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에세이 장자1

An_SW
Esang21c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4월 19일 (화) 01:49 판 (새 문서: == '''장자 인트로: 우리가 잃어버린 것''' == ☞질문: <span style="color:#ff0000;">'''무엇을 향해, 무엇을 위해 열심히 달려가고 있나요?'''</span>...)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장자 인트로: 우리가 잃어버린 것

 ☞질문: 무엇을 향해, 무엇을 위해 열심히 달려가고 있나요?


○ 사회에서 원하는 사람, 다른 사람이 좋아하는 사람이 되기 위해 살아가는 '나' 돌이켜보기

가족의 발견.jpg

 심리 상담 현장에서 늘 느끼는 것이지만 상담실을 찾아와 도움을 요청하는 사람들은 모두 착한 사마리아인다. 인간적으로 볼 때 좋은 사람이다.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기 싫어하고 선한 성품으로 성실하게 살아왔다. 물론 아주 가끔 인간적으로 나쁜 사람도 상담실에 찾아오기는 한다...
 오랫동안 상담을 하면서 나를 찾아오는 사람들의 대다수가 상담실이 아닌 사회에서 만났다면 '호감을 주거나 적어도 불펴하지는 않은 사람들'이라는 사실에 의문을 갖게 되었다. 왜 착한 사람들이 상담실에 차고 넘칠까? 착하게 살아왔는데 왜 삶의 만족과 행복은 멀리 있을까?...
 착한 아이는 태어날 때부터 착한 아이로 태어난 게 아니다. 주변 환경과 어른들의 요구에 자신을 그렇게 맞춘 것이다. 그들은 타인의 시선으로 자기를 바라보는 습관을 갖고 있다. 그것은 아주 어릴 때 형성된 오래된 습관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습관으로 인해 자기에게 더 엄격하고 통제적인 사람이 된다.
 사회생활은 이런 사람들에게 지뢰밭이다. 타인을 배려하고 상대방의 마음에 상처를 주지 않으려다 전투적으로 자기 의견을 주장하고 관철하려는 사람들에게 치이고 자기가 원하는 것을 분명하게 알고 있는 사람과의 경쟁에서 밀린다. 또 착한 사람들은 자기의 욕망을 인정하고 있는 그대로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스스로 눈치 보는 관계를 만들고 힘들어할 수 있다. 심지어 치열한 경쟁 관계에서는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다 손해를 보기도 한다....
 착한 사람들이 능력이 없어서 회피하는 것이 아니다. 경쟁과 갈등은 착해야 한다는 기존의 사고 틀과 충돌을 빚기 때문에 그들은 경쟁과 갈등 그 자체보다는 자기 내면의 갈등으로 인해 달아나는 것이다. ...
 착한 사람이 자신의 인생을 당당히 살아가기 위해서는 어린 시절 형성된 자기의 역할 가면, 즉 페르소나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는 태어났을 때 가족 안에서 제 역할을 부여받는다. 돌아보면 우리는 아들이고 딸이기에 무조건으로 사랑을 받았다기보다는 주어진 역할에 충실할 때 사랑을 받았다...
 '가짜 나'를 벗고 착해야 한다는 페르소나를 넘어, 주위 사람들의 정서적 압력에 굴하지 않는 독립적이고 융통성 있고 일관성 있는'진짜 나'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우리는 사회가 부여한 수많은 가면 속에 갇혀 나도 모르게 그렇게 살아가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렇다면 진짜 나는 어디에 있을까요? 어떻게 찾아갈 수 있을까요?

=> 장자의 근원을 찾아가는 여행. '나'의 근원, 존재의 근원, 세상의 근원을 향해. 내가 알고 있던 '나', 세상을 부정하면서 마주하는 진짜 '나'로의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