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의 인간본성론: 주역과 중용(1)

An_SW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유학에서도 이제 인간이 어떤 존재이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관한 탐색을 형이상학적 이론으로까지 확장시켜 논의할 필요가 있었다.

『중용(中庸)』이라는 책

☞ 펑유란 지음, 정인재 옮김, 『간명한 중국철학사』, 마루비, 2020, 283쪽

○ 『예기』 49편 중 31번째 편명임
○ 『중용』은 한나라 때부터 중시되었음
○ 사마천은 『사기』에서 공자의 손자인 자사가 지은 것이라고 했고,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는 ‘중용설(中庸說)’ 2권이 소개되고 있음
○ 『중용』은 중국 송나라 때부터 『논어>>, 『맹자』, 『대학』과 함께 사서(四書)라고 일컬어졌으며, 유가사상의 형이상학적 사유와 우주관을 보충해주고 있는 문헌임
○ ‘중용(中庸)’의 의미
- 중(中): 단지 산술적인 중간으로 생각해서는 안됨. ‘중’의 참뜻은 너무 지나치지도(過), 모자라지도 않는(不及) 꼭 알맞은 것을 뜻함
- 용(庸): 평범한 일상[상(常)]. 인간이 일상적으로 먹고 마시고 하는 것처럼 인간관계와 도덕에도 그대로 적용됨


『중용』 속 인간 본성의 근거

 天命之謂性(천명지위성)이요 率性之謂道(솔성지위도)요 修道之謂敎(수도지위교)니라
하늘이 인간에게 부여한 것을 본성[성(性)]이라 하고, 이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道)라고 하고, 도(道)를 닦는 것을 교(敎: 교육, 가르침)라고 한다.

서복관(徐復觀), 『中國人性論史: 先秦篇』, 上海三聯書店, 2001, 104쪽.

◈ 天命之謂性(천명지위성): 사람마다 모두 최고 가치의 실체인 천(天)에서 온 공통 근거를 갖고 있으며 동질의 가치를 품부받았음. 따라서 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는 평등함
◈ 率性之謂道(솔성지위도): 인성(人性)을 따라 밖으로 나온 것이 도(道)이고 인간의 행위, 생활과 연관됨. 천(天)은 보편적 존재이나 각 사람들의 생명속으로 들어가면 각 개체의 특수성을 이루게 됨

유가의 도(道)와 도가의 도(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