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과 디지털인문 융합: 한국문헌 속 공사(公私)

An_SW
Esang21c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1월 29일 (수) 08:49 판 (새 문서: = '''미조구치 유조, 『중국의 공과 사』'''= ☞ 미조구치 유조 지음, 정태섭·김용천 옮김, 『중국의 공과 사』, 신서원, 2004</br> ☞ 미조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미조구치 유조, 『중국의 공과 사』

☞ 미조구치 유조 지음, 정태섭·김용천 옮김, 『중국의 공과 사』, 신서원, 2004
☞ 미조구치 유조 지음, 김석근 옮김, 『중국사상문화사전』, 책과함께, 2011

  • 중국 공사 개념의 특징

○ 원의적으로 배반의 관계에 있음 (공 <-> 사)
○ 그 배반의 관계에는 선과 악, 정(正)과 부정(不正)의 윤리성이 있음
○ 그 윤리성은 집단의 안과 밖을 불문하고, 다시 말해 시간, 공간, 위치를 관통하면서 균일하게 타당한 원리적인 보편성을 가짐


  • 공과 사의 어원

○ 공은 신분 칭호의 하나, 군주를 비롯한 통치자 그 자신 혹은 통치자와 관련된 사물 의미
○ 사는 곡물에 국한되지 않고 사람들 자신의 것(사유 또는 사용), 신변의 것, 혈연의 관계에 있는 것을 의미


  • 전국시대 공과 사

○ 순자는 조직적으로 공사론을 전개해 나감
- 공은 통치자나 통치자와 관련된 사물이라는 의미에서 확대되어 윤리화, 정치화된 공공(公共), 공평, 공정이라는 추상적 의미를 띠게 됨. 더 나아가 군주만이 아니라 신하 등이 지켜야 할 보편과 관련된 덕목의 하나가 되었음
- 사는 통치자까지 포함해서 사람들의 개별적인 감정, 욕망 또는 일부 사람의 이해와 국가 내부의 공권력 행사를 저해하는 세력을 의미하는 말로 변하고 거기서 공은 선이며 긍정되어야 할 것, 사는 악이며 부정되어야 할 것이라는 대립 형태를 띠게 됨
○ 법가에 이르게 되면 공과 사를 이율배반적으로 예리하게 대립시켜 공을 긍정하고 사를 부정함. 공의가 행해지면 국가는 다스려지고 사의가 행해지면 국가는 어지러워짐
○ 도가는 공사를 한층 추상화시킴. 공공, 공평, 공정이라는 의미의 공을 토대로 삼아 그것을 천지자연과 인간 사회에 관통하고 있는 가장 보편적 존재의 도(道)나 천지의 속성이라고 하고, 그와 같은 보편적인 도를 포착할 수 없는 인간의 개별적인 감정, 욕망, 지식 등을 사로 비판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