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련 도교

An_SW
Esang21c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1월 17일 (목) 22:31 판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한국의 수련 도교

☞ 한국사상연구소, <<자료와 해설: 한국의 철학사상>>, 예문서원, 2002

  • 성리학 이념에 기초한 조선 왕조 건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던 정도전(鄭道傳, 1342~1398)은 도교를 불로장생을 추구하는 신선사상으로 받아들이면서 불로장생을 추구하는 목적 자체가 바람직 못하고 이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도 의리 실현과 배치된다고 보았음
  • 이러한 비판적 분위기 때문에 조선 초기에는 신선사상의 추구가 활발하지 못했으나 점차 은둔적 인사들을 중심으로 신선사상에 침잠하는 사람들이 배출되었는데 이들을 보통 '단학파(丹學派)'라고 부름
  • 조선 단학파들에게서는 외단(外丹)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지지 않으므로 조선 단학파의 사상을 내단(內丹)으로 보아도 무방함. 심신수련을 통해 신선(선인)이 되는 것을 지향하는 내단 사상에 치중했던 것은 내적 성찰을 중시하는 성리학이나 선불교의 경향과도 그 흐름을 같이한다고 말할 수 있음


도교의 단(丹)

중국학 위키백과

붉을 단.png

  • 단(丹)은 붉은 돌을 캐는 우물의 모양을 본뜬 글자임. 가운데 점은 붉은 돌의 모양을 본뜬 것임. 우물 정(井)에 점이 더해진 것으로 광물을 캐내는 광정(鑛井)에 무엇인가 있다는[점] 의미를 나타내는 지시부호임
  • 한나라 때 유행했던 방사(方士)들은 불로장생을 위해 단사(丹砂, 붉은 색을 내는 광석)를 많이 먹었는데 단사를 약으로 보았기 때문에 단약(丹藥)이라고 했음
  • 도교에서 말하는 단(丹)에는 내단(內丹)와 외단(外丹)의 구별이 있음
  • 외단은 몸 바깥에서 약을 구해서 정련하여 단을 만들어 복용하면 장생할 수 있다는 것으로, 진시황과 한 무제가 구했던 선약(仙藥)이 바로 그런 종류임
  • 내단은 우리 몸 속의 정(精), 기(氣), 신(神)을 단련함으로써 생기는 것으로 우리 몸은 곧 하나의 작은 우주[소우주]로서 그 안에도 음양과 8괘가 있으니 장생의 도는 돌이켜 자기 안에서 구하면 충분하므로 정말로 바깥에서 구할 필요가 없다는 것


김시습(金時習, 1435~1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