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에세이 공자1

An_SW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불행한 삶에서 피어난 위대함[편집 | 원본 편집]

☞ 김교빈, 이현구 지음, <<동양철학에세이1: 혼란 속에서 피어난 철학의 향연>>, 동녘, 2021, 34~45쪽

공자가 살던 혼란기, 춘추시대[편집 | 원본 편집]

걸닉.jpg

-사진 출처: 『論語』全文・現代語訳

○ 공자가 제자들과 길을 가고 있었음. 도덕과 예의로 백성을 다스려야 한다고 설득했지만 부국강병의 논리가 아니라고 받아들여주지 않는 무도한 인금에게 실망을 느끼고 다시 자신의 뜻을 받아들여 줄 새로운 임금을 찾아가는 여행길이었음
○ 이 때 나루터가 어디 있는지 물으려고 했는데 밭을 가는 장저와 걸닉에게 길을 묻게 됨
○ 자로가 장저와 걸닉에게 나루터 가는 길을 묻자 오히려 어지러운 세상을 피해 함께 살자는 답변을 받음
○ 이에 공자는 탄식하며 세상 사람과 더불어 살지 않으면 누구와 더불어 살겠느냐고 탄식함

 ☞질문: 여기에서 장저와 걸닉은 어떤 무리의 사람들이었을까?
☞질문: 공자가 말한 '날짐승이나 길짐승과 더불어 살 수는 없지 않겠는가? 내가 세상 사람들과 더불어 살지 않으면 누구와 더불어 살겠느냐?'라는 말은 무슨 뜻일까?
=> 장저와 걸닉은 혼란했던 춘추시대에 세속을 떠나 밭을 갈며 은거하며 살아갔던 사람들로 보임. 이를 통해 혼란했던 당시에 시대에 대처했던 다양한 방식의 삶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음. 노자, 장자의 대처 방식과도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음
=> 하지만 공자는 세속을 떠난 삶을 선택하지 않았음. 결국 사람들과 함께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삶을 선택함. 그렇다면 사람들의 욕심으로 인해 일어난 그 혼란들을 인간사회 안에서 어떻게 극복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했을까?


  • 혼란한 시대가 초래된 이유

○ 경제적 변화: 소를 이용하는 농사방법, 철로 만든 농기구의 등장, 비료의 등장, 관개 시설의 개발로 인한 농사 기술의 발달 => 토지는 잠시 이용하는 것이 아닌 토지를 영원히 소유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전환 => 힘 센 나라들이 더 많은 토지와 그 토지에서 일할 사람들을 구하게 됨 => 이 욕심을 채우기 위해 전쟁을 택함

우경.jpg

☞ 그림출처: 林巳奈夫『中国古代の生活史』2009 吉川弘文館 p.65


  • 공자의 등장

○ 공자가 살던 춘추시대

춘추시대2.png

○ 주나라 제도의 특징: 혈연적 봉건제

춘추 신분계급표.jpg

- 공자가 살던 시대인 주나라는 농경에 기초한 사회였음. 농사에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노동력을 확보하려면 집단화가 필요했고 이를 위한 가족 제도가 대가족제도였음. 특히 이 대가족제도에서 노인은 농사에서 가장 중요한 풍부한 농사 경험을 가지고 있는 존재였음
- 이러한 농경에 기초한 주나라는 노인 중심의 대가족사회를 이루었으며, 이 속에서 부계, 가부장을 중심으로 한 종적 질서가 자리잡았음
- 그리고 이러한 가족질서는 국가질서와도 연결되었음. 부자 중심의 종적 윤리가 국가에 그대로 적용된 것임
- 주나라는 하늘의 아들, 즉 천자라고 불리는 종가집을 중심에 놓고, 정복한 여러 땅에 자기 집안의 형제, 작은아버지, 조카 같은 친척, 결혼으로 맺어진 사돈 식구들을 제후로 임명했음
- 통치의 꼭대기에 천자의 친족인 종가집을 두고 다시 종가집과 혈연 관계를 바탕으로 한 제후들의 작은 종가집이 있고... 이러한 가족제도를 근가에 둔 국가제도에서는 부모 자식 사이의 효, 형제들 사이의 공경이 강조될 수밖에 없었음
○ 땅과 사람을 빼앗기 위한 전쟁이 일어나는 속에서 기존의 신분제를 비롯한 많은 제도가 무너졌고 이로 인해 엄청난 혼란이 일어났음
○ 혈연적 가족제도에 기초한 주나라의 봉건제도는 시간이 갈수록 그 혈연관계가 멀어지면서 흔들리기 시작했음

☞ 출처: 중국학 위키백과

○ 춘추시대 사회 경제적 변화와 이로 인한 혼란을 보면서 공자는 세상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됨

 ☞질문: 공자는 어떻게 혼란을 바로잡고자 했을까?


공자(B.C.551~B.C479)의 일생[편집 | 원본 편집]

  • 공자의 탄생

○ 공자는 기원전 551년에 태어나 기원전 479년 73세에 생을 마감함
○ 공자는 주나라의 여러 제후국 가운데 약소국인 노나라 창평향의 '추'라는 마을에서 태어났음. 지금의 산둥성 취푸[곡부(曲阜)]에 해당함
취푸 위치

○ 공자의 '자(子)'는 선생님이라는 뜻의 존칭이고, 공자의 실제 이름 '구(丘)'였음. 성은 '공(孔)'이고, 이름은 '구'로 공자의 성명은 '공구'였음. 그의 이름은 공자의 어머니가 니구산(尼丘山)에 빌어 공자를 가졌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임

