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의 인간본성론: 왕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 그만큼 당시 사람들이 참언을 믿었고 또 그 점을 이용하여 자신의 정치적 이익을 획득하고자 할 경우 그것이 가능했음<br/> | => 그만큼 당시 사람들이 참언을 믿었고 또 그 점을 이용하여 자신의 정치적 이익을 획득하고자 할 경우 그것이 가능했음<br/> | ||
○ 왕충은 이 참위설에 대해 강하게 반대하고 비판을 가했음<br/> | ○ 왕충은 이 참위설에 대해 강하게 반대하고 비판을 가했음<br/> | ||
+ | ○ 특히 왕충과 가까운 시대였던(27~97) 후한 말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832985&cid=62059&categoryId=62059 황건적의 난(184)]이 일어나는데 이 당시 미신적인 민간신앙이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음. 예컨대 부적을 살라서 물에 타 마시면 병이 낫는다고 하는 등의 주술을 통해 병을 고칠 수 있다고 말하는 태평도를 백성들이 믿을 정도로 그 당시 일반 백성들도 미신적인 부분들을 믿었던 것으로 보임<br/> |
2023년 4월 27일 (목) 13:12 판
왕충(王充, 27년 ~ ?)이라는 인물
☞ 임옥균, 『왕충』,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5
- 시대의 주류에 저항한 철학자, 왕충
○ 분열의 시대를 끝내고 통일의 시대를 이룬 한나라의 이데올로그들은 황제의 권위를 한껏 올릴 필요를 느꼈고, 이를 위해서는 유학의 이론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유학에 참위설을 끌어들여 그 목적을 달성하려고 했음
○ 참위설의 '참(讖)'이란 해, 달, 별(일월성신)의 변화에 따라 길흉이나 재이(災異: 재앙, 이변) 등을 예언하는 것이고, '위(緯)'는 경(經)에 가탁해서 미래의 일을 설명한 것임
=> 진시황의 분서 등으로 인해 진나라 때 유실된 경전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당시 사회·정치적 상황에 맞게 경전이 재해석되었음(음양오행설, 상서재이설, 천인상관설 천문점 등이 포함)
○ 한나라 때에는 이 참위설이 참으로 일세를 풍미했다고 할 수 있음. 참위설은 예언을 주로 하고 있는데 견강부회하여 이미 일어난 일을 합리화하기 위해서 참위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음.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 그 주종을 이루었음
○ 예: 원시(元始) 5년(서기 5년) 12월에 평제(平帝)가 세상을 떠나자 그 아들인 영(嬰)을 세웠음. 『한서』「왕망전」에 보면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음
"이 달에 ... 우물을 파다가 흰 돌을 얻었는데 위는 둥글고 아래는 네모졌다. 그 위에 붉은 글씨가 드러났는데 '안한공 왕망이 황제가 될 것이다'라고 씌어 있었다."
☞ 정치적 의도가 뚜렷하게 보이는 조작이라고 할 수 있음. 이 이후로도 이와 비슷한 일들이 수없이 많이 일어났고 결국 왕망은 스스로 제위에 올라 한나라를 종식히키고 신(新)나라(8~23)를 세웠음
=> 그만큼 당시 사람들이 참언을 믿었고 또 그 점을 이용하여 자신의 정치적 이익을 획득하고자 할 경우 그것이 가능했음
○ 왕충은 이 참위설에 대해 강하게 반대하고 비판을 가했음
○ 특히 왕충과 가까운 시대였던(27~97) 후한 말기 황건적의 난(184)이 일어나는데 이 당시 미신적인 민간신앙이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음. 예컨대 부적을 살라서 물에 타 마시면 병이 낫는다고 하는 등의 주술을 통해 병을 고칠 수 있다고 말하는 태평도를 백성들이 믿을 정도로 그 당시 일반 백성들도 미신적인 부분들을 믿었던 것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