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철학: 주역2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역전(易傳)>> 주요 구절
<<역경>>의 형성
1. 古者包犧氏之王天下也(고자포희씨지왕천하야)에 仰則觀象於天(앙즉관상어천)하고 俯則觀法於地(부즉관법어지)하며 觀鳥獸之文(관조수지문)과 與地之宜(여지지의)하며 近取諸身(근취저신)하고 遠取諸物(원취저물)하여 於是(어시)에 始作八卦(시작팔괘)하여 以通神明之德(이통신명지덕)하며 以類萬物之情(이류만물지정)하니라. -「계사하전」 옛날에 포희씨가 왕천하할 때, 우러러 하늘에서 상(象)을 관찰하고 몸을 굽혀 땅에서 법(法)을 관찰하며, 날짐승과 들짐승의 무늬와 땅의 적절함을 관찰하며, 가까이는 자신에게서 취하고 멀리는 외물(外物)에게서 취하여 이에 비로소 팔괘를 만들어 신명(神明)의 덕과 통하며 만물의 실정을 분류했다.
<<주역>>의 원리
2. 日往則月來(일왕즉월래)하고 月往則日來(월왕즉일래)하여 日月相推而明生焉(일월상추이명생언)하며 寒往則暑來(한왕즉서래)하고 暑往則寒來(서왕즉한래)하여 寒暑相推而歲成焉(한서상추이세성언)하니 往者(왕자)는 屈也(굴야)요 來者(래자)는 信也(신야)니 屈信相感而利生焉(굴신상감이리생언)하니라. -「계사하전」 해가 가면 달이 오고 달이 가면 해가 와서 해와 달이 서로 밀어내서 밝음이 생기며, 추위가 가면 더위가 오고 더위가 가면 추위가 와서 더위와 추위가 서로 미루어내서 한 해(歲)가 이루어지니 가는 것은 굽힘이요 오는 것은 펴짐이니 굽힘과 펴짐이 서로 감응하여 이로움이 거기에서 생겨난다.
3. 一陰一陽之謂道(일음일양지위도)니 繼之者善也(계지자선야)요 成之者性也(성지자성야)라. -「계사상전」 한 번은 음이고 한번은 양임을 도(道)라고 하니 이를 계승한 것을 선(善)이라고 하고 이를 이루어 나가는 것을 성(性)이라고 한다.
4. 聖人(성인)이 設卦(설괘)하여 觀象繫辭焉(관상계사언)하여 而明吉凶(이명길흉)하며 剛柔相推(강유상추)하여 而生變化(이생변화)하니 是故(시고)로 吉凶者(길흉자)는 失得之象也(실득지상야)요 悔吝者(회린자)는 憂虞之象也(우우지상야)요 變化者(변화자)는 進退之象也(진퇴지상야)요 剛柔者(강유자)는 晝夜之象也(주야지상야)라. -「계사상전」 성인(聖人)께서 괘를 진설하여 상(象)을 관찰해서 거기에 말을 달아서 길함과 흉함을 밝히며, 강과 유가 서로 밀어내서 변화를 낳으니 이 때문에 길과 흉이라는 것은 실(失: 잃음)·득(得: 얻음)의 상이고 회(悔: 뉘우침)와 인(吝: 인색함)이라는 것은 근심과 헤아림의 상이고 변화라는 것은 나아감과 물러남의 상이고, 강과 유라는 것은 낮과 밤의 상이다.
5. 悔吝者(회린자)는 言乎其小疵也(언호기소자야)요 无咎者(무구자)는 善補過也(선보과야)라. -「계사상전」 회(悔)와 인(吝)이라는 것은 약간의 하자를 말함이요 무구(无咎: 허물 없음)라는 것은 과실을 잘 보완함이다.
6. 夫易(부역)은 聖人之所以極深而硏幾也(성인지소이극심이연기야)니 唯深也故(유심야고)로 能通天下之志(능통천하지지)하며 唯幾也故(유기야고)로 能成天下之務(능성천하지무)하며 唯神也故(유신야고)로 不疾而速(부질이속)하며 不行而至(불행이지)하나니 -「계사상전」 <<역>>이란 성인(聖人)이 심오함을 궁구하고 기미를 연구하기 위한 책이다. 깊기에 천하의 뜻을 통달할 수 있고 기미를 알기에 천하의 일을 성취시킬 수 있고 신묘하기에 빨리 하려고 하지 않아도 빠르게 되며 행하려고 하지 않는데도 이르게 된다.
7. 子曰(자왈) 知幾其神乎(지기기신호)인저 君子上交不諂(군자상교불첨)하며 下交不瀆(하교부독)하나니 其知幾乎(기지기호)인저 幾者(기자)는 動之微(동지미)니 吉之先見者也(길지선현자야)니 君子見幾而作(군자견기이작)하여 不俟終日(불사종일)이니 -「계사하전」
공자가 말했다. “기미를 앎이 그처럼 신묘하구나. 군자는 윗사람과 교류함에 아첨하지 않고 아랫사람과 교류함에 모독하지 않으니 기미를 아는 것이다. 기미라는 것은 움직임이 은미한 것으로 길흉이 먼저 나타난 것이니 군자는 기미를 보고 일어나서 하루를 마치기를 기다리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