니구산 위치

○ 공자의 집안은 몰락한 귀족이었고 아버지 숙량흘은 하급 무사였음


  • 공자의 성장기

○ 3살 때 아버지를 잃은 공자는 홀어머니 밑에서 자랐음
○ 집이 가난했기 때문에 먹고 살기 위해 잔치가 있는 곳들을 찾아다녔는데 그래서 공자가 어려서부터 예절에 밝았던 것으로 보기도 함
○ 젊었을 때에는 정원을 관리하고 가축을 돌보는 일, 창고에서 물건을 내주고 받는 일을 하는 등 백성들의 어려움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많은 일들을 했음


  • 공자의 장년기

○ 공자는 제나라를 시작으로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면서 많은 왕들을 만났고(30년 동안 72명의 임금을 만남) 그 왕들이 자기의 사상을 받아들여 세상을 바로 잡아주기를 바랐음. 그 사이 죽을 고비를 여러 번 넘기기도 했지만 아무에게도 받아들여지지 않았음

공자여행.png

B.C.497~B.C.484에 공자가 여러 나라들을 여행했던 여정(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공자열국행.jpeg

사진출처


○ 51세 무렵 아직 익지도 않은 생쌀을 챙겨서 공자는 급히 노나라로 돌아옴. 고향에 돌아온 공자에게 계손씨는 지금의 법무부 장관이나 대법원장에 해당하는 대사구라는 높은 벼슬을 맡겼음
○ 공자가 그 일을 맡은 지 얼마 안 가 노나라는 서서히 안정된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음. 공자가 평생에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자신의 뜻을 펼쳐 보이려는 순간이었음
○ 하지만 정치를 돌보지 않는 노나라 임금을 보고 다시 고향을 떠나 여러 나라를 떠돌다가 68세 무렵에 고향에 돌아와 제자들을 가르치고 책을 편찬하면서 만년을 보냈음

 ☞질문: 한 인간으로서 공자의 삶을 성공적이라고, 행복했다고 평가할 수 있을까요? 만일 나였다면 그 삶을 감당할 수 있었을까요?


  • 공자의 삶을 쉽사리 성공적이다, 행복했다라고 보기 힘든 또 다른 사연들

○ 하나밖에 없던 아들이 공자보다 먼저 주었고 가장 아끼던 제자인 안회와 자로도 그보다 먼저 죽었음. 공자의 부인이 그를 떠났다는 얘기도 있음
☞ [<<논어>> <향당>편에 나오는 공자의 평소 모습 http://db.cyberseodang.or.kr/front/alphaList/BookMain.do?bnCode=jti_1h0301&titleId=C239]


  •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여전히 우리는 공자를 이야기할까?

○ 공자의 사상은 그가 남긴 책들과 그의 제자들을 통해 오늘날까지 이어져오고 있음
○ 공자에게는 3천명의 제자가 있었다고 함. 어떤 이는 공자를 죽이려고 찾아왔다가 감복하여 제자가 되기도 하는 등 많은 제자들이 공자의 인격에 감화되었으며, 그 제자들에 의해 공자의 사상이 각지로 퍼져나가게 됨
○ 당시 귀족 자제들만 교육을 받을 수 있었던 현실 속에서 공자는 최초로 사립학교를 세워 일정한 예를 갖추고 배움을 청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받아들여 가르치는 보통 교육과 평등 교육을 펼쳤음
○ 이러한 공자의 정신은 <<논어>>에 담겨 있음. 이 책에는 공자의 말과 행동, 공자와 제자간의 대화, 공자와 다른 사람들간의 대화, 제자의 말, 제자들 사이의 대화로 이루어져 있음
○ 여전히 주목받고 있는 공자의 사상
선의 탄생.jpg

<<선의 탄생>> 목차

 표지에 쓰인 문구: '인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세상은 행복해진다.
 "인은 공자의 중심 사상으로 사람들 사이에 오가는 친절, 인류애, 존경심을 한데 묶어놓은 복합적인 개념이다. 공자가 활동한 기원전 6세기~5세기 무렵의 고대 중국은 춘추시대 말기의 혼란으로 어수선했다. 당시의 폭력, 물질주의, 위계적인 종교와 거리를 둔 공자는 인의 덕목을 통해 의미 있는 삶을 찾는 새로운 철학 체계를 세우고 제자들을 가르쳤다."
 "인의 과학에서는 인간의 새로운 언어에 호기심 어린 시선을 집중할 것이다. 헌신을 나타내는 얼굴 근육의 움직임, 감사의 마음을 나타내는 신체 접촉 방식, 갈등을 해소하는 유쾌한 목소리 등이 우리가 주목하는 새로운 인간 언어이다. ... 이 연구를 통해 인의 과학은 그동안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던 인간의 선이 어떻게 진화해왔는지를 새롭게 밝힐 것이며, 아울러 우리 인간이 오로지 욕망을 극대화하고 서로 경쟁하고 나쁜 것에 더 끌리도록 만들어졌다는 오래된 가정을 수정할 것이다."


 ☞질문: 다음은 어떤 표정인 것 같나요?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억지웃음.jpg

- 사진출처: 슈퍼대디 열


진짜웃음1.png

진짜웃음2.png

폴 에크먼
- 캘리포니아대 심리학과 교수를 역임했고 은퇴 후 ‘폴 에크먼 그룹'을 설립해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음
- 인간의 감정을 드러내는 ‘보편적인 얼굴 표정'이 있다는 것을 밝혔음
- 수천 개의 얼굴근육을 분석해 ‘얼굴지도(얼굴 움직임 부호화 시스템)’를 만들었음


 ☞질문: 생각해보면, 우리는 여전히 왜 최악의 순간에도 남을, 우리를 배려할 수 있는 것일까?

연합뉴스 2022.3.28일자


◁◁ 이전 공자 이야기로 이동 클릭!
▷▷ 다음 공자 이야기로 이동 클릭!