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위당 장일순

An_SW
Esang21c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2월 2일 (금) 09:44 판 (새 문서: = '''[https://www.eroun.net/news/articleView.html?idxno=7376 무위당 장일순(1928~1994)]의 생태사상''' = ☞ 황종원, <장일순 생태사상의 종교 회통적 성격과...)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무위당 장일순(1928~1994)의 생태사상

☞ 황종원, <장일순 생태사상의 종교 회통적 성격과 생태기술론적 의의>, <<유학연구>> 58, 2022

  • 장일순은 한국 생태운동의 개창자로 여겨지는 인물임. 1970년대에 신용협동조합운동을 이끌었고 1980년대에는 종촌과 도시의 생산, 유통, 소비를 생태적으로 잇는 '한살림운동'의 출현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
  • 장일순의 생태사상은 동학사상, 특히 최시형의 사상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고, 김지하의 생명사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음
  • 아울러 장일순은 도가, 기독교, 불교를 회통한 인물임
 천지만물이 막비시천주야(天地萬物 莫非侍天主也)라. 한울님을, 생명의 본질을, 본체를 모시지 않은 게 하나도 없다. 그것은 불가에서 '풀 하나 돌 하나도 부처'라는 이야기와, 성경에서 이야기하는 '일체 존재에는 하느님 아버지께서 같이하신다'는 이야기와 그 생명사상은 다 같은 거지요.
  • 인간과 천지만물이 모두 천주를 모신 존재라는 생각은 최시형에게서 가장 분명히 보임
 "우리 사람이 태어남은 하늘의 영기(靈氣)를 모시고 태어남이요, 우리 사람이 살아감 또한 하늘의 영기를 모시고 살아감이니, 어찌 반드시 이 사람만이 홀로 천주를 모셨다 이르리오? 천지만물이 다 천주를 모시지 않은 것이 없다. 저 새 소리도 시천주의 소리이다."
 -<<해월신사법설(海月神師法說)>>

=> 최시형은 인간과 천지만물이 모두 하늘님의 영기에 의해 살아갈 수 있다는 점에서 만유를 하늘님을 모신 존재라고 확신함. 하늘님의 기운이 인간과 자연 안에 생명으로 내재하기 때문임

  • 장일순은 <<화엄경>>의 "조그마한 티끌 속에 우주가 포함되어 있다(一微塵中, 含十方)"는 말을 자주 인용하며 그것을 생태주의적으로 재해석함. "나락 한 알 속에도, 아주 작다고 하는 머리털 하나 속에도 우주의 존재가 내표되어 있다 그말이에요." "생명의 진수가 물질 하나에 다 있다 이 말이야. ... 이 머리털은 사람이 없으면 안 되겠지? 사람은 부모가 없으면 안 되겠지? 부모는 또 그 부모의 부모가 없으면 안 되겠지? 그 부모나 나는 천지만물, 하늘과 땅이 없으면 안 되겠지? 그렇게 따지고 보면 터록 속에 전 우주가 있는 것 아니겠어요?" 머리털 하나도 시공간적으로 전 우주와 하나로 연결되어 있듯, 나락 한 알에도 전 우주적 생명이 내재해 있다.
  • 최시형은 밥 한그릇에도 전 우주적 생명, 즉 하늘님이 담겨 있다는 뜻에서 "만사를 안다는 것은 밥 한 그릇 먹는 이치를 아는 데 있다"고 했음. 장일순은 이 밥 한 그릇 먹는 일에 사람과 천지가 협력해 일하는 우주적인 만남의 의미가 있다고 말함. 밥 한 그릇을 "사실은 사람만이 땀 흘려서 만든 것이 아니라, 하늘과 땅과 일체가 앙상블이 되어서, 하나로 같이 움직여서 그 밥 한 사발이 되는 거 아니에요? 그러니까 그 밥 한 사발은 우주적인 만남으로 되는 거지요."
  • 장일순은 유기농이나 자연농을 그 무엇보다 중시했음. 그는 '한살림'운동을 "급속도로 와해되어가고 있는 농촌에 유기농법으로 농사를 하는 사람이 살 수 있고, 그래서 마침내 살아있는 땅과 마을을 새로운 형태로 돌이키는 데 기여하고자 하는 필사적인 노력의 하나"라고 했음. 생태적 농사가 자연의 생명성을 회복시키고 농촌을 건강하게 협력하는 사회로 만드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한 것임
 특히 자연농으로 돌아간다는 건 자연과 공생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보는데, 이게 현재로서는 매우 미약하고 또 얼핏 보면 무슨 원시 농경 사회로 돌아가자는 거냐고 할는지 모르겠으나 그건 아니지. 다만 지금까지 인류가 겪어온 경험에서 배운 것들을 모아서 파멸을 피하면서 함께 모두 살 수 있는 그런 길을 모색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절박한 현실을 얘기하고 있는 걸세.
 -장일순, <<무위당 장일순의 노자 이야기>>


장일순 사상에 깃든 노장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