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의 인간본성론: 퇴계 이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 <span style="color:#ff0000;">'''왜 세상은 우리가 배운 것과 다르게 흘러갈까? 그래도 좋은 마음으로 사람을 대해 보고, 세상을 살아보려고...)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 퇴계는 어진 사람이나 어리석은 사람이나 양반이나 중인이나 상인이나 차별하지 않았고 누구에게나 똑같은 예로 대했음. 학문을 좋아했던 퇴계는 학문하는 사람을 좋아하고 존경했음. 비록 제자일지라도 함부로 이름을 부르지 않고 상대를 높여 자(字)를 부르며 높였음. 제자를 벗으로 대했고 아무리 연소한 사람이라도 이름으로 가리키거나 '너'라고 하지 않았고 젊은 사람들도 읍하여 맞이하고 보냈음</br> | * 퇴계는 어진 사람이나 어리석은 사람이나 양반이나 중인이나 상인이나 차별하지 않았고 누구에게나 똑같은 예로 대했음. 학문을 좋아했던 퇴계는 학문하는 사람을 좋아하고 존경했음. 비록 제자일지라도 함부로 이름을 부르지 않고 상대를 높여 자(字)를 부르며 높였음. 제자를 벗으로 대했고 아무리 연소한 사람이라도 이름으로 가리키거나 '너'라고 하지 않았고 젊은 사람들도 읍하여 맞이하고 보냈음</br> | ||
* 퇴계는 엄숙한 아침 생활로 하루 일과를 시작했음. 해가 돋기 전에 일어나서 세수하고 머리를 빗은 후에 의관을 정제하고 서재에 들어가서 책을 읽고 연구를 시작했음. 이러한 아침 생활은 서울에서나 고향에서도 변함이 없었고 남의 집에 갔을 때도 잘 지켰다고 함. 낮에는 독서를 위주로 하고 사색은 주로 밤에 했음</br> | * 퇴계는 엄숙한 아침 생활로 하루 일과를 시작했음. 해가 돋기 전에 일어나서 세수하고 머리를 빗은 후에 의관을 정제하고 서재에 들어가서 책을 읽고 연구를 시작했음. 이러한 아침 생활은 서울에서나 고향에서도 변함이 없었고 남의 집에 갔을 때도 잘 지켰다고 함. 낮에는 독서를 위주로 하고 사색은 주로 밤에 했음</br> | ||
+ | |||
+ | ☞ <span style="color:#ff0000;">'''그러고보면 그런 생각이 든다. 세상이 어떻든, 사람들이 어떻든, 결국 내가 어떤 마음가짐으로 어떤 원칙을 지키며 살아가는 게 중요하지 않은가? 혹여 그런 나의 삶이 누군가에게 감동을 주고 변화를 줄 수 있다면 이미 조금씩 세상을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가고 있는 거 아닌가? 그런데 그런 흔들리지 않는 마음가짐으로 살아갈 수 있을까?'''</span> |
2023년 5월 18일 (목) 13:09 판
☞ 왜 세상은 우리가 배운 것과 다르게 흘러갈까? 그래도 좋은 마음으로 사람을 대해 보고, 세상을 살아보려고 해도 가끔 믿었던 사람에게, 믿었던 세상에게 데이면 그런 생각을 하게 된다. 세상이 원래 그런거냐?!
☞ 이런 처절한 고민을 하는 사람에게 유학의 인간본성론을 배운 여러분들은 어떻게 대답하겠습니까?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
☞ 권오봉, 『퇴계선생 일대기』, 교육과학사, 2004
- 음력 1501년 11월 25일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에서 진보 이씨(眞寶 李氏) 가문에서 태어남
- 생후 일곱 달 만에 아버지가 병으로 죽자 홀어머니[춘천 박씨] 밑에서 엄한 교육을 받으며 자랐음
- 퇴계의 아버지가 죽었을 때 집안 형편은 맏형인 잠(潛)이 장가를 들었을 뿐 아래 여섯 명은 아직 어려 어머니 혼자 농사와 양잠으로 생계를 꾸려나가는 형편이었음. 비록 살림은 가난했지만 어머니 박씨는 남들로부터 '홀어머니의 자식은 배운 게 없고 버릇이 없다'며 말을 들을까 하여 매우 엄한 교육을 했음. 퇴계가 그 자신의 성장에 관하여 어머니의 묘비명에 '나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분은 어머니시다'라고 한 기록으로 보더라도 평생 어머니의 가르침을 실행하려고 애쓴 자취와 어머니의 교육의 힘이 얼마나 컸던가를 알 수 있음
- 14세에 도연명의 시를 좋아하여 시를 익히고 시를 짓기도 했으며 18세에는 우주를 관조하게 되고 19세에는 학문의 심오한 경지에까지 파고 들어가서 터득했음. 20세 때 자고 먹는 것을 잊고 건강을 해쳐가면서까지 주역공부에 몰입했음
- 20세에 진사를 수석으로, 생원은 2위로 합격했음
- 1535년 6월 35세 때 퇴계는 관리가 되었음. 퇴계는 처음 벼슬길에 나가서는 서울에 살았음. 어린 아들들은 고향에 두었기 때문에 아직 큰 고충을 모르고 지냈음. 30대 후반에 아들이 혼인해서 며느리가 들어오고 이어 손자가 태어나자 조카의 사위 이국량이 워낙 가난했으므로 자신이 살던 집을 그에게 주고 아들은 처자를 데리고 5,6년간 처가에서 지내게 했음. 아들이 편지마다 처가살이에 대한 고통을 적어 보낼 정도로 이 때 퇴계 가정은 매우 곤궁했음
- 퇴계는 이 때 '분수를 지키고 천명을 따르자. 내가 궁하므로 너를 처가살이 시키는데 그것은 너의 흉이 아니다. 가난하게 살고 벼슬에서 물러나려는 데는 너만이 알고 있어야 할 이유가 있다'고 아들을 달래며 가난을 참아나갔음
- 1548년 48세 때 단양군수로 재직하고 있는 퇴계는 다음과 같은 형편을 아들에게 알리기도 했음
"권씨부인(자신의 부인) 대상(부인이 죽은 후 2년만에 지내는 제사) 날짜가 임박해 오는구나. 제상은 여기서 보낼 작정이다. 쌀과 면 만들 재료는 보낼 형편이 못된다. 집에서 준비하여라. 다만 저축해 둔 곡식이 없을까 걱정이다."
☞ 사사로운 일에는 친척의 도움을 받는 한이 있더라도 공물(公物: 공적인 국가 물건)은 축내지 않고 손을 대지 않을려고 했음
- 퇴계의 50대, 1553년 봄에는 대사성(국가 교육기관인 성균관의 기관장)을 지내는 등 높은 관직을 지냈지만 그 뒤 병으로 사직하고 돌아오려는데 옷과 말이 없어 출발하지를 못하기도 했음. 그래서 조정에서 이런 논의가 이어지기도 했음
"경술(經術: 유교의 경전에 근거하여 얻은 정치적 기술, 능력)과 문장이 이황의 오른쪽에 설만한 학자가 없습니다. 불러서 쓰도록 하십시오. 그러나 너무 가난하고 궁하여 서울에서는 견디기 어렵습니다. 호조에 명하여 충분히 급료를 내리도록 하십시오."
- 60대에 일생을 정리하고 70이 되어 세상을 떠난 퇴계는 높은 지위와 많은 봉록을 버리고 곤궁한 생활을 하면서 온갖 고통을 스스로 자초하여 극복해가는 데는 큰 목적과 계획이 있었음
- 퇴계는 당시 젊은 정치가들의 개혁 의지가 비참하게 꺾이는 것을 눈으로 보았음. 퇴계는 관직생활 가운데 왕에게 간언을 올리는 등의 나름의 고군분투를 했지만 쉽게 변하지 않는 정치 현실 속에서 출사와 진퇴를 반복하다 고향으로 돌아와 교육과 학문에 매진했음
- 퇴계는 어진 사람이나 어리석은 사람이나 양반이나 중인이나 상인이나 차별하지 않았고 누구에게나 똑같은 예로 대했음. 학문을 좋아했던 퇴계는 학문하는 사람을 좋아하고 존경했음. 비록 제자일지라도 함부로 이름을 부르지 않고 상대를 높여 자(字)를 부르며 높였음. 제자를 벗으로 대했고 아무리 연소한 사람이라도 이름으로 가리키거나 '너'라고 하지 않았고 젊은 사람들도 읍하여 맞이하고 보냈음
- 퇴계는 엄숙한 아침 생활로 하루 일과를 시작했음. 해가 돋기 전에 일어나서 세수하고 머리를 빗은 후에 의관을 정제하고 서재에 들어가서 책을 읽고 연구를 시작했음. 이러한 아침 생활은 서울에서나 고향에서도 변함이 없었고 남의 집에 갔을 때도 잘 지켰다고 함. 낮에는 독서를 위주로 하고 사색은 주로 밤에 했음
☞ 그러고보면 그런 생각이 든다. 세상이 어떻든, 사람들이 어떻든, 결국 내가 어떤 마음가짐으로 어떤 원칙을 지키며 살아가는 게 중요하지 않은가? 혹여 그런 나의 삶이 누군가에게 감동을 주고 변화를 줄 수 있다면 이미 조금씩 세상을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가고 있는 거 아닌가? 그런데 그런 흔들리지 않는 마음가짐으로 살아갈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