 것이 아님
☞그런데 왜 이런 도를 말했을까? 장자의 도에서 그 힌트를 찾아보면
○ 장자의 도
☞ 이케다 토모히사(池田知久) 지음, 원용준 옮김, 『노장사상』
- 장자의 도는 온갖 만물을 존재하게 하고 운동, 변화시키는 세계의 주재자인 데 반해 만물은 도에 의해 존재되어지고 운동, 변화되어지는 피재자임. 도는 시간, 공간의 존재형식을 초월하고 인간적인 가치에 얽매지 않는 것임. 반면 만물은 시간, 공간의 존재형식 아래에서 인간적인 가치에 매달리는 미약한 존재자임
- 이케다 토모히사는 『장자』의 도-만물에 관한 논의에 대해, 여기에서의 중심문제가 인간소외의 극복이나 주체성의 확립에 있다고 보았음. 즉 '만물제동(만물에는 아무런 구별도 없고 일체의 사물이 모두 동등한 가치를 지님)'의 철학 하에 존재, 변화되는 만물의 하나에 불과한 인간이 세계의 궁극적 근원적 실재인 도에 도달하고 도를 파악함으로써 도가 지니고 있는 전능한 능력, 즉 온갖 만물을 존재, 변화시키는 주재자적 성격을 자기의 것으로 수중에 넣고 이를 통해 마침내 인간 소외를 극복하고 주체성을 확립하여 스스로 시공간을 초월한 주재자, 자유로운 참된 실재로서의 인간이 되어 세계에 나서는 것을 그 주된 목적으로 삼고 있다고 보